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통증 감지하면 약물 나오는 '스마트 연골' 나오나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연구진이 체내 변화를 감지해 필요할 때 정확한 부위에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IT매체 기가진이 최근 보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발표됐다. 케임브리지 대학 멜빌고분자합성연구소 오렌 셔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개발한 이 부드러운 소재는 체내 pH(수소이온 농도 지수)의 미세한 변화에 감지해 약물을 방출하는 특성을 지닌다. 관절염이 악화될 경우 관절에 염증이 생기며 주변 조직보다 pH가 더 산성화되는데, 이때 소재가 젤리처럼 부드럽게 변하면서 내부에 캡슐화된 항염증제를 방출한다. 특히 이 소재는 좁은 pH 범위에서만 반응하도록 설계돼 약물이 필요한 시점과 부위에만 정확히 방출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만약 이 소재가 인공 연골로 활용될 경우, 관절염을 지속적으로 치료해 통증 완화와 항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절염은 영국에서만 약 1천만 명 이상이 앓고 있으며, 매년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약 102억 파운드(약 19조원)의 비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6억 명 이상이 영향을 받고 있다. 다만, 이 소재가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되기까지는 여전히 광범위한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연구진은 이 접근법이 관절염 환자 뿐 아니라 암 등 다른 질환의 치료 성과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셔먼 교수는 "이 소재가 연골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관절에 사용하는 데 큰 잠재력을 보여왔다”며, "반복적인 약물 투여의 필요성을 줄이는 동시에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