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67088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가온칩스, 'Arm 테크 심포지아'서 AI·HPC 반도체 기술 선보여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가온칩스가 1일 서울에서 열리는 'Arm 테크 심포시아 2024'에 참가해 하이퍼스케일 AI·HPC 반도체 기술 선보인다. 가온칩스는 'Arm 올해의 디자인 파트너 상'을 총 3회 수상한 저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협력 관계를 모색하며 네트워크를 강화할 예정이다. Arm 테크 심포지아는 세계 각국의 엔지니어들이 모여 Arm의 최신 기술과 업계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국제 기술 컨퍼런스다. 올해는 '미래를 재창조하다'를 주제로 다양한 세션을 통해 Arm과 파트너사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업계 전문가들과 유의미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중요한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온칩스는 Arm 공인 디자인 파트너로서 매년 참가해 오고 있으며 이달 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Arm 테크 심포지아에도 참가한다. 오후 세션에서 가온칩스의 김규성 SoC 설계 그룹장은 '하이퍼스케일 AI·HPC 반도체를 위한 디자인(Designing for Hyperscale and AI/HPC SoC)'를 주제로 최신 Arm IP 기반의 차세대 AI/HPC 반도체 설계 기술과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하이퍼스케일 AI·HPC의 최신 동향을 반영하여 차세대 반도체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가온칩스 부스에서는 다수의 성공적인 프로젝트와 보유 기술력을 소개하고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올해 가온칩스는 일본 프리퍼드 네트웍스(PFN)의 최첨단 2나노(nm) 공정 기반 AI 가속기를 턴키로 수주했다. 최근에는 국내 딥엑스의 5나노(nm) AI 반도체 'DX-M1' 설계 및 양산을 진행하며, 선단 공정을 이용한 AI 반도체 설계 기술력을 입증했다.

2024.11.01 08:00이나리

IoT도 위성통신으로...더 커진 보안 위협이 숙제

위성통신을 통한 IoT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상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위성통신이 IoT의 새로운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강력한 보안 구축이 과제로 제시됐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주니퍼리서치에 따르면 2027년 위성 IoT 매출이 올해 관련 매출 총액의 두 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위성 IoT 사업의 시장 규모는 29억 달러(약 3조9천9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2027년 예측된 시장 규모는 58억 달러(약 7조9천800억원)다. 시장 성장의 잠재력과 함께 보안 문제가 큰 숙제로 꼽힌다. 지상 네트워크와 위성 네트워크를 통합한 아키텍쳐 환경에서는 이전보다 더욱 강력한 사이버 보안이 필요하다는 이유다. 위성 IoT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기존 IoT와 비교해 보안 환경이 복잡하다. 특히 위성 IoT 수요가 국방 분야를 비롯한 공공에서 먼저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안 수준이 더욱 높아야 한다. 주니퍼리서치는 양자암호통신과 같은 고급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에 기업들이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 부문이나 방위 산업 계약 유치를 위해 IoT 보안 수준을 높이라는 것이다. 이 회사는 2030년 공공과 방위 부문의 위성 IoT 매출 비중이 20%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2024.11.01 06:30박수형

