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계약학과 확대..."현장 적재적소 인력 수급이 중요"
반도체 업계가 관련 계약학과 규모를 키우는 정부 정책을 환영하면서도 현장에서 인력이 필요한 적재적소에 배치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대학이 전체 입학 정원의 50%까지 첨단 분야 계약학과에 정원 외 선발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계약학과의 정원 외 선발 규모는 총 입학 정원의 20%를 넘지 못했다. 반도체 업계 모 관계자는 “계약학과 인원을 늘리는 것은 좋다”면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지나 소재·부품·장비 업체까지 내려가도록 인재가 폭포수처럼 흘러넘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설계·소재·부품·장비 쪽에서 특히 인력이 부족하니 현장에서 필요한 부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며 “국내 반도체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살아나야 최종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사정도 좋아진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계약학과가 당장 인력을 수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궁극적으로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인재를 길러낼지는 의문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서울대 명예교수인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계약학과 학생 인원이 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보내는 데 도움은 될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최첨단 산업에서 독창적인 인재가 얼마나 나올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그는 “반도체는 종합 과학이라 물리·화학·재료·전기공학과 여러 상식·배경지식을 갖춰야 한다”며 “취직만을 위한 계약학과는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내 반도체 산업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계약학과를 통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거치더라도 소재·부품·장비와 팹리스 업체에까지 창의적인 인재가 가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계약학과에 투자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실제 데려오는 인원이 70%밖에 안 된다”며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의사가 되기로 진로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연세대·고려대·서강대·한양대 4개 대학 반도체 계약학과에 합격했으나 등록하지 않은 비율은 모집 인원 대비 155.3%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한국과학기술원(KAIST)·포항공대·울산과기원(UNIST)·대구과기원(DGIST)·광주과기원(GIST)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고려대·서강대·한양대에 계약학과를 꾸렸다. 계약학과는 학사 과정을 마치면 입사가 보장되는 채용 연계형 교육 과정이다. 학교를 다니는 동안에는 등록금 전액과 학비 보조금을 받는다. 사업장과 국내외 학회·전시회를 견학하고 인턴십에 참가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