"K-푸드테크 세계로"…서비스 로봇 영역 다변화
새해에도 로봇이 제조 현장에서 벗어나 일상 속 서비스 환경으로 무대를 넓힐 전망이다. 특히 식당 등 푸드 산업에서의 활용도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기대가 모인다. 주방 조리기구의 일환으로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시장을 키우려는 움직임이 거세다. 외식 산업은 매년 꾸준히 성장해왔지만, 현장 종사자 수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국내 외식업 사업체 수는 79만5천여 곳으로, 4년 전(70만9천개)보다 약 11% 이상 꾸준히 늘어왔다. 매출도 약 177조원으로 4년 전(138조원)보다 28% 확대됐다. 반면 종사자 수는 204만명으로 오히려 같은 기간 약 5% 줄었다.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제조업에 비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지만, 올해 처음 매출 규모 1조원 단위를 넘기며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2023년 서비스용 로봇 매출은 1조456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4% 증가했다. 지금까지 식당에서 로봇은 부족한 인력을 보충할 수 있는 궁여지책 중 하나로 여겨졌다. 사람 대신 치킨을 튀기거나 커피를 내리고, 음식을 테이블까지 서빙하는 일을 주로 수행했다. 다만 비싼 가격과 고장에 대한 부담 때문에 여전히 대량 도입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시장성 검증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다. 푸드테크 연평균 30% 성장…내년 전문 연구센터 구축 업계에서는 식당 내 로봇 자동화가 불가피한 미래라는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 이에 로봇 가격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추고, 기술·시장성 검증을 마치려고 서두르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달 서울대에서 열린 '월드푸드테크포럼'에서 “국내 푸드테크 산업은 연평균 30%씩 성장하고 있다”며 “국가 경제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태평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우리 식품산업을 반도체에 버금가는 국가 핵심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은 “초고령화와 1인가구 증가, 식품산업 인력부족 등 전지구적인 사회문화적 요건이 푸드테크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선 2022년 서울대 푸드테크학과를 중심으로 출범한 월드푸드테크협의회가 산학연을 연결하는 핵심 축 역할을 하고 있다. 협의회는 로보틱스와 인공지능 외에도 바이오와 나노 기술, 3D 프린팅 등 먹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들은 국내 푸드테크 산업을 반도체에 버금가는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내세웠다. 산업 현장에서는 푸드테크로봇 업계로 구성된 협의체도 생겼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지난 5월 주요 로봇·외식업계와 손잡고 푸드테크로봇협의회를 발족했다. 세이프틱스와 만다린로보틱스, 브이디컴퍼니 등 38개의 회원사가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내년에는 포항에 전문 연구시설도 구축한다. 푸드테크로봇협의회는 최근 포항소재산업진흥원과 협력해 내년부터 총사업비 155억원, 연면적 2천500m2 규모 푸드테크연구지원센터를 구축 사업을 시작한다. 양 기관은 식품로봇 시험 인증을 지원하고, 스마트키친 테스트베드 실증 분야에서 우선 협력할 예정이다. 국산 조리로봇 세계 무대 데뷔전 푸드테크 로봇은 세계 시장에서도 이제 막 개화하는 단계다. 국산 로봇이 해외에서 주목받기 시작해 글로벌 확대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뉴욕 중심부에 국산 치킨 로봇 프랜차이즈가 새로 문을 열었다. 로봇 푸드테크 기업 로보아르테는 뉴욕 맨해튼 코리아타운에 약 200평 규모 '롸버트치킨' 직영 플래그십 매장을 차렸다. 이곳에서 튀김 조리 로봇 3대가 시간당 최대 150마리의 한국식 치킨을 조리한다. 2층 매장에는 한국식 소주 칵테일을 제조하는 칵테일 로봇도 도입할 예정이다. 로보아르테 관계자는 “현지 인력 고용과 팁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 기회를 발견했다”며 “뉴욕의 중심에서 전 세계인들에게 K-로봇과 치킨을 알리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는 올해 신규 프라잉 템플릿을 개발해 교촌치킨에 로봇 공급을 확대하기도 했다. 특히 교촌에프앤비가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는 미국 매장에도 로봇 템플릿을 도입했다. 급식 현장서도 로봇 자동화 속도 학교 급식실과 같은 대량 조리 현장에도 로봇 도입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내 중학교에 첫 공급을 시작으로 올해 전국적으로 확대 움직임이 일었다. 기존 급식종사자 업무 부담이 높아지면서 근무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진 데 따른 조치다. 작년 기준 서울시 내 학교 조리 종사원은 274명이 부족한 상태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손잡고 푸드테크 업계와 컨소시움을 구성해 실증에 나섰다. 지난해 2학기부터 성북구 숭곡중학교에 급식로봇 4대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국·탕로봇 1대와 볶음로봇 2대, 유탕로봇 1대가 급식 조리에 시범 도입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숭곡중에 도입한 급식로봇으로 조리원의 조리흄 노출 평균 76% 감소, 근력투입 평균 40% 감소 등 효과가 나타났다"며 "학교급식 종사자의 업무경감 도움 효과도 약 86%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로봇 운영사 한국로보틱스 측에 따르면 지난 9월 인천 인화여중과 서울 내곡중학교에 이어, 새해 1~2월에도 서울시 내 6개교에 로봇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함선옥 한국급식학회장은 “현재 급식 산업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높은 노동강도로 인해 조리 종사원의 이탈이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구인난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그 대안으로 단체급식 산업에 푸드테크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