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건강보험 진료비 110조원…노인 환자만 49조원
지난해 우리나라 건강보험 진료비가 전년보다 4.7% 증가한 약 110조원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의 진료비가 49조원에 달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사회적 부담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3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건강보험 진료비는 110조8천29억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이 가운데 급여비는 83조 925억 원으로 진료비의 75% 차지했다.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17만9천601원으로 전년 대비 4.6% 늘었다. 입·내원 1일당 진료비는 10만2천83원으로 전년 대비 3.7% 상승했다. 특히 65세 이상 진료비는 48조9천11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늘어났다. 전체 건강보험 적용인구의 17.9%인 65세 이상 인구 922만 명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44.1%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전년 대비 0.9%p 증가한 것으로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 건강보험 심사결정 진료비 요양급여비용(진료비)은 112조7천431억원으로 전년 대비 9.48% 상승했다.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이 89조7천29억원, 약국 23조401억원으로 각각 전체 진료비의 79.56%, 20.44%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 외래에 49조6천197억원(44.0%)이, 입원에 40조832억원(35.6%), 약국 이용 23조401억원(20.4%) 등이다.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 진료항목별 진료비 구성비는 ▲처치 및 수술료 19.11% ▲검사료 17.70% ▲진찰료 17.54% 순이다. 질병군 범주별(DRG) 총 진료비는 1조8천786억원으로 전체 진료비 112조7천431억원의 1.67%였다. 청구 건수는 2022년 119만9천 건에서 작년 107만3천 건으로 10.51% 감소했다. 진료비도 같은 기간에 1조9천356억원에서 1조8천786억원으로 2.94% 줄었다. 관련해 건강보험료 부과액은 82조1천36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이는 직장보험료 72조3천670억원(88.1%)에 지역보험료 9조7천366억원(11.9%) 등으로 구분된다. 세대당 월평균 건보료는 13만4천10원으로, 직장인은 15만5천760원이며 지역가입자는 8만7천579원으로 나타났다. 관련해 건강보험 적용인구 1인당 연간 보험료는 159만6천983원으로, 1인당 연간 급여비는 179만6천30원으로 확인됐다. 건보 적용 인구는 5145만명 작년 말 의료보장 적용 인구는 5천297만 명으로 2022년 대비 0.07% 증가했다. 건강보험 적용 인구는 5천145만 명으로 전체 의료보장 인구의 97.1%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직장가입자는 3천637만 명으로, 건강보험 인구의 70.7%였으며, 지역가입자는 1천509만 명(29.3%) 등이다. 요양기관의 수는 10만1천762개소로 전년 대비 1.36% 늘었다. 요양기관은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 7만 7천55개소(75.7%)와 약국 2만4천707개소(24.3%)로 구성됐다. 특히 의료기관과 보건기관의 기관 수 구성비는 ▲의원 3만5천717개소(46.4%) ▲치과 1만9천271개소(25.0%) ▲한방 1만5천151개소(19.7%) 순으로 많았다. 요양기관 종사자는 47만8천353명으로, 전년보다 4.23%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은 44만3천149명(92.6%)이, 약국은 3만5천204명(7.4%)이 종사하고 있었다. 요양기관 전체 인력의 구성비는 종합병원이 11만8천747명(26.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상급종합병원 9만6천871명(21.9%) ▲의원 6만9천390명(15.7%)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직종별 인력 증감률은 ▲간호사 5.98% ▲약사 및 한약사 2.66% ▲의사 2.12% ▲치과의사 1.45% ▲한의사 1.31% 순이었다. 또 작년 분만 건수는 23만510건으로 전년 대비 6.52% 감소했다. 분만 기관수는 468개소로 전년 대비 1.27% 줄었다. 자연분만 건수는 2022년 9만5천667건이었지만 작년에는 8만3천337건으로 12.89% 감소했다. 제왕절개 건수도 15만912건에서 14만7천173건으로 2.48% 줄었다. 아울러 만성질환에 대한 진료실 인원은 2천143만 명으로, 고혈압 747만 명, 관절염 529만 명, 정신 및 행동장애 415만 명 순이었다. 중증질환 산정특례로 진료받은 인원은 273만 명이었는데, ▲암질환 144만 명 ▲희귀난치성질환 105만 명 ▲심장질환 11만 명 순이었다. 한편, 작년 병원에서 주사제 처방률 및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제 처방률은 2022년 10.38%에서 작년 13.10% 2.72%p 증가했다.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의 경우에도 같은 기간동안 37.72%에서 51.05%로 13.33%p 크게 늘었다.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소폭 감소했다. 통상 상기도감염에 항생제 처방해야 하는 사례는 드물다.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 가능성이 1%~5% 가량으로 낮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작년 이후 상급종합병원을 제외한 요양기관에서 처방률이 급증한 것은 개선점으로 지적된다. 빈번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 증가와 함께 건보재정에도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의료계는 항생제는 심사평가원 약제급여 적정성평가 대상인만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