현대 '안정' 신세계 '쇄신'…롯데 인사 어떨까

유통 3사 중 신세계그룹과 현대백화점그룹이 임원급 인사를 발표하면서 롯데의 인사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신상필벌' 원칙을, 현대백화점그룹은 안정을 중심에 둔 인사를 진행했는데, 롯데의 경우 올해 실적 부진을 겪은 만큼 이를 반영한 인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3월 정용진 회장 취임한 이후 처음으로 정기 임원인사를 진행했다. 이번 인사에서 성과가 있는 곳에 보상이 있다는 '신상필벌' 원칙을 이어가면서 실적이 부진한 계열사의 대표를 대거 교체했다. 이마트24와 신세계푸드, 조선호텔앤리조트, 신세계L&B, 신세계야구단, 신세계아이앤씨(I&C) 등 6개 계열사가 새 수장을 맞이하게 됐다. 지난해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이마트24 등 오프라인 3사 수장을 맡았던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이번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이마트24는 한 대표의 겸직을 풀고 송만준 이마트 PL·글로벌사업부장을 신임 대표로 낙점됐다. 신세계푸드와 신세계L&B는 겸직을 풀고 각각 새로운 대표가 선임됐다. 신세계푸드에는 강승협 신세계프라퍼티 지원본부장 겸 재무담당(전무)이, 신세계L&B에는 마기환 나라셀라 영업마케팅총괄 전무가 선임됐다. 강 신임 대표의 우선 과제는 체질 개선으로 전망된다. 신세계푸드는 올해 레스토랑 '보노보노', 스무디 전문점 '스무디킹' 등 적자 사업 정리에 주력하고 있다. 그룹 내 '재무통'으로 꼽히는 강 신임 대표가 이 부분에 주력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마기환 신임 대표는 이마트 출신이다. 그는 2000년 이마트에 입사해 중국감사 TF, 상해법인, 트레이더스 상품매입팀 등을 거쳤고 2013년부터 신세계L&B에 합류해 영업팀장과 영업담당 상무를 역임했다. 지난해 나라셀라로 자리를 옮겼다가 1년여 만에 복귀하게 됐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안정에 무게를 둔 인사를 단행했다. 주요 계열사 대표들을 전원 유임시키고 실적이 부진했던 사업부 수장만 일부 교체했다. 현대면세점은 박장서 영업본부장을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박 신임 대표는 1992년부터 33년째 국내 주요 면세점에서 면세점 영업을 담당해 온 면세사업 분야 전문가로 2020년 현대면세점에 입사한 이후 영업본부장을 맡아왔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 출점을 주도한 김창섭 영업본부장이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김 부사장은 더현대 서울 점장 재직 시 더현대 서울의 위상을 끌어올렸으며 최근 부산에 신개념 리테일 공간인 커넥트현대를 성공적으로 오픈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이번 정기 임원 인사의 핵심 키워드는 안정 기조 속 미래 성장을 위한 변화 추구”라면서도 “각 계열사 상황에 맞춰 일부 필요한 경우 대표이사 교체를 통한 새로운 경영 체제로의 변화를 추구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신세계와 현대가 연이어 인사를 단행하면서 업계에서는 롯데의 정기인사를 주목하고 있다. 롯데 역시 유통 부문의 실적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지난 8월부터는 그룹 컨트롤타워인 롯데지주가 실적 부진을 이유로 비상 경영 체제를 선언하기도 했다. 롯데쇼핑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6조9천4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줄었고 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이커머스 부문인 롯데온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5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1%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11억원으로 나타났다. 롯데면세점은 유커 감소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매출은 1조6천4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늘었지만, 46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내년 임기 만료를 앞둔 CEO가 많은 것도 대규모 변화를 점치는 이유다.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 이영구 롯데웰푸드 대표 겸 롯데식품군 총괄대표, 강성현 롯데마트·슈퍼 대표, 박윤기 롯데칠성 대표, 남창희 롯데하이마트 대표,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 등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한편 롯데그룹의 정기인사는 이르면 11월 말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동빈 회장이 11월 3일부터 9일까지 하와이에서 개최하는 LPGA 롯데 챔피언십에 호스트 자격으로 참석하기 때문이다.

2024.11.01 06:00김민아

약사회, 비슷한 포장의 의약품 194품목 개선 촉구

의약품 유사포장으로 혼란을 주는 43개 제약사 194개 품목에 대해 디자인을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다. 최근 대한약사회는 의약품 유사 포장으로 의약품 관리 및 조제 업무에 어려움을 일으키고, 환자가 복용단계에서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같이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 환경을 저해하고 국민을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원인이 된다는 민원이 약국은 물론 환자로부터 지속되고 있는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약사회는 앞서 전국 16개 시도지부 및 분회 약사회와 홈페이지 및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접수된 유사포장 사례를 점검해 육안으로 구별이 쉽도록 품목별, 성분·함량별 표시개선이 필요한 43개사 194품목에 대한 분류를 진행한 바 있다. 병 포장 개선의 경우 ▲품목·성분별 뚜껑 색상 구분 ▲뚜껑 상부에 제품명, 함량 등 글씨 기재(이미 기재된 경우 글씨 크기‧굵기 확대 - 병 뚜껑 상단에 제품설명서 부착시) 제품명, 함량 등 글씨 크기‧굵기 확대 ▲품목·성분·함량별 병 크기 다양화 ▲품목·성분·함량별 포장 라벨 색상 차별화 ▲동일 성분 다른 함량인 경우 함량 색상 차별화 등을 요청했다. 상자 포장은 ▲품목·성분별 상자 겉포장 색상 다양화 ▲품목·성분별 상자 크기 다양화 ▲동일 성분 다른 함량인 경우 함량 글씨 크기‧굵기 확대 및 색상 차별화 등의 개선을 요청했다. 한편 약사회는 이외에 의약품 오·투약을 초래하는 유사포장과 관련해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과도한 의약품 유사포장 방지 ▲의약품 용기 크기 차이 부여 ▲제품에 주성분 함량 표시 ▲사용기한(유효기한)·제조번호 음각 표시 금지 ▲포장 배색 차별화 등 의약품 규제당국 차원의 '의약품 유사포장 방지 가이드라인 마련' 등의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이에 대한 유사포장 개선 내용을 담은 용역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기관 공모를 진행 중이다.

