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RNA로 특정 질병 유전자 치료 가능성 열어
KAIST는 생명과학과 김윤기 교수 연구팀이 원형 RNA를 이용해 세포 내 특정 mRNA의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원형RNA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지만, 이에 대한 메커니즘을 모두 규명하지 못했다. 또 mRNA는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DNA 정보를 전사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19가 유행할 때 중소기업이던 모더나는 mRNA를 이용한 백신을 단시간에 만들기도 했다. 연구팀은 RNA 분해 기전이 mRNA 품질 관리 기전인 '논센스 돌연변이 매개 mRNA 분해'(NMD) 의 새로운 메커니즘이란 것을 처음 확인했다. NMD가 원형 RNA(circular RNA)에 의해 유도된다는 기전을 활용해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 KAIST 생명과학과 부성호 박사후연구원은 "NMD와 관련한 단백질을 제거했을 때 RNA 분해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EJC(엑손 접합 복합체)를 갖는 원형RNA가 mRNA의 3'UTR(비번역 부위)과 결합해 mRNA를 빠르게 분해한다는 걸 확인하고, 이를 'circNMD'(서크엔엠디)라 명명했다"고 말했다. 부 연구원은 "이는 특정 유전자의(추가)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치매나 당뇨 등의 치료제로 사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