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불황, 4년은 더 간다…그 이상 길어질 수도"
현재 석유화학 업계 불황이 오는 2028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공장 증설 추진 계획에 따른 것으로, 실제 불황 기간은 이보다 수 년 더 길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김태현 S&P글로벌 컨설팅 매니저는 20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개최된 '석유화학 컨퍼런스'에서 이같은 분석을 공유했다. 중국이 2020년 이후 과다한 생산능력(CAPA) 증설을 추진하며 공급 과잉이 나타난 데 이어, 향후 수 년에 걸쳐 추가 증설을 계획 중인 점을 들었다. 김태현 S&P글로벌 매니저는 “올해 증설분은 타 년도에 비해 적었지만, 내년부터 2028년까지 기존에 연기된 프로젝트들을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계 시장이 이를 흡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매니저는 에틸렌과 폴리에틸렌 시장 상황을 소개했다. 에틸렌의 경우 2018년 기준 글로벌 공장 가동률이 90%를 기록한 데 반해 최근에는 80% 초반까지 하락했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총 에틸렌 CAPA의 4분의 1 수준인 4천500만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현재 글로벌 에틸렌 CAPA는 2억3천만톤으로, 오는 2028년까지 약 3천만톤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2천300만톤은 중국의 예상 증설분이다. 여기에 CAPA 규모 2위인 미국도 2020년부터 원가 경쟁력을 갖춘 에틸렌 상당량을 수출 중인 상황이다. 프로에틸렌 시장의 경우 중국은 2020년부터 올해까지 CAPA 3천600만톤을 증설했고, 2028년까지 2천400만톤을 추가 증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공장 가동률이 70% 중반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매니저는 “에틸렌의 경우 중국이 80% 정도 자급률을 달성했고, 프로에틸렌은 이미 90%를 넘어섰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확장으로 자급률을 높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2028년까지 수입국 지위는 유지하겠지만,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이 공격적인 증설을 추진할 수 있는 배경은 제조 경쟁력이다. 김 매니저는 “공장 1개 증설 비용을 보면 유럽은 1, 한국은 0.7~0.8, 중국은 0.5~0.6 수준”이라며 “(중국은)자본 투자의 이점을 토대로 증설을 지속할 것”이라고 첨언했다. 다만 국가 환경 정책 목표에 따라 향후 증설 가능한 중국 CAPA는 약 8천만톤까지일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 전환 흐름에 따른 공급망 안정성도 석유화학 업계의 숙제로 소개했다. 김 매니저는 "석유는 2030년, 가스는 2040년을 기점으로 수요가 지속 감소하고, 플라스틱은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에틸렌은 현재 1억8천만톤에서 2040년 2억9천만톤, 납사는 같은 기준 3억톤에서 6억톤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어 "현재 납사의 80%를 정유 공장에서 수급하고 있는데 이 물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며 "업계 주요 기업들이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석유 공정에서 추출되는 납사 비중을 현 15%에서 오는 2050년 30%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 매니저는 “2027년까진 공급 과잉에 따라 한국, 유럽처럼 납사 크래커 등 고비용 자산에는 심각한 마진 압박이 지속될 것이고, 2030년까지도 이런 불황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며 “효과적인 탄소 관리, 에너지 전환 대응 등 여러 업계 숙제들을 어떻게 해결해나갈지 검토해나가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