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건 교수의 웹3 ②] 탈중앙화 및 자율성
지난 칼럼에서 언급했듯이 웹3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자 비전은 서비스의 탈중앙화와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현재의 웹2 중앙집중형 플랫폼들과 달리 웹3는 권한과 데이터를 개인과 커뮤니티에 돌려줌으로써 민주적이고 공평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해 제공합니다. 지금까지 써왔던 서비스와 동일해 보이지만 개념과 서비스 구조, 내용의 투명성, 익명성이 달라 어색하거나 이색적인 느낌을 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가지 핵심 개념에 대하여 얘기해 보겠습니다. 탈중앙화란 무엇이며, 웹3에서 어떻게 구현됩니까? 탈중앙화는 권한과 데이터가 단일 기관 또는 기업이나 개인에게 집중되지 않고 여러 각 당사자에게 분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탈중앙화를 구현합니다. 블록체인은 모든 참여자가 거래 기록을 공유하고 검증하는 분산된 공개 기록(원장)입니다. 이 구현으로 중앙 기관 없이 안전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거래하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웹3 프로젝트를 위한 탈중앙화의 주요 기술의 구현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 댑): 중앙 서버없이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는 분산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투명한 실행 보장합니다. ▲탈중앙화 금용(DeFi, 디파이): 결제, 교환, 대여, 예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중개자 없이 제공하는 투명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NFT(Non-Fungible Token):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과 진위 여부를 증명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계속해서 다룰 예정입니다. DAO가 무엇이며, 어떻게 자율성을 제공하고 운영됩니까?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조직)는 탈중앙화 및 자율성 개념을 조직 운영에 적용한 모습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 기반에 규칙을 적용하여 의사결정 및 운영을 투명하게 자동화 합니다. DAO 형태의 조직에는 중앙 리더가 없으며, 모든 구성원이 토큰 소유권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하며, 조직 방향을 결정합니다. DAO의 주요 운영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토큰 소유권: 토큰을 소유함으로써 DAO 구성원이 되고 의사결정 참여 및 조직 운영에 대한 권한을 얻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조직 운영 규칙 및 의사결정 절차가 투명하고 변조 불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에 작성되어 운영됩니다. ▲투표 시스템: 토큰을 소유한 구성원은 투표를 통해 조직 방향 결정, 정책 변경, 프로젝트 승인 등의 결정에 참여합니다. 개인의 자율성과 권한은 어떻게 강화할 수 있을까요? 큰 범주에서 자율성과 권한은 데이터 소유권과 개인정보의 보호, 참여와 기여에 대한 기회,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선택의 자유 영역으로 볼 수 있으며 모든 권한과 통제력을 개인에게 주는 개념이며 개인은 자율성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데이터 소유권: 개인은 자신의 데이터를 소유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 사용 방식에 대해 동의할 수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정보는 암호화 및 분산 저장 방식으로 보호되어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을 줄입니다. ▲참여 기회: 개인은 웹3 프로젝트 및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기여함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택의 자유: 개인은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마무리 결론이라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웹3에서 탈중앙화와 자율성은 개인에게 더 많은 권한과 통제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더욱 민주적이고 공평하며 투명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강점이 웹2 서비스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으로 비쳐질지는 좀 더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