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비행·수직이착륙·스텔스까지"… AI 전투 드론 나왔다
미국 방위 스타트업 실드AI가 최근 수직이착륙(VTOL) 기능을 갖춘 차세대 인공지능(AI) 전투 드론 'X-뱃(X-VAT)'을 공개했다고 뉴아틀라스, CNBC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X-뱃은 통신 장애나 전자전 위협이 존재하는 분쟁 지역에서도 비행할 수 있는 전투용 드론으로,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할 수 있다. 3천700km 이상 항속거리를 지녔으며, 날개 길이 12m, 동체 길이 8m로 비교적 콤팩트한 크기를 자랑한다. 실드AI의 핵심 기술인 '하이브마인드(Hivemind)' 소프트웨어는 드론의 두뇌 역할을 수행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통신과 GPS가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복잡한 전술 기동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조종사가 탑승한 전투기와 팀을 이루거나 다른 드론과 협력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스텔스 기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동체와 날개가 레이더 반사면적(RCS)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설계됐다. 브랜던 쳉(Brandon Tseng) 실드AI 공동 창립자 겸 사장은 “AI 조종과 수직 이착륙 기능이 결합된 차세대 항공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 드론을 2천700만 달러(약 388억 원)에 생산할 계획으로, 이는 현재 1억 달러(약 1천449억원)가 넘는 F-35 전투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저렴하다. F-16 전투기 급에 탑재되는 엔진이 탑재돼 최대 마하 1.2의 초음속 비행이 가능해 무인협동전투기(CCA) 가운데 매우 빠른 속도로 평가된다. 1년 6개월 째 개발 중인 이 드론은 올해 말 첫 시험 비행을 할 계획이다. 실전 배치는 2028년으로 예정돼 있다. 아머 해리스 실드AI 항공기 부문 수석 부사장은 “수직 이착륙, 항속 거리, 다목적 운용능력, 자율성이라는 4가지 요소를 결합한 항공 전력의 혁명"이라며, "특히 수직 이착륙과 항속 거리는 지상 생존성과 공중 급유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