2024.11.01 06:00조민규

e&, 10%가 증가한 144억 AED의 연결 매출을 기록한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e&은 PPF 텔레콤의 지배 지분 인수와 글래스하우스 지분 100% 인수 작업을 완료하여 사업 영역을 38개국으로 확대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e&은 오늘 2024년 3분기 연결 재무 실적 발표를 통해 고정 통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0% 성장한 144억 AED(아랍에미리트 디르함)의 연결 매출을 보고했으며, 2024년 첫 9개월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성장한 427억 AED로서 여기에는 대부분의 사업 분야에서 이룩한 지속적인 성장이 반영되었다. e& GCEO, Hatem Dowidar e&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핀테크,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부문 전반에 걸쳐 동사의 디지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는 동시에 그룹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강화하게 될 PPF 텔레콤 인수 작업을 완료하는 중요한 성과를 달성했다. 동사는 이러한 다각화를 통해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의 전환이라는 자신의 전략적 야망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e&의 총 가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하여 1억 7,730만 명에 달했다. e&UAE의 총 가입자 수는 1,47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성장했다. 재무 실적 하이라이트 2024년 3분기 2023년 3분기 2024년 첫 9개월 2023년 첫 9개월 매출 144억 AED 134억 AED 427억 AED 400억 AED 순이익 30억 AED 30억 AED 85억 AED 77억 AED EBITDA 65억 AED 69억 AED 194억 AED 196억 AED 주당 순이익 0.34 AED 0.34 AED 0.97 AED 0.88 AED 그룹 최고경영책임자 하템 도위다르(Hatem Dowidar)는 "e&은 첫 9개월 동안 강력한 모멘텀을 이어가며 연결 매출을 불변 통화 기준 9% 성장한 427억 달러를 달성했다"면서 "우리는 e&의 통신 사업 영역을 20개국으로 확대함으로써 우리의 전체 사업 영역은 38개 시장에 도달했다. 이러한 성장과 현지 및 전 세계 시장에서의 견조한 성과를 통해 연결 순이익은 첫 9개월 동안 10% 성장한 85억 AED를 달성했다. 또한 연결 EBITDA는 194억 AED에 달하고 45%의 EBITDA 마진을 기록했으며, 통신 부문의 EBITDA 마진은 49%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고 말했다. 도위다르는 "우리는 PPF 텔레콤 그룹의 지배 지분 인수 작업을 완료한 상황에서 우리의 전 세계 지평을 확대하면서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이제는 유럽에서의 첫 번째 운영 발판이 될 중동부 유럽 등 10억 명 이상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기회가 생기기를 기대한다"면서 "우리는 우리의 전문성과 PPF 텔레콤의 강력한 현지 입지를 결합함으로써 디지털 혁신을 견인하고 이 지역 사회를 지원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e&은 디지털화의 롤모델로서 디지털 어젠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나라인 아랍에미리트의 리더십 비전을 지지하는 데 계속 전념하고 있다"면서 "최첨단 인프라와 전략 파트너십에 대한 우리의 투자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주도하는 미래형 솔루션과 디지털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미디어 연락처 – Nancy Sudheer, e& 시니어 매니저, nsudheer@eand.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4590/Hatem_Dowidar_e_GCEO.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4591/e_Q3_Infographic_2024.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58295/e_and_Logo.jpg?p=medium600 e& Q3 2024 Infographic

