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역에 짓지마"…지역 반대에 韓 수도권 데이터센터 공급 '급감'
올 상반기 동안 수도권에 공급된 물량이 지난해 하반기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경기 서부권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거세지며 인허가 및 착공 지연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30일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발간한 '2024년 상반기 데이터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에 준공된 데이터센터 용량은 36㎿(메가와트) 수준에 그쳤다. 작년 하반기 100㎿와 비교하면 크게 감소한 수치다. 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개발 가능 토지의 제약과 지역 사회 반대가 많아진 탓이다. 이 탓에 올해 상반기 동안 신규 허가를 취득한 사업도 경기 시흥시에서 메이플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인허가를 완료한 단 한 건에 불과했다. 지난해 하반기 신규 인허가는 7건이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해 3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5㎿ 이상의 전력수요가 전력 계통에 부담을 줄 경우 한국전력공사가 전기 공급을 거부할 수 있게 된 것이 주효했다. 한전은 올해 들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법)' 시행을 앞두고 전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수도권 데이터센터에 전력 공급을 허가하지 않았다. 반면 정부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전력 요금 할인과 인프라 지원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수도권 데이터센터 집중 현상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수도권 지역은 국내 데이터센터 운영 용량의 73%를 차지한다. 이 지역에는 KT, LG U+, 삼성 SDS, 롯데정보통신, LG CNS와 같은 업체들이 운영 용량의 약 63%를 차지한다. 정부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에 나서고 있지만 이 지역에는 161㎿가량의 공급이 예정돼 있다. 해외 운영 업체들의 수요가 몰린 탓이다. 하지만 지속되는 민원 탓에 향후 데이터센터 공급 확대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올 상반기 착공이 계획돼 있던 경기 고양시 데이터센터의 경우 주민 반대로 착공이 지연된 상태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 내 데이터센터 착공 신고를 완료한 사업지는 디지털 리얼티의 김포 '디지털 서울2' 1건에 그쳤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앞으로 전력 제한 및 민원 이슈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도권에 공급 완료된 데이터센터의 가치가 상당히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 내 사용 승인을 완료한 데이터센터는 경기도 안양시의 에포크 안양 센터, 인천 서구의 드림마크원 인천 가좌 데이터센터가 대표적이다. 또 이지스자산운용의 하남 IDC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맥쿼리 인프라가 선정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맥쿼리 인프라는 자산 실사를 거쳐 하남 IDC를 매입할 계획이며 최종 거래 체결일은 올해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지난 6월 분산법 시행에 따라 10㎿ 미만의 도심의 소규모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분산법상 10㎿ 이상 전력 사용 시설은 전력 계통 영향 평가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또 전력 인프라나 인허가 조건이 이미 충족된 기존 건물을 활용한 데이터센터 설립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정부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해 분산법을 시행하고 비수도권 지역에서 전력요금 할인과 인프라 지원 조치를 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데이터센터와 고객 간의 물리적 거리가 멀수록 전송 지연이 증가하고 숙련된 인력 활용이 어렵다는 점 등을 이유로 수요자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은 앞으로도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