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안나는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온다..."LFP보다 25% 저렴"
“고객사 도입 사례를 기준으로 볼 때 바나듐이온 배터리(VIB)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비 25% 적은 비용으로 동일한 효용을 낸다는 것을 확인했다.”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는 11일 기자간담회에서 회사가 최초 개발한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에너지저장장치(ESS) 영역에서 갖는 경쟁력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바나듐이온 배터리는 물과 바나듐을 기반으로 한 배터리로, 현재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화학 구성 특성상 큰 충격을 받거나 불을 붙여도 화재 위험이 없다. 전력 충·방전 속도도 빠르고, 성능 저하 없이 충방전 10만번 이상을 지원하는 등 내구성에도 강점이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5천회 이하 정도를 지원한다. 스탠다드에너지는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현재 ES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를 보완하면서도 더 나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입장이다. 화재 위험이 상존한다는 점, 상대적으로 적은 충방전 횟수를 지원하는 만큼 배터리 교체 주기를 더 짧게 가져가야 한다는 점 등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중 LFP 배터리가 삼원계 배터리 대비 비교적 화재 위험이 적고 저렴해 최근 ESS 시장에서 입지를 늘려가고 있지만,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비용 측면에서도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또 LFP 배터리가 안전하다 해도 화재 사례가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출력이 약해 가정용 ESS 등으로 보급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실제 이날 간담회에서 바나듐이온 배터리에 여러 번 구멍을 뚫어 발열이나 연기 등 아무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무중단 운영, 고출력, 단주기 등 특성이 요구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용 ESS에선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자신했다. 1시간에 3번 이상 충방전할 수 있는 배터리는 시중에서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유일하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바나듐이온 배터리 관련 표준이 마련됨에 따라 스탠다드에너지는 올해 3분기 고객사에 제품 인도를 시작했다. 공급 요청이 증가함에 따라 내년 1분기까지 MWh급으로 양산 시설을 확대 구축하기로 했다. 구축이 완료되면 지금보다 생산량이 10배 이상 확대된다. 장기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는 GWh 규모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국내외 다양한 곳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고, 생산량이 수주량을 따라가지 못해 증설을 결정한 것”이라며 “고출력 전력망과 AI 등 데이터센터, 도심 전기차 충전소 등 인프라 시장에선 바나듐이온 배터리가 더 우수해 고객사들과의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본격적으로 매출이 확대되는 내년부터는 해외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 특히 ESS 분야에서 앞서가는 미국과 일본 시장을 먼저 공략하고 내후년에는 유럽, 중동 시장으로 진출 지역을 넓힐 계획을 세웠다. 사업 확대에 따라 2027년엔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기현 스탠다드에너지 사업본부장은 “일본 고객사의 사업 문의가 많고, 추진 중인 프로젝트도 있다”며 “내년 상반기 일본에서 전기차 충전소 관련 시설로 바나듐이온 배터리 기반 ESS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