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전동화 숭고한 목적 아니야...실익있는 시장일 뿐"
[제주=이한얼 기자]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과거 내연기관에서 전동화라는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보이는 가운데 전기차는 목적이 아니라 이익을 창출할 수단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위원은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24일부터 25일 양일간 제주시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2023 K-배터리 R&D 포럼'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배터리 산업의 변화 및 미래'를 주제로 자동차 전동화의 흐름은 공급망의 지리적 확대와 더불어 많은 변화를 수반했다고 역설했다. 김 연구위원은 "2010년대 후반에 오면서 오프쇼어링 리스크, 미중 무역분쟁, 한일무역분쟁, 수에즈운하 좌초 등 이런 흐름하에서 글로벌 산업계는 크게 뒤흔들렸다"면서 "이 상황에서 물가상승완화, 중국 공급망 견제, 고용창출 등 전동화로 인한 실익으로 전기차가 급부상했다"고 전했다. 이어 "전기차는 목적이 아니고 성역도 아니다. 탄소중립에서 넘어가는 과정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이익이 있기 때문에 현재 각 국가들이 전동화에 공세적으로 나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IRA, 유럽연합(EU)의 CRMA, 매칭 보조금 등 보호무역주의가 난무하는 것 역시 이른바 리쇼어링 즉, 자국 외로 나간 기업들을 다시 자국에 유치해 고용창출, 원유 등 에너지로 인한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한 방안이라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과거 50년간 선진국들의 오프쇼어링 과정에서 중위소득 종사자들의 소득은 대폭 줄었다"면서 "전동화와 탄소중립은 그들에게 소득, 일자리를 주는 것과 동시에 정치 경제적으로 실질 이익이 있는 게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탄소배출량에서 모빌리티가 차지하는 비중은 37%다. 탄소중립으로 넘어가는 영역에서 자동차가 해야되는 영역이 상당히 크다. 경제적으로 보면 제조업 내에서 고용유발계수와 생산유발계수 파급 효과면에서 타 산업대비 압도적인 수준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중립과 전동화는 숭고한 목표가 아니라 실질 이익이 있는 게임이다"면서 "이런 흐름에서 전동화 자체는 구조적 흐름을 보이는데 이러한 대명제는 전혀 의심할 필요가 없다"고 부연했다. 또 김 연구위원은 최근 전동화 공급망의 핵심은 지리적으로 넓어지는 것과 동시에 중국의 영향력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전동화 시대에 들어오면서 전기차 제조원가의 30%를 차지하는 배터리의 주요 핵심소재 광물권역인 아프리카, 남미, 동남아 등 공급망의 면적이 지리적으로 넓어지는 추세"라면서 "중국은 내연기관 당시 뿐만 아니라 전기차로 넘어오게 되는 요즘에도 배터리 주요 광물을 쥐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영향력은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2009년 중국이 세계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2%이었던 반면 전동화 시대가 본격 도래한 2021년엔 30.3%까지 큰 폭으로 상승했다. 김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효 등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는 미국의 목적은 이른바 '프렌드쇼어링' 즉 자국에 우호적인 국가들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는 게 지상과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