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윤 IDQ대표 "양자 킬러앱, 실생활 분야서 나올 것"
"내년은 양자 역학이 나온 지 100년 되는 해입니다. 양자에서도 챗GPT같은 킬러앱이 나올 것입니다. 우리 실생활과 가장 가까운 분야에서 나올 것입니다."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퀀텀 포럼 2024'의 패널토론에서 나온 얘기다. 이날 패널토론은 함재균 KISTI 초고성능컴퓨팅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패널로는 기조 강연자로 나섰던 백한희 IBM 퀀텀 일본사업총괄본부장, 주제 발표자인 엄상윤 IDQ 대표와 방승현 오리엔텀 대표가 참석했다. 함재균 센터장은 "세상을 바꿀 양자 시대가 그리 멀진 않은 것 같다. 지난해 노벨상이 양자 분야에서 나왔고, 향후에는 양자 솔루션에서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양자의 미래에 대해 전망해 달라고 주문했다. 답변에 나선 백 본부장은 "매년 퀀텀 컴퓨팅과 관련한 새로운 기술이 나온다"며 "퀀텀 컴퓨팅의 한계도 있지만, 향후 AI가 결합돼 새로운 무엇인가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방승현 대표는 "양자컴의 크기가 작아진다면 또다른 혁신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사실 퀀텀컴퓨터는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IBM의 127큐비트만해도 높이가 1m를 훨씬 넘는다. 좌장인 함 센터장은 "양자기술이 점점 산업으로 넘어가는 단계이고, 우리가 처한 현실에서 산업적인 상황을 본다면 미국이나 유럽보다 뒤늦게 출발한 것은 맞다"며 두 번째 질문으로 현재 우리의 전략과 국제협력, 인력 양성, 정부 역할 등에 대해 물었다. 엄 대표는 "반도체와 양자는 기술적으로 일맥상통한다."며 "우리나라가 세계 반도체를 선도하듯 양자에서도 기반기술이나 에코 시스템 역할을 하며 충분히 세계 양자 산업을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방 대표는 정부의 민간 투자 방향성 전환을 요구하며 "한국의 정책은 정부가 과제를 내고 이를 기업이 수주해 가는 구조인데, 이를 거꾸로 하는 것은 어떠냐"는 입장을 피력했다. 산업계가 풀지 못하는 아이템으로 문제를 내고, 이를 정부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이 풀어보면 어떻겠느냐는 얘기다. 만약 이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간다면 산업화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했다. 백 본부장은 "정부 전략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정부 펀딩이 얼마나 잘 집행됐느냐"고 되물었다. 백 본부장은 "한국 투자 메커니즘은 잘 모르지만, 과연 투자한 만큼 결과가 나왔는지 묻고 싶다"며 "미국은 투자에 대한 평가체계가 잘 확립돼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마지막 질문으로 함 센터장은 우리가 어떤 부문에 힘을 쏟아야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냐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방 대표는 "알고리즘이나 소프트웨어 쪽의 투자가 적다"며 "우리나라는 하드웨어 개발은 추격형에 속한다. 하드웨어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수만 가지 기술과 연구가 필요한데, 소프트웨어 쪽에 투자한다면 상대적으로 많은 특허 등 지적재산권이 나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엄 대표는 인력 양성과 글로벌화를 언급하며 "양자 교육은 대부분 학계에서 이루어지는데, 이제는 산업계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엄 대표는 산업계 전문인력 양성의 절박함을 돌려 언급했다. 또 국제 협력과 관련해서는 "코로나처럼 다른 나라와 협업하지 않으면 생존 자체가 안 된다"며 "생존을 위해 국제 협력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 본부장은 "인력 양성이 한국의 경쟁력이라 생각한다"며 "SW와 알고리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IP 등의 비중이 의외로 크다"고 말했다. 패널 외에 참석자 질문으로는 IBM이 AI반도체를 제작하면 어떨까하는 아이디어와 미국의 국방 분야에서의 양자 활동과 우리나라 국방분야 대응 전략 등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각 패널들은 통신망 무기체계나 군의 암호화를 위한 난수 생성기, 미 국방부의 '사기탐지' 기술에 관심을 갖는 이유 등을 설명했다. 그러나 군의 양자 적용 문제는 예민해서인지, 구체적인 답변은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