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AI페스타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오메가3'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4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이집트, 건강보조식품 생산 '급증'…지리적 강점이 주효

오랜 경제 위기를 겪은 후 경제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집트에 '건강보조식품'이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북아프리카 국가 최고 식품·의약품 산업 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타민과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알약, 분말, 식품의 현지 생산이 급격히 늘어났다. 해외 수출 규모는 3억5천만 달러(약 4천925억원)에 달했으며 이는 2022년보다 75% 증가한 수치다. 모하메드 안와르 이집트 보충제 생산·수출협회 회장이자 건강식품 및 보충제 제조업체 오가닉스 회장은 “2020년대 말까지 수출 10억 달러(1조4천71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주요 수출 대상국은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터키, 시에라리온, 토고 등이다. 안와르 회장은 낮은 생산비용과 중동 및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이 새로운 시장 진출에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5천700억달러(약 802조470억원) 규모의 글로벌 구제금융을 체결한 이집트는 외환 부족 사태의 재발을 피하기 위해 산업 생산과 수출을 확대하려고 하고 있다. 앞으로 정부는 5년간 매년 수출을 20%씩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석유 부문 수출액은 408억 달러(약 57조3천770억원)였으며, 이 중 영양 산업 제품은 약 60억 달러(8조4천378억원)를 차지했다. 건강보조식품 수출이 10억 달러(약 1조4천63억원)에 도달할 경우 지난해 이집트 섬유 산업 수준과 맞먹게 된다. 세계웰니스연구소는 팬데믹 이후 면역력 강화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및 보충제 소비가 급증했다. 보고서는 건강한 식단, 영양, 체중 감량 관련 제품과 서비스와 함께 비타민 빛 보충제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에서 346억 달러(약 48조6천58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2025.09.29 09:50박서린

전자기파로 식용기름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량 간단히 측정

병을 열지 않고도 식용기름에 들어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연세의료원-생명공학연구원 메디컬융합연구소 오승재, 양난희, 맹인희 교수가 포항가속기연구소와 고등광기술연구원과 함께 테라헤르츠파로 식용기름이 포함하고 있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했다고 19일에 밝혔다. 오메가3 지방산은 중성지방 감소, 혈관 기능 개선, 알츠하이머병 예방, 암세포 억제 등 다양한 건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은 인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지방산으로 음식으로 섭취해야만 한다. 들기름의 경우 전체 지방산의 60% 정도가 알파리놀렌산으로 구성돼 있어 건강식품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 시중에는 들기름 함량이 20% 이하인 '들향기름' 제품이 존재해 오메가3 함량을 따져봐야 한다. 하지만 핵자기공명,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 기존 오메가3 함량 분석 방법은 높은 비용과 긴 분석 시간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THz-TDS)이다. 테라헤르츠파(THz)는 0.03~3mm에 이르는 전자기파로 X-ray와 달리 인체에 무해하며 우수한 물질 투과성을 지닌 방사선이다. 시료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석할 수 있는 비파괴 측정 기술일 뿐만 아니라 분자의 구조적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에 차세대 의료 진단기술로 꼽힌다. 연구팀은 콩기름, 옥수수유, 들기름 등 다양한 식용오일을 기존 성분 분석 방법과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을 차례대로 적용해 알파리놀렌산 함유량을 알아낼 수 있는 도구로서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의 신뢰성과 실효성을 확인했다. 콩기름, 옥수수유, 들기름이 함유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전통적인 알파리놀렌산 정량분석 방법인 핵자기공명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콩기름, 옥수수유, 들기름의 함량은 각각 8.0%, 3.6%, 58.5%였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으로도 식용오일의 분자 결합 구조를 파악해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같은 오일에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을 적용해 기존 방법과 동일한 결과값을 확인했다.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 분석에서는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오일일수록 굴절률과 흡수 계수가 비례해서 증가했다. 굴절률은 빛의 속도가 물질 안에서 얼마나 느려지는지와 흡수 계수는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얼마나 흡수돼 약해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기술이 보여주는 굴절률과 흡수 계수 값을 보면 오일이 함유한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정량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연구팀은 오일이 담긴 병을 열지 않고도 알파리놀렌산 함량에 따른 테라헤르츠파의 반사율 차이를 구별하는데 성공했다. 테라헤르츠를 오일에 쏘고 오일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인 반사율을 측정했는데, 오일은 함량에 따라 다른 반사율을 보이기 때문에 기름을 꺼내지 않고도 알파리놀렌산의 농도를 구분할 수 있었다. 오승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테라헤르츠 기술을 이용한 오메가3 함량을 분석한 사례”라며 “오메가3 함량 분석을 샘플 전처리 없이 간단하게 병에 담겨있는 채로 비접촉식, 비파괴적, 실시간 검증의 가능성을 제시해 테라헤르츠를 활용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제시한 연구”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STEAM 연구사업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npj 식품과학(npj science of food)'에 게재됐다.

