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65세 이상 10명 중 8명 퇴행성관절염…관리·운동해야
65세 이상 인구의 80%가 경험하는 퇴행성관절염. 조기 관리 및 운동을 통한 예방이 요구된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닳아 통증과 운동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노화가 주요 원인이지만, 체중 증가와 무리한 운동, 반복적인 충격 등이 관절의 퇴행을 앞당길 수 있다. 여성은 무릎 연골이 얇고 근육량이 적어 남성보다 발생 위험이 크다. 또 체중 증가와 레저스포츠, 무리한 체중 감량도 골밀도 약화 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해 젊은 연령대에서도 퇴행성관절염이 증가하는 추세다. 스포츠 활동 증가로 40대~50대에서도 관절염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통증이 지속되지 않고 1개월~2개월 아프다가 다시 나아지는 양상을 반복하면서 점차 악화한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어렵거나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에서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빠른 진료가 필요하다. 인공관절치환술은 본인 무릎을 최대한 사용한 이후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지속될 때 고려해야 한다.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경우, 체중을 조절하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꾸준한 운동을 해야 한다. 권장되는 운동으로는 평지 산책 1시간 내외, 실내 자전거 30분~1시간, 수영이나 아쿠아로빅 등이 있다. 스쿼트나 런지는 무릎에 부담을 줄 수 있어 퇴행성관절염이 심한 경우 피해야 한다. 등산은 내려올 때 연골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높은 산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면 관절의 유연성이 향상하고, 운동 중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연령대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해 젊은 층은 1시간 전후, 고령층은 30분 전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박상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퇴행성관절염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기능을 유지하며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질환”이라며 “조기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무릎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