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양극재, 'LFP' 주력 제품 될까…기업 간 온도차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전기차 산업에서 대세로 자리잡은 가운데, 배터리 핵심 부품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국내 업체들 간 온도차가 감지된다. 당분간 전기차 업계가 LFP 배터리를 적극 도입할 것으로 보고 시장에 빠르게 뛰어드는 기업들이 있는 반면, 사업적 이득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는 곳도 존재한다. 국내 양극재 업계 동향을 살펴보면 엘앤에프, 에코프로는 LFP 양극재 파일럿 라인을 구축 또는 구축 진행 중으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상대적으로 포스코퓨처엠과 코스모신소재는 LFP 양극재 사업에 신중한 분위기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LFP 배터리 점유율은 지난 2020년 당시 10%대였지만, 약 40% 수준까지 확대됐다. 시장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기술 장벽이 낮고, 중국 기업들의 진출로 인한 공급 과잉이 발생하고 있어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해야 승산이 있다. 이 가능성을 두고 전망이 엇갈리는 것이다. ■엘앤에프·에코프로, 'LFP 양극재' 생산성 사활 엘앤에프는 지난 3일 미국 LFP 배터리셀 기업 아워넥스트에너지(ONE)와 중장기 LFP 양극재 공급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27년 가동될 ONE 공장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LFP와 리튬인산망간철(LFMP) 양극재 파일럿 라인 구축도 마쳤다고 밝혔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해외우려집단(FEOC) 규정에 따라 중국 기업 지분이 25% 이상인 법인에서 생산한 배터리 및 핵심 부품에 대해선 보조금을 지급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와 부품을 채택한 전기차 기업인 경우 공급망 수정이 필요하다. 엘앤에프는 이 수요를 노려 북미 등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LFP 양극재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산성 극대화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엘앤에프 관계자는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제품을 양산하는 역량”이라며 “마진이 낮고, 중국발 공급 과잉 문제가 있는 건 맞지만 생산성을 높일 수록 가격 경쟁도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다”고 했다. 에코프로도 연내 LFP 양극재 파일럿 라인을 구축한다고 밝힌 상황이다. 특히 원가 절감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 1일 '원가 혁신 TF'를 구성, 향후 2년 내로 원가 30% 절감 방안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성과를 낸 임직원에게 절감액 중 상당량을 성과급으로 지급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포스코퓨처엠·코스모신소재 ”사업성 확실치 않아" 포스코퓨처엠은 LFP를 비롯한 보급형 배터리용 양극재를 오는 2030년까지 15만톤 규모로 생산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LFP 양극재 사업을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다. 다만 파일럿 라인 구축 시점, 양극재 종류별 양산 규모 등 구체적 내용은 확정하지 않았다. LFP 양극재 사업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메시지를 여러 차례 던지기도 했다. 지난 2월까지 포스코퓨처엠 대표를 맡았던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은 지난달 6일 '인터배터리 2024' 현장에서 LFP 양극재 사업에 대해 “기업 입장에선 마진을 붙여 영업이익을 내야 하는데 마진을 붙이기 쉽지 않은 구조”라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2월 전남 광양 NCA 양극재 공장 착공식에서도 “국내 LFP 양극재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지 우려가 있다”며 “고객이 원한다면 공급 노력을 할 것”이라고 비슷한 언급을 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삼원계 배터리 위주인 현재 포트폴리오를 보급형 전기차 배터리 시장도 공략해 확대하려는 것”이라며 “LFP 배터리 양극재 사업도 추진하는 것은 맞다”고 했다. 코스모신소재의 경우 LFP 양극재 사업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사업성 검토 결과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등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 사업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웠다. 코스모신소재 관계자는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작년까지 관련 사업을 검토했지만 일차적인 결론으론 아직 LFP 양극재 사업은 회사와 맞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