2025.08.19 15:53조민규

여섯발자국 닥터뮨, 반려동물용 '식물성 오메가-3' 출시

여섯발자국의 반려동물 면역 영양제 브랜드 닥터뮨이 반려동물의 두뇌, 심혈관 등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식물성 오메가-3'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식물성 오메가-3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원료로 한 영양제로 반려동물의 두뇌, 피부, 신장, 콜레스테롤, 눈, 관절, 심혈관 등 전반적인 건강 기능에 도움을 준다. 강아지와 고양이는 오메가3 지방산인 ALA를 EPA와 DHA로 전환하는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EPA와 DHA를 직접 섭취해야 한다. EPA는 혈중 중성지질을 감소시키고 혈행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고 DHA는 뇌와 신경조직 및 눈의 망막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식물성 오메가-3는 1그램당 645mg의 EPA와 DHA 오메가3를 함유했다. 식물성 오메가-3는 생태계 먹이사슬 최하단인 미세조류 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동물성 성분으로 인한 알레르기나 위장 장애가 있는 반려동물들에게도 안심하고 섭취시킬 수 있다. 또 연어나 참치 등 어류 추출 오메가 3와 달리 해양오염으로 인한 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 걱정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도 있다. 고양이와 개를 대상으로 수십 차례 테스트한 결과 기호성 수치도 높은 편이다. 미국 펫 영양원료 전문 제조사 DSM의 원료로 만든 제품으로 처음 접하는 반려동물들도 특유의 어취를 느끼지 못하며,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윤태영 여섯발자국 대표는 “기존의 동물성 오메가3는 알레르기나 위장 장애가 있는 반려견이나 반려묘들에게 제공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며 “식물성 오메가-3는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한 것은 물론, 해양 오염으로 인한 걱정도 뛰어넘은 반려동물 면역 영양제”라고 말했다.

2024.07.25 16:47백봉삼

알피바이오, 아동 건기식 '오메가3 츄어블 캡슐' 라인업 늘려

알피바이오가 어린이 건강기능식품 제품 라인업을 대폭 확대한다. 회사는 츄어블 캡슐 확대 계획으로는 기존 오메가3·비타민D·루테인 등에서 감마리놀렌산·철분 등과 같은 영양성분 확대로 기능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젤라틴 츄어블 위주에서 전분과 카라기난을 주원료로 하는 식물성 츄어블로 확대하기로 했다. 몰드의 다양화 경우 연질캡슐, 물고기 모양 등에서 하트, 물방울 등 다양하게 확대할 계획이다. 알피바이오의 츄어블 연질캡슐 기술은 ▲오렌지·레몬·초콜릿·복숭아·박하·사과·포도·말랑카우·블루베리·딸기 맛 ▲일반·물고기·하트·세모 모양 ▲100mg~130mg 등 초소형 캡슐 제작 등이 가능해 어린이의 섭취 편이성을 높여 준다. 알피바이오 시스템은 미국 알피쉐러의 원천기술을 계승하여 제조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기준을 충족하며 더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을 적용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엄격한 원료 규격을 설정해 ▲미세기포를 제거한 '휘산식 탈포' ▲최대 소형캡슐 제작 가능 ▲높은 품질 관리 등이 차별화된 경쟁력이다. 이런 기술이 적용돼 회사가 제조하는 제품군은 ▲에프엔디넷 '알티지 오메가3 츄어블 키즈' ▲일동후디스 '하이키드 DHA 플러스' ▲SFC바이오 '앙팡 츄어블 식물성 오메가3' ▲일동제약 '마이니 비타민D3 2000IU' ▲한국암웨이 '면역 톡! 햇살 담은 비타민D' ▲동국제약 '미니츄비타민D3' ▲녹십자웰빙 'PNT 루테인 하트츄어블' ▲메디쿼터스 '락티브 면역케어 브라질 그린 프로폴리스' 등이 있다. 회사 관계자는 “건기식 전문 R&D 연구소·공장·미국 FDA 품질 관리 기준·대형 제약사 레퍼런스 등 타사에서 할 수 없는 고도화된 건기식 개발을 선도할 것”이라며 “츄어블캡슐·젤리스틱·분말스틱·츄어블정제 등 건강기능식품의 맛과 제형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연질캡슐 특허기술을 통한 고품질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04.23 16:02김양균

  Prev 1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韓 미래 바꿀 혁신 무대 열린다…30일 인공지능 주간 'AI페스타' 개막

우체국 금융서비스 정상화...인터넷뱅킹·체크카드 재개

[단독] 정보협박범 '킬린', 토목업체 유신 내부 데이터 공개

[ZD브리핑]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AI 진흥주간’ 열린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