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 사업 전면 중단...킴스편의점, 이랜드 '아픈 손가락' 되나
이랜드리테일이 킴스편의점 가맹 사업을 접고, 추가 출점 등 사업 확대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1호점인 봉천점이 이달 운영 중지되는 등 현재 출점해 있는 점포의 미래도 불안정한 상황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킴스편의점은 이랜드리테일이 지난 2023년 출점한 신선식품 특화 편의점으로, 이달 문을 닫는 봉천점까지 총 5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킴스편의점은 2년간 시범사업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고, 이랜드리테일은 가맹사업 확장을 진행하려 했으나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즉석식품 등 킴스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품목을 편의점 업계와 유사하게 조정하고, 매장 내 취식 공간 등 편의시설을 배치하라고 권고했다. 규제 당국의 잇단 지적과 함께, 본업 경쟁력이 악화된다는 점도 사업 철수 결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업계 반발이 거세지고 규제 회피 이미지가 고착될 경우 브랜드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맹 확대를 중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이날 염창점을 방문해 살펴본 결과, 킴스편의점은 담배를 판매하지 않고 야채와 정육 코너가 별도로 존재하는 등 편의점이라기보다는 GS더프레시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SSM(기업형 슈퍼마켓)과 더 유사했다. 영업시간도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로 24시간 영업을 하는 편의점과는 달랐고, 3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달을 해주는 등의 모습도 보였다. 매장 관계자는 “편의점이라기보다는 동네 마트에 가깝지 않나 싶다”며 “이 매장은 출점한 지 1년 1개월 정도 됐고, 아직 영업 종료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매장 한켠에는 산자부의 권고에 따라 설치된 컵라면을 끓일 수 있는 전기 포트와 취식 공간 등이 마련돼 있었다. 유통업계는 킴스편의점이 규제 사각지대를 노려 출점 제한 등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염창점에서 도보 2분 거리에 또 다른 편의점이 존재하는 등 출점 제한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편의점 업계 한 관계자는 “자사 매장 근처에 킴스편의점이 입점하면서 해당 지점의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며 “SSM이지만 편의점으로 적용돼 의무 휴업일도 없고, 24시간 운영을 하더라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랜드리테일 측은 추가 출점하지 않는 대신, 기존의 매장에 대해서는 그대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봉천점은 임대 계약이 끝나 해지되는 것이고, 남은 매장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산자부의 권고에 따라 관련 시설 등을 편의점에 맞게 정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편의점 업계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킴스편의점은 신선식품을 강조하지만, 담배나 간편식 등 편의점의 핵심 수요를 잡기 어려운 구조”라면서 “기존 편의점들과 같은 방식으로 경쟁하긴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의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