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화장품, 작년 글로벌 4위 '85억불' 수출 규모 기염
지난해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 규모가 전년도 80억 달러보다 6.4% 성장한 85억 달러(약 11조468억 원)를 기록했다. 역대 2위 실적에, 글로벌 4위 규모로 명실 공히 K-화장품의 위력을 대·내외에 과시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월~3월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7% 증가한 23억 달러로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나타내는 등 뚜렷한 수출 회복세를 보였다. 작년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27억8천만 달러 ▲미국 12억1천만 달러 ▲일본 8억 달러 순이었다.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화장품 수출의 대부분(90.3%)이었다. 눈여겨볼 부분은 중국으로의 화장품 수출 비중 감소다. 최근 3년간 중국 화장품 수출 비중은 ▲2021년 53.2% ▲2022년 45.4% ▲2023년 32.8% 등으로 지속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북미·유럽 등 전체 대륙권에서 수출이 증가한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 세계 165개국으로 화장품을 수출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수출액은 ▲아시아 58억 달러 ▲북미 13억 달러 ▲유럽 11억 달러 ▲중동 1억6천만 달러 ▲대양주8천만 달러 ▲중남미 5천만 달러 등이다. 특히 작년 대미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도 대비 44.7% 상승해 10억 달러를 돌파한 점은 의미가 깊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의 화장품 수입국은 우리나라가 5위이고, 중국이 6위다. 이와 함께 일본은 프랑스보다 우리나라 화장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국내 화장품 대부분 유형에서 생산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6.8% 증가한 14조 5천102억 원을 기록했다. 유형별 생산액 및 비중을 보면, ▲기초화장용 7조9천455억(54.8%) ▲색조화장용 2조1천328억(14.7%) ▲인체세정용 1조8천902억(13%) ▲두발용 1조5천467억(10.7%) 등이다. 이 중에서도 색조화장품은 립제품 중심으로 가장 많은 생산 증가액 4천689억 원(28.2%)으로, 기초화장품에 이어 생산액 2위를 차지했다. 인체세정용 제품의 생산액은 메이크업 증가에 따라 이를 지우기 위한 폼클렌저, 화장비누 등 사용이 늘면서 2022년 대비 718억 원(3.9%) 증가했다. 아이섀도 등 눈 화장 제품과 두발 염색 제품 생산액은 2022년 대비 각각 314억 원(9.9%), 334억 원(11.2%) 증가했다.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액은 18.2% 증가한 5조4천391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37.5%를 차지했다. 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GMP와 국제 표준인 ISO기준을 조화하는 등 화장품 규제 체계의 국제조화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미국, 중국 등에서 안전성 평가제를 시행함에 따라 해당 국가의 규제담당자를 초청해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작년 화장품 생산·수출한 기업은 1만1천861개사이며, 생산액 1천억 원 이상 업체 수는 12개사다. 생산액 10억 이상 업체 수는 773개사, 10억 미만 업체 수는 1만1천88개로 확인됐다. 지난해 기업별 화장품 생산액은 ▲엘지생활건강 3조4천954억 원 ▲아모레퍼시픽 3조2천340억 원 ▲애경산업 3천180억 원 ▲애터미 1천766억 원 ▲클리오 1천602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