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10년 뒤 900조원 시장 된다"…SDV 임박에 SW 생태계 '레디 셋'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DV)는 10년 뒤 자동차 매출이 약 7천억 달러(약 90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로 막대한 수익 잠재력이 있는 시장입니다. 상상도 못할 매출이 파생되는 건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장지환 벡터코리아 대표는 28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벡터 컨퍼런스 2024' 행사에서 SDV 시장의 성장성이 높다고 보고 이처럼 강조했다. 또 SDV의 등장으로 소프트웨어(SW) 생태계와 자동차 업계가 동시에 커지며 시장 규모도 대폭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년만에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장 대표를 포함해 벡터 인포마틱 마티아스 트라웁 박사, 현대모비스 압둘 칼릭 상무, 현대자동차 연구원 등 다수 자동차 업계·SW 생태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SDV는 SW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자동차로 운영체제(OS)와 SW를 상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행 성능 향상, 자율주행 기능뿐만 아니라 자동차 잔존 가치 하락이 덜해 시장가치가 높다고 평가 받는다. 실제 삼정KPMG가 발표한 'SW로 달리는 자동차, 완성차 업계가 꿈꾸는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 뒤 SDV 시장은 약 572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장 대표는 "SDV는 자동차 산업과 SW 생태계 입장에서 매우 큰 기회"라며 "스마트폰처럼 OS, 앱을 업데이트하며 기능을 보강하는 SDV 시대가 임박해 SW 생태계가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기조연설을 맡은 트라웁 박사는 SW 기업들이 기본적인 SW뿐 아니라 안전, 시스템 통합(SI) 등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SDV에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SDV 구현을 위한 핵심 항목으로는 ▲SW 플랫폼 기반 접근 방식 ▲하드웨어 및 SW 아키텍처 청사진 구축 ▲고성능 컴퓨터(HPC) 위한 에코 시스템 ▲템플릿 협력 ▲안정적인 플랫폼 도입 및 SI ▲SW 스마트팩토리 설립을 꼽았다. 트라웁 박사는 "HPC 구현은 SDV 구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러스트가 지금의 C언어만큼의 입지를 갖게 될 것이고 SDV를 위한 전용 프로그래밍 언어도 따로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SDV 생태계 정의가 향후의 핵심 목표일 것이며 코드 우선의 원직 기반 협업과 표준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라웁 박사는 아이폰의 버전 업데이트처럼 자동차 관련 앱 릴리스·업데이트 사이클이 매우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SDV 시장이 본격화되면 이를 뒷받침해줄 SW 시장도 함께 확대돼야 한다고 봤다. 다음 기조연설을 맡은 현대모비스 압둘 칼릭 상무는 SDV 개발을 위한 복잡성 해소 방안으로 ▲기능 중심 모듈형 SW 아키텍쳐 구축 ▲스펙, 코드 등 코어 에셋 재활용 ▲예측 기반의 변화 관리 ▲개발자를 향한 빠른 피드백 ▲실시간 측정 통한 기능 개선을 내놓았다. 또 SDV를 위한 SW 개발을 위해선 ▲센서 및 액추에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네이티브 ▲자동차의 전기·전자 아키텍처 선택 ▲무선 펌웨어 업데이트(OTA) 도입 등을 핵심 과제로 짚었다. 일각에선 중국 등 해외의 빠른 SDV 개발 속도를 경계 중이다. 칼릭 상무는 "중국은 자체적으로 2~3년 안에 SDV 구축과 생산까지 완료될 것이라 보고 있다"며 "차량의 물리적 공간을 바꿔나감과 동시에 앱 비즈니스를 빨리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포티투닷 김정우 커뮤니케이션실장은 "중국은 전기차·SDV 비중이 60%에 달할 정도의 강력한 내수시장을 갖고 있다"며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정부와 협력해 SDV 데이터를 쌓고 있기 때문에 제일 경계해야 하는 국가"라고 우려했다. 장 대표는 "SDV를 위해선 SW 플랫폼, 데브옵스 등의 OS, OTA 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한국의 SDV 사업도 지금의 연구 과도기를 잘 헤쳐 나간다면 지식 향상·기술 발전으로부터 오는 컴플렉시티 갭(Complexity Gap)을 이겨내고 산업 정점을 향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