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집약적인 바이오 연구, 로봇으로 자동화"
바이오가 최첨단 산업 같지만 노동 집약적입니다. 자동화가 무조건 필요한데 무척 크고 복잡하고 비싼 장비들뿐이었죠. 전 세계 연구자들이 보다 가치 있는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실험 자동화를 돕고자 창업했습니다. 신상 에이블랩스 대표는 학생 시절 바이오 분야 연구에 매진하다가 로봇 자동화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를 이같이 소개했다. "그걸 왜 하나씩 손으로 해요?" 신 대표는 중학생 무렵 양가 할아버지가 암으로 세상을 떠난 뒤, 생명공학자의 꿈을 키웠다. 그는 '암을 치료하거나 감기처럼 만드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진로를 정했다. 고려대에서 생명공학 학사를, 성균관대에서 암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암 환자들의 샘플을 연구하며 약 7년의 시간을 보냈다. 신 대표는 “2012년부터 환자 맞춤형 암 치료법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에 주력했다”며 “당시 수백 명의 암 환자 샘플을 갖고 수십 가지 약물 처리를 하면서 효과를 살펴보는 게 일상이었다”고 회상했다. 연구는 생각보다 훨씬 단순하고 반복적이었다. 파이펫으로 극소량의 액체를 일일이 흡입·분주하는 작업을 하루 종일 해야만 했다. 반응은 눈으로 보이지도 않아서 분석 기계를 통해 살펴봐야 했다. 그는 이 작업이 마치 '요리'와 비슷했다고 비유했다.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는 것이 신 대표의 생각이었다. 실험 정확도의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사람이 많이 개입되는 작업인 만큼 개인 컨디션에 따라 미세한 편차가 많았다”며 “이런 연구 과정에서 소위 말하는 '현타'가 왔다”고 말했다. 자동화 장비가 있긴 했다. 다만 상용화된 제품들은 너무 크고 가격도 2억원대에 달할 정도로 비싼데다가 정해진 작업 외에 여러 실험에 응용하지 못했다는 것이 신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자동화 설비 기술을 익히기 위해 학위 과정 중인 2015년, 반도체 검사장비 업체 ATI에 입사했다. 그 곳에서 약 6년 동안 바이오 자동화 신사업을 담당하며 바이오 실험 자동화 장비를 15가지 이상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 이해도를 바탕으로 에이블랩스를 창업하게 됐다. "실험실 전자동화 꿈 이룰 거예요" 에이블랩스는 바이오 실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액체 핸들링 과정을 먼저 자동화하기로 했다. 전 세계 연구 과정의 약 90% 이상이 세포나 시약·용액을 여전히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점에 주목했다. 그렇게 탄생한 제품이 소형 액체 핸들링 로봇 '노터블'이다. 노터블은 12개의 표준 마이크로플레이트 슬롯에 마그네틱 쉐이커, 온도 제어 쉐이커 등 모듈을 장착해 유연하고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제품 상단에는 울파(ULPA) 팬 필터를 설치해 위생적 실험 환경을 구축한다. 가격은 3천만원 수준. 기존 유사 설비 대비 약 70~80% 저렴한 편이다. 연구자 친화적으로 설계한 인터페이스도 강점이다. 설비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도 소프트웨어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연구자들의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노터블은 활용 가능성을 인정받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에 공급됐다. 향후 국내뿐 아니라 북미 등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본격 비즈니스를 나설 계획이다. 두 번째 액체 핸들링 로봇 '수터블'도 내년 초에 선보일 예정이다. 노터블에서 그룹으로 움직이던 파이펫 8개를 모두 개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고도화한 형태다. 자동화할 수 있는 실험 영역을 확대하고 중견 이상 제약사를 겨냥하기 위한 제품군이다. 최종 목표는 전자동화된 실험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실험 아웃소싱 플랫폼으로 만들고 클라우드 기반 구독 모델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연구자들이 실험을 의뢰하면 전자동 시스템으로 모든 과정을 수행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델을 구상 중이다. 신 대표는 “연구자는 실험을 디자인하는 일을 하고, 소프트웨어 입력만 하면 로봇이 실험을 대신해주는 일이 보편화될 것”이라며 “세상에서 가장 연구자 중심적인 회사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블랩스는 미래에셋벤처투자와 퓨처플레이 등으로부터 누적 약 5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내년 시리즈A 투자 유치에 나서고, 2027년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세웠다. 글로벌 인수합병 가능성도 열어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