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컴퓨터 마우스라고?"...손목 피로 줄여주는 디자인 주목
60년 전 등장해 데스크톱 PC의 필수 액세서리로 자리 잡은 컴퓨터 마우스는 그 동안 많은 변신을 해 왔다. 특히 손목 피로를 줄이고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인체공학적 시도를 해 왔다. 하지만 마우스의 기본 디자인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프 대학교 연구진이 마우스의 기본 원리를 인체공학적으로 재해석해 기존 제품과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시제품을 공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보도했다. 연구진이 선보인 시제품은 ▲쥐는 압력에 반응하는 유연한 메쉬(망사) 구조의 '플렉시마우스(Fleximouse)', ▲세로로 서 있는 힌지형 A자형 프레임 디자인 두 가지다. 두 제품 모두 '반복성 긴장 부상(RSI)'과 관련된 손목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설계됐다. 손가락 아래에 위차한 비스듬한 그립이나 트랙볼 등 기존 마우스 디자인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2025년 9~10월호 'ACM 인터랙션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마우스 손에서 신체의 다른 부위로 긴장이 퍼지는 것은 사용자가 화면 모서리에 도달하려 할 때처럼 한 시간에 수백 번씩 마우스를 들어 올리려야 하기 때문”이라며, “이 과정에서 손목 또는 팔뚝도 움직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연구진은 마우스로 인한 부상과 불편함의 가장 큰 원인을 “대부분의 디자인이 여전히 단단한 외부 껍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970년대에 이미 망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의 손잡이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마우스는 비용 절감과 생산 효율성 때문에 여전히 단단하게 제작됐다. 연구진은 “손이 단단한 고체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인체공학적 장치의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며, “3D 프린팅의 발전, 소프트 로봇공학의 대중화, 유연한 전자 장치와 같은 기타 트렌드 덕분에 이제는 인체에 더 잘 맞는 소비자용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플렉시마우스와 A-프레임 첫 번째 시제품인 '플렉시마우스'는 손으로 쥐었을 때 압력에 반응하는 유연한 메쉬 소재의 본체를 적용했다. 덕분에 사용자는 기기를 바닥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그립을 바꿔 커서를 조작할 수 있다. 두 번째 시제품인 A-프레임 마우스는 호주 멜버른 디자인 스쿨과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더 자연스러운 그립감을 제공하며 움직이는 부품이 적어 내구성이 높다. 또 손이 평평하게 놓여 있을 때처럼 팔의 요골과 척골이 지속적으로 교차되는 것을 방지해 손목 긴장을 줄여준다. 두 제품은 스웨덴 KTH 왕립공과대학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태스트됐다. 이들 중 다수는 게이머이자 마우스를 자주 사용하는 학생이었다. 전체 중 11명은 장기간 마우스 사용으로 인해 이전에 만성 불편함을 호소한 적이 있었고 4명은 임상적으로 RSI 진단을 받았다. 피드백은 엇갈렸다. 일부는 플렉시마우스가 손목의 위치를 자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지만 다른 참가자는 스크롤 휠과 같은 친숙한 기능이 빠진 점을 아쉬워했다. A-프레임 마우스 역시 손 크기에 따라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두 시제품 모두 손목 재배치가 크게 감소해, 불편함의 주요 원인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들은 향후 연구에서 유연한 디자인을 사용자의 손에 맞게 조정하거나 더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방법 등을 포함해 해당 기술을 더 진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의류처럼 컴퓨터 마우스를 맞춤화하고 개인화하는 시대가 머지 않았다고"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