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폭탄에 中 전기차 위협…토요타, 공급망 수직계열화 '승부수'
세계 1위 자동차기업 일본 토요타자동차가 모태기업 토요타자동직기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토요타자동직기의 부품산업을 수직계열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미국 관세폭탄과 중국 전기차 확산으로 큰 변화가 예상되는 형국이다. 토요타의 이같은 움직임은 미래차 시장 지각변동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9일 주요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아키오 토요다 회장은 6조엔(60조5천706억원) 규모의 자금을 들여 토요타자동직기를 인수하기 위해 비상장화를 추진하고 있다. 토요타자동직기는 1926년 토요다 사키치가 설립한 토요타그룹의 시초가 되는 회사다. 현재 토요타자동차도 1930년대 토요타자동직기의 자동차 사업부로 시작해 이후 분사한 바 있다. 현재 토요타자동직기는 자동차 엔진과 차량 공조 시스템용 전동 컴프레서를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점유율은 50%에 달한다. 특히 토요타자동직기는 배터리에서 흐르는 전류를 각 부품에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기술력을 강점으로 가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토요타자동차가 부품 산업을 내재화해 전동화와 수소산업 전환에 선제 대응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비상장화를 통한 오너 지배력 강화 목적도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최근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합병하는 등 경쟁이 심화되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미국 외 생산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 부과 등 토요타에게는 대내외적인 변화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토요타는 2027년까지 전기차를 기존 5종에서 15종으로 늘리고 수소산업 확산에 투자를 늘릴 예정이다. 토요타자동직기는 전기차 핵심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소 연료전지(Fuel Cell) 시스템 등 핵심 부품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수소 기술은 통합이 중요하다. 실제 현대자동차도 지난해 6월 현대모비스로부터 국내 수소연료전지사업을 인수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 수소연료전지사업과 설비, 연구개발(R&D) 및 생산 품질 인력 등 기술력과 자원을 한곳으로 모아 기술 혁신과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토요타는 지난 1월 유럽에서 프랑스 수소 충전소 전문 기업 하이드로젠리퓨얼링솔루션즈(HRS),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엥지와 차세대 수소 충전 시스템을 개발 협력을 발표했다. 수소산업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인수가 성사되면 토요타자동차 설립자의 손자인 아키오 회장이 토요타그룹의 주요 기업 지배권을 확보하게 된다"며 "토요타자동직기는 세계 최대 완성차 업체인 토요타의 성장 기반이 됐으며 토요타 그룹 내 상징적인 중요성을 지닌 기업"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글로벌 전기차 산업 재편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 4대 국영자동차 기업인 창안자동차와 둥펑자동차는 지난 2월 합병 논의에 들어갔다. 합병이 성사되면 이들 기업의 합산 판매량은 연간 510만대 안팎으로 지난해 기준 글로벌 완성차 판매량 7위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이 투자를 많이 하고 내부 판매량이 1천300만대에 달하는 거대한 산업이라는 위기감이 일고 있다"며 "토요타가 (토요타자동직기) 비상장화 추진을 통해 수익에 대한 걱정 없이 성장 전략에 집중할 수 있는 자유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