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잠잠할 날 없는 카카오
카카오가 또 시끄럽다. 최근 한 CA협의체 임원이 딸 결혼식에 직원을 동원했다는 주장이 익명 커뮤니티를 통해 제기되면서다. 사실관계가 모두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단순한 사적 심부름 논란 이상으로 내부 구성원의 문제의식이 표출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익명 커뮤니티에서는 특정 임원에게 인사·전략 등 핵심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돼 있다는 내용의 글도 올라온다. 법적 대표 체계와 별개로, 실질적 의사결정력이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한 비등기 임원에게 쏠려 있다는 얘기다. 주요 자회사 인사권을 포함해 김범수 의장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자리라는 증언도 나온다. 문제 제기는 사실 여부를 떠나 조직 내 인식 변화를 보여주는 신호이기도 하다. 일부 조직에서 특정 인물과의 갈등을 이유로 퇴사가 이어진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아울러 회사 측은 최근 불거진 임원 딸 결혼식 직원 동원 논란에 대한 사실관계조차 며칠째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카카오의 사례가 유독 크게 부각되는 데는 기업 성격도 영향을 미친다. 카카오는 국민 생활 전반에 연결돼 있는 플랫폼 기업으로, 금융·모빌리티·콘텐츠·커머스 등 다양한 규제와 공적 기대 속에서 움직인다. 이런 기업에서 '관계 중심'의 거버넌스가 형성돼 있다는 의심이 제기되면 파장은 일반적인 기업보다 더 크게 확산될 수밖에 없다. 최근 카카오 내부에서는 경영 리더십의 불안, 사업 재편 과정, 내부 통제 이슈 등이 이어지며 조직이 안정성을 잃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사적 영역과 업무의 경계가 흐려졌다는 논란은 구성원의 불신을 확대하는 기폭제가 된다. 따라서 이번 익명 게시판을 통한 문제 제기는 특정 인물에 대한 비판을 넘어, 조직 구조 전반에 대한 경고음으로 읽을 필요가 있다. 이를 단순 온라인 여론으로 치부한다면 카카오는 중요한 신호를 놓칠 수 있다. 카카오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명확하다.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 권한과 책임의 균형 재정렬, 측근 중심이 아닌 시스템 기반 관리체계 확립. 이 세 가지가 정비되지 않는다면, 유사한 논란은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플랫폼 기업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뢰는 결국 이 지점에서 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