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 "오픈AI 등과 인프라 경쟁하면 안돼"
"우리가 미국 아마존이나 오픈AI와 같은 곳과 인프라 경쟁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고속도로를 깔아놓으면 잘 활용하면 됩니다. 금융이든 법률이든 교육이든 AI를 잘 활용해 고도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것에서 부가가치를 만들어 산업화하는게 중요합니다."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태재대 총장 겸 SK 이사회 의장)은 5일 SK그룹이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SK AI 서밋 2024' 둘째 날 행사에 참석해 "모든 분야가 AI로 바뀌어져야 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염 부위원장은 '대한민국 AI전략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고 패널 토론 좌장도 맡았다. 토론에는 박상현 리벨리온 대표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 오혜연 KAIST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다. 염 부위원장은 고려대에서 행정학으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고려대 총장을 역임했고, 과기정통부가 운영한 디지털신질서협의체 회장을 맡아 디지털 권리장전을 만드는데 기여했다. 그가 부위원장으로 있는 국가AI위원회는우리나라가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지난 9월 26일 정부가 발족한 단체다.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위원은 과기정통부, 기재부 등 부처 장관 10명과 교수, 기업인 등 민간 전문가 30명이 활동하고 있다. 산하에 5개 분과위원회(기술&혁신, 산업&공공, 인재&인프라, 법제도, 안전&신뢰)와 3개 특별위원회(AI반도체, AI바이오, AI안보)를 뒀다. 세계 AI석학인 제프리 힌튼과 앤드류 응도 자문을 하고 있다. 염 부위원장이 총장으로 있는 태재대는 국내 최초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형 오픈캠퍼스를 표방하는 4년제 혁신대학이다. 재학 중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의 도시 기숙사에서 함께 생활하며 학습하는 전 과정 기숙대학(레지던셜 칼리지)을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이날 염 부위원장은 "제가 1980년대 스탠포드에서 인텔, IBM 등 반도체산업 정책을 연구해 박사학위 논문을 받았다. 그때만해도 한국이 반도체를 하는 건 말도 안되는 이야기였다. 그런데 지금 잘하고 있다"며 정치학 박사지만 반도체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국내외서 무모한 도전으로 여긴 반도체가 성공했듯이, AI 역시 민관이 힘을 합치면 세계 3대 AI강국을 달성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그는 미국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로 특이점(싱귤래리티)을 강조하는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 말을 인용해 AI 중요성을 설명했다. 특이점은 인공지능이 사람 지능을 뛰어넘는 시기인데, 커즈와일이 당초 그 시기를 2049년으로 잡았다 올해 내놓은 신간에서 AI때문에 그 시기를 2029년으로 앞당겼다. 또 '사피엔스'라는 책을 써 일약 세계 석학으로 부각한 유발 하라리 말도 인용했다. 하라리는 '호모데우스'라는 책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어 신과 같은 존재가 될 거라며 인공지능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생성AI는 역사상 가장 빠르고 광범위한 혁신을 유발하고 있다. 염 부위원장은 "챗GPT 사용자가 1억명이 되는데 걸린 시간이 2개월로 역대 신기술 중 가장 빨랐다. 구글 검색은 8년, 유튜뷰는 2년 10개월, 인스타그램은 2년 6개월 걸렸다"고 말했다. 1456년 나온 금속활자와 AI도 비교했다. 금속활자가 나오면서 이후 서구는 르네상스와 산업 및 과학혁명과 시민혁명을 맞는 등 세상이 완전히 바뀌었다면서 AI 역시 세상을 완전히 바꿀 것이라는 거다. "이렇게 바뀔 때 영국이 산업혁명으로 세계를 대표했는데, 우리나라는 과연 무엇을 할 것인가가 고민의 시작"이라고 들려줬다. AI의 경제 및 사회적 효과도 짚었다. 과기정통부가 베인앤컴퍼니와 같이 만든 자료를 인용, 오는 2026년까지 연간 300조원 이상의 경제효과가 있으며, AI에 따른 매출 증가는 123조원, 비용절감은 187조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AI가 촉발하는 혁신에 성공할 경우 국내 GDP가 연간 1.8%포인트 추가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의 현 주소와 잠재력에 대해서는 "메모리 반도체 1위, AI특허 3위 등 잠재력이 높다. 세계 AI역량 수준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싱가포르, 영국, 프랑스 등과 함께 3위권 수준"이라면서 "정부와 기업, 민간전문가가 원 팀이 돼 혁신역량을 총집결해 한번 바꿔보겠다는 생각으로 국가AI위원회를 만들어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AI위원회가 아직 사무실을 못 구했지만 민간위원들과 만나 계속 논의하고 있다면서 "제일 중요한 거는 인프라를 굉장히 확충해야 하는 거다. 3년 안에 2조 정도를 투자해 컴퓨팅센터를 만들고 스타업들을 지원하며 세제 혜택 등을 이야기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