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게임체인저 튜브로봇, 사업비·공사기간 아껴요"
그동안 건설 현장에서 마감 자재를 옮기는 양중(揚重) 작업은 오롯이 사람 몫이었다. 1천 세대 공동주택을 짓는 경우 짐을 나르는 노동자가 약 8천 명이 필요했다. 전체 투입 인력의 3%에 해당하는 규모다. 고레로보틱스는 이런 양중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건설자재 운반 로봇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이동민 고레로보틱스 대표는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뒤 포스코건설에 입사해 약 9년 간 현장을 경험했다. 이후 포스코그룹 사내벤처로 사업을 구상하고 지난해 회사를 차렸다. 이동민 대표는 “로봇이 작업을 대신하게 되면 노무비 약 12억원을 아낄 수 있고 공사 기간을 1개월가량 단축할 수 있다”며 “사람이 낮에 자재를 옮기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한정된 탓에 병목 현상이 불가피했는데 이 작업을 야간에 자동화하면 그만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단박에 시제품부터 CES 혁신상까지" 고레로보틱스는 지난해 6월 충남 아산에서 제품 프로토타입 현장 테스트를 진행하며 야간 무인 양중 유효성을 확인했다. 당시 보다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여러 자재를 동시에 적재할 필요성을 발견했다. 같은 해 9월에는 경기 광주에서 두 번째 모델인 'GL250' 테스트를 진행했다. 공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자재와 험난한 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능을 갖춘 형태다. 여러 자재를 원하는 층에 자율적으로 하차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최대 적재 하중은 약 150kg. 최대 적재 시 약 2시간, 50kg 이하 적재 시에는 4시간 운행이 가능했다. 위치정보시스템(GPS) 수신이 어려운 건설현장 특성을 반영해 건축 도면을 학습해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어 최근 개발된 세 번째 모델 'GL164'는 튜브와 유압 시스템을 더해 하차 효율성을 높였다. 로봇이 자재를 하차할 때 튜브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야적장으로 복귀하고, 야적장에서 다시 짐을 실을 때에 부풀려지게 되는 원리다. 이런 방식으로 기존 로봇에 필요했던 부품 수와 무게를 크게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개선했다. 이 제품은 최근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 CES 2024에서 혁신상을 받기도 했다. 이 로봇들을 승강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도 개발됐다. 승강기를 뜯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 조작반 위에 부착하는 비침습적 방식을 채택해 스마트 엘리베이터가 보급되지 않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스스로 엘리베이터 위치를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로봇이 요청하는 층의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자율 주행을 돕는다. ■ "특수 플라스틱 튜브 안 터져요" 이 대표는 “약 70% 자재에서 무게보다 부피가 이송 효율을 결정하는 요소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공압을 사용하는 에어 튜브는 이런 방향성이 잘 맞았다”고 말했다. GL164는 적재 하중이 소폭 감소됐으나 적재 부피가 증가해 전체적인 양중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또 일부 자재에 대해 GL250과 혼용해 사용할 수 있다. 로봇 자체 무게의 감소로 인한 전성비 개선, 로봇 제조원가 감소, 효율적인 이동·수납 등 이점을 갖췄다. 튜브가 고장날 우려는 없을까. 이 대표는 “산업용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내부 압력이나 외부 충격으로 쉽게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고 견딜 수 있다”며 “로봇이 자재를 상하차할 때 작업 현장과 자재 특성이 고려되기 때문에,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튜브가 손상을 입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 "로봇 불모지서 2027년 연매출 1천억 목표" 건설 현장은 지형이 복잡하고 단순 반복 작업이 적어서 로봇을 활용하기 쉽지 않다. 다만 최근 현장 노동자 고령화와 인력난이 심화되면서 건설업계가 자동화 설비 개발과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는 “자율 주행을 활용한 건설 현장 내 물류 이동은 일본 건설사에서 개발해 상용화한 사례가 있지만, 팔레트 단위 이동만 가능하고 작업 공간까지 세분화된 물류 이동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고 전했다. 이에 고레로보틱스는 건설 자재를 박스 단위로 세분화해 작업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노동자가 즉시 작업에 착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설명이다. 고레로보틱스는 지난해 자체 필드 테스트 2회, 공개 필드 테스트 1회를 진행하면서 기술 보완점을 확인했다. 올해 초 CES 전시를 마친 이후에도 라스베이거스 인근 사막에서 로봇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고 방진·방습 등 기술적 안전성을 점검했다. 올해 3월에는 포스코 그룹이 발주하는 프로젝트에서 상용화 실증(PoC)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수주하기 위해 컨소시엄도 준비 중이다. 이 대표는 “오는 6월경부터 본격 매출을 내기 시작해 올해 매출 50억원을 기대하고 있다”며 “설립 5년차인 2027년까지 연매출 1천억원을 달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건설 현장의 새벽 배송 목표" 고레로보틱스는 '건설 현장의 새벽 배송'을 목표로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무인 양중 로봇은 서비스의 밑그림에 불과하다. 로봇은 자재를 나르고 하차할 수 있지만 아직 스스로 상차하는 작업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먼저 무인 상차 작업에 로봇 팔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 중이다. 적재 모듈과 모빌리티를 모듈화해 다양한 자재 상하차에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또 공사 현장 내 물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추적 기능도 고안하고 있다. 데이터는 건설사가 공정·인력 관리나 기성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대표는 “어떤 건설자재가 어디에 얼마만큼 투입됐는지 정보를 전 구성원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며 “21세기 건설 산업에서 진정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평가 받는다”고 강조했다. 이동민 고레로보틱스 대표 프로필- 2013년,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건축기사·건축산업기사-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 10년 근무- 포스코그룹 사내벤처 포벤처스 4기 선발- 現 고레로보틱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