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어 임상강사·전임의도 집단행동…"의업 이어갈 수 없어"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및 필수의료 정책패키지로 불거진 의사 집단행동이 의료 대란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전공의들이 속속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며 보건당국의 정책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임상강사와 전임의도 반대 행렬에 동참의 뜻을 밝혔다. 공공병원을 포함해 국공립대병원 등 총 82개소 의료기관 소속 임상강사와 전임의는 입장문을 통해 “정부가 현장 의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의료 정책 발표했다”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이들은 “정부 정책은 현재 낮은 필수의료 수가 및 비정상적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기준 진료 등 의료계 현실과 고령화·저출산으로 야기될 앞으로의 대한민국 보건현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되고 있다”라며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사안이 단순히 의대정원 증원의 문제로 치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 수련병원에 남아 더 나은 임상의와 연구자로서의 소양을 쌓고자 했다”라며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어린 제언이 모두 묵살되고, 국민들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소통 없이 필수의료 패키지라는 명목 하에 장기적인 의료 문제를 야기할 잘못된 정책을 강행했다”라며 “의료 혼란과 공백을 초래한 보건복지부는 의료인 협박과 탄압을 중단하고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반면, 정부 입장은 강경하다. 이날 오전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의약분업, 원격의료를 시도했었던 박근혜 정부 때의 의료 파업, 문재인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을) 시도했을 때의 의료 파업에 이어 대규모의 파업들이 또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때마다 환자들이 고통과 곤란을 겪었고 정부는 또 의료계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었지만 이러한 역사를 더 이상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편하고 어려움이 있지만 비상진료체계를 잘 짜서 최대한 중증·응급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국민의 지지를 요청했다. 한편, 이날 집단행동 입장을 밝힌 전임의·임상강사의 소속 병원은 다음의 82개소다.(가나다순) ▲가천대 길병원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강남차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강동성심병원 ▲강릉아산병원 ▲강북삼성병원 ▲강원대병원 ▲건강보험 일산병원 ▲건국대 서울병원 ▲건양대병원 ▲경북대병원 ▲경상대병원 ▲경희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고려대 안산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고신대병원 ▲국립경찰병원 ▲국립암센터 ▲국제성모병원 ▲노원을지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대전을지대병원 ▲동국대 일산병원 ▲동아대병원 ▲명지병원 ▲부산대병원 ▲분당 차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제생병원 ▲삼성서울병원 ▲삼성창원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순천향대 천안병원 ▲아주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영남대병원 ▲울산대병원 ▲원광대 산본병원 ▲원광대병원 ▲원자력병원 ▲이대서울병원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 ▲인제대 상계백병원 ▲인제대 일산백병원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인하대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조선대병원 ▲중앙대병원 ▲중앙대광명병원 ▲중앙보훈병원 ▲창원경상대병원 ▲충남대병원 ▲충북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한림대 성심병원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한양대 구리병원 ▲한양대 서울병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