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더 줄고 어려워져…'컬쳐핏' 더 따져야"
"많은 인사담당자가 직원 역량은 끌어올릴 수 있지만, 성향을 바꾸긴 힘들다고 말한다. 회사 문화와 잘 맞는지 알아보는 '컬쳐핏'이 채용에서 중요해졌다." 경기침체로 올해 채용시장이 유난히 더 얼어붙은 가운데, 인크루트가 '컬처핏으로 확인하는 취업 성공 전략'을 주제로 5년 만에 숭실대학교에서 27일 오후 오프라인 채용설명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정화식 인크루트 마케팅그룹장은 채용 동향에 대해 발표하며 "올해 대기업 공채는 줄어들고, 수시채용과 인턴채용이 대세로 자리잡았다"면서 "특히 기업에서는 직무 적합성보다 문화 적합성이라고 하는 컬쳐핏을 더 따져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 808곳 대상 설문조사...공채보다는 수시채용·인턴 선호 이날 인크루트가 공개한 올해 하반기 국내 기업의 채용 계획 여부와 채용 규모, 방식을 살펴보면, 국내 대기업 중에서 채용계획을 확정 지은 곳은 10곳 중 3.5곳(35.0%)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보다 무려 43.8%P 하락한 수치다. 특히 올해 채용계획을 확정 지은 대기업의 비율(35.0%)은 2014년 이후 인크루트가 실시한 역대 10년간 조사 결과에서 최저치를 나타냈다. 하반기 대기업 입사를 준비하는 구직자들은 전보다 훨씬 어려운 취업 환경에 처하게 된 것이다.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채용 규모에 대해서도 물었다. 먼저 대기업은 한 자릿수 53.8%, 두 자릿수 46.2%로 나타났다. 세 자릿수를 뽑겠다고 답한 대기업은 지난해에 이어 한 곳도 없었다. 채용 계획을 확정한 기업들에 어떠한 채용 방식으로 뽑을지도 물었다. 그 결과 정기 공채 22.6%, 수시 채용 61.9%, 인턴(채용 전환형 및 직무 체험형) 15.5%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수시 채용의 비중이 5.9%P 줄어들고, 인턴의 비중이 7.3%P 늘었다. 정기 공채는 1.4%P 줄었다. 정화식 그룹장은 "중견기업들이 오히려 채용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수시 채용을 하겠다는 비율이 높다"며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위해서 인턴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채보다는 수시채용과 인턴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 그동안 기업들은 지원자의 직무 적합성을 봤지만, 지원자의 성향과 기업 조직문화의 적합성, 업무 퍼포먼스 향상 및 향후 이탈 방지를 위해서 컬쳐핏을 더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직원 역량은 어떻게 해서든지 끌어올릴 수 있지만, 성향을 바꾸기는 힘들다고 판단하고 있어서다. 정 그룹장에 따르면 인사담당자들은 기업 SNS채널이나 홈페이지, 채용공고 등을 통해 조직문화를 확인해보라고 조언했다. 정 그룹장은 "인사담당자에게 컬쳐핏을 고려하는 채용이 퇴사율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더니 응답자의 90.9%가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다"면서 "향후에도 컬쳐핏 채용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구직자의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 채용 훨씬 더 보수적…인턴 등 경력부터 쌓는 것이 중요" 행사장에서 만난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는 대기업 공채 기회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인턴을 통한 채용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 대표는 "구직자들에게는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에서 1년의 인턴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힘든 과정이지만, 회사 입장에서는 인턴을 면밀히 살펴서 정직원으로 채용해도 되는지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며 "구직자들은 최대한 채용 시장에 빨리 나와 어떠한 일 형태이든지 경계를 생각하지 말고 경력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채용을 덜 하지만, 채용이 더 어렵게 됐다는 것이 채용 트렌드"라고 말했다. 서 대표는 "진성 구직자들과 기업들을 연결하는 데 더 집중할 계획"이라면서 "채용 계획이 있는 회사에 좀 더 몰입하고, 조직 적합도를 알 수 있는 검사에도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