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전장 자신감붙은 LG전자, 신사업 체질개선 속도
LG전자가 1분기 생활가전 사업 호조로 선방한 실적을 기록했다. LG전자는 콘텐츠, 서비스, 솔루션 등 비하드웨어 사업 매출을 늘리며 체질개선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1분기 매출 20조4천159억원, 영업이익 1조4천974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역대 1분기 실적 중 매출액은 2번째, 영업이익은 3번째로 높은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6%, 영업이익은 22.9%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경기 침체 여파로 경쟁사의 동 사업이 실적이 부진한 것과 대비해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생활가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H&A사업본부 매출액은 8조217억원으로, 전년 1분기 7조9천702억원보다 0.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조188억원으로, 단일 사업본부 기준 사상 첫 분기 1조원을 넘어섰다. HE사업본부의 1분기 매출은 3조3596억원으로 전년 4조649억원보다 17.4%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천884억원에서 2천3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전장 사업도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VS사업부의 1분기 매출액은 2조3천86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7.1% 늘었다. 영업이익은 67억원 적자에서 54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 웹OS 플랫폼·렌털 매출 성장 본격화 LG전자는 비하드웨어 매출을 앞으로도 계속 키워나갈 계획이다. LG전자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가전 사업에서 시스템 에어컨 및 빌트인 가전, 렌탈 사업 등 B2B 영역에서의 판매를 확대하고, 씽큐, 업 가전 등 스마트 가전과 연계된 새로운 사업 모델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TV 사업에서는 웹OS 플랫폼의 확산을 통해 웹OS 스마트 TV 생태계 확대를 구축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콘텐츠 사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한 성장 범위 확보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 LG전자에 따르면 스마트 TV 웹OS 플랫폼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고, 현재 기준 200여개사와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플랫폼 사업은 팬데믹 상황에서 2년 연속 작년 대비 2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렌털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간다. 렌털·케어십 서비스 매출의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CAGR)이 30% 이상이다. LG전자는 올해 렌털 사업 매출을 지난해(8천600억원)보다 최소 10% 성장하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달성하게 될 경우 렌털 매출만 1조원에 육박한다. 말레이시아의 성공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 확대도 준비 중이다. LG전자는 정수기 외에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에어컨 청소기 등 연말까지 렌털 적용 제품을 순차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 로봇·전기차 충전 등 신사업 발굴 LG전자는 로봇, 전기차 충전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신사업 측면에서는 로봇, 전기차 충전 솔루션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사업 영역에 대한 연관 기술과 제품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추가적인 신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탐색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 성장의 모멘텀을 강화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는 기존 주력 사업 포텐셜을 확보하고, 두 번째로는 성장 잠재력이 큰 새로운 사업 영역에 진출함으로써 미래지향적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자체적인 선행기술 개발 투자뿐만 아니라 인수합병(M&A)와 JV 등 인오가닉 방식의 미래 사업 준비 활동 또한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LG전자는 2분기 국내에서 완속급속 충전기 제품을 출시하고, 서빙 로봇 점유율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 사업 관련해서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시장 진입을 준비 중이다. 배송 및 서빙 로봇 분야에서도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 시장에서 실내 자율주행 기술과 함께 멀티로봇 운용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배송 물류 로봇 중심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며 "특히 서빙 로봇은 국내 주요 통신사업자와의 사업 협력을 통해서 올해 의미 있는 수준의 국내 시장 점유율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물류 로봇은 국내 주요 물류센터 외에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 협력을 현재 추진 중에 있다"며 "로봇과 관련해서 중장기적으로는 시장이 먼저 형성된 F&B 영역을 볼륨존으로 먼저 활용하고, 물류 영역의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서 배송 물류 로봇의 자동화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의 사업 역량을 확보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