2024.11.01 00:10글로벌뉴스

장관들과 글로벌 경영자들이 바레인에서 열리는 제2회 게이트웨이 걸프 포럼에 모여

마나마, 바레인,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글로벌 업계 리더들이 2024년 11월 3~4일 포시즌스 호텔 바레인 베이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2회 게이트웨이 걸프 투자 포럼(Gateway Gulf Investment Forum)에 참가하기 위해 바레인에 모인다.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바레인 EDB)가 주최하는 이 포럼은 바레인의 금융, 투자, 산업 포트폴리오 전반의 고위 정부 관리들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변화하는 지역에 투자"를 기치로 글로벌 과제들과 트렌드를 다룰 예정이다. Ministers and Global Executives to Converge at the Second Edition of Gateway Gulf in Bahrain 게이트웨이 걸프 2024는 미국, 유럽, 아시아, 걸프협력회의(GCC) 및 그 밖의 주요 시장의 250명에 달하는 최고의 장관급 및 고위 정부 관리, 기업 최고 경영진과 주요 투자자들이 친밀하게 모이는 고위급 회의를 환영한다. 이 포럼에서는 아래와 같은 바레인 고위급 연사들이 참여하는 '회복력을 위한 투자', 'AI의 혁신적인 힘' 그리고 '미래를 보증하는 인력' 등 일련의 패널, 포커스 미팅, 일대일 세션이 열린다. 셰이크 살만 빈 칼리파 알 칼리파, 재정 및 국가 경제부 장관 누르 빈트 알리 알칼리프, 지속가능 개발부 장관 겸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 최고 책임자 파티마 빈트 자페르 알 사이라피, 관광부 장관 압둘라 빈 아델 파키로, 산업 및 상업부 장관 셰이크 아메드 빈 하마드 알 칼리파, 특임 대사 칼리드 후마이단, 바레인 중앙 은행 총재 칼리드 알 루마이히, 알루미늄 바레인(알바) 회장 셰이크 살만 빈 이사 알 칼리파,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BIC) 최고경영자 세션들에는 해당 분야의 전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주요 지역 및 국제 연사들은 아래와 같다. 게리 그림스턴 경, 전 국제 통상부와 비즈니스 에너지 및 산업 전략부 장관, 회원(젬코 캐피털 회장) 압둘라 빈 쿠트 알 마리, 아랍에미리트 각료 겸 경제부 장관 술탄 아메드 빈 술라옘, DP 월드 그룹 회장 겸 CEO 조나단 시몬즈 경, GSK 이사회 의장 칼판 벨호울, 두바이 미래 재단 CEO 사프라 카츠, 오라클 CEO 헤나디 알-살레, 어질리티 이사회 의장 마크 번스, 걸프스트림 사장 에드워드 돌먼, 필립스 집행 회장 겸 CEO 키스 스벤드센, APM 터미널스 CEO 제레미 크레인, 옐로우 도어 에너지CEO GCC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 성공 사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걸프 지역 경제는 2024년에 3.5% 성장하여 총 2조 1,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2조 8,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의 핵심은 다양한 비석유 부문에 대한 투자를 견인하는 야심찬 경제 다각화 정책이다. 바레인은 걸프만에서 가장 다각화된 경제 중 하나로, 비석유 부문이 2023년 GDP의 84%를 차지한다. 바레인은 금융, ICT, 제조, 물류 및 관광과 같은 잠재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최우선하고 있으며, 인적 자본을 개발하고 디지털 혁신 어젠다를 더욱 발전시키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 바레인은 미래 지향적인 정책, 전략적 위치,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을 통해 더 넓은 GCC 시장으로 확장하려는 해외 투자자들에게 이 지역에서 가장 매력적인 목적지 중 하나가 되었다. 지역 협력과 공동 투자를 견인하는 바레인의 역할이 게이트웨이 걸프 포럼에서 부각되며, 이러한 파트너십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이 포럼에서 논의한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4769/Bahrain_Gateaway_Gulf.jpg?p=medium600

2024.11.01 00:10글로벌뉴스

[인사]광주과학기술원

▲연구부총장 정성호

2024.10.31 23:58박희범

스카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NASA와 USGS와 파트너십 체결

60,000 피트 상공에서의 전략적 협업으로 교통, 기후 관리, 지구 관측 및 이미징, 메탄, 폭풍, 산불 탐지 등의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 개척 뉴멕시코주, 로스웰,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미국의 고고도 플랫폼 시스템(High-Altitude Platform System, HAPS)을 전문으로 하는 선도적 항공우주 회사인 스카이(Sceye)가 미국 지질 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과 협력 연구 및 개발 협정을 맺고 NASA와 우주법 합의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협정의 목적은 성층권에서의 기후 및 환경 이미징,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2024년 10월 24일에 중대한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플랫폼의 상용화와 2025년 장기 임무 수행 준비 상태를 입증한 스카이의 성공적인 2024 비행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Sceye launch October 2024 이번 협업으로 스카이의 HAPS 기술은 지구 정밀 관측과 다중 임무 탑재체 운반 작업의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매김 한다. 고급 초분광 이미징을 활용하여 스카이는 NASA와 USGS가 메탄 슈퍼 방출원을 탐지하고 산불 활동, 폭풍, 지진, 기타 극한 기상 현상을 모니터링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들의 파트너십은 필수적 환경 데이터와 지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데 도움을 주며, 스카이가 NASA와 USGS의 기후 데이터 수집 범위 확장과 예측 모델 강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스카이의 설립자 겸 CEO인 미켈 베스터가르드 프란센(Mikkel Vestergaard Frandsen)은 "NASA와 USGS와의 협업은 HAPS가 임무 수행 지역 상공에 오랜 시간 동안 체류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반"한다며 "위성과 달리 HAPS는 궤도 고도 아래에서 머무를 수 있기에 기후 변화 해결과 극한 기상 사건 대비책 마련에 특유의 유리한 관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성층권의 차세대 개척지로서의 가능성을 열어 중요한 과학적 발전을 이루어 내며 전 세계의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고 메탄 배출량이 기록적인 수준에 이르는 가운데, 스카이의 HAPS 기술은 배출량을 픽셀 단위로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카이는 또한 환경 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과 뉴멕시코 환경부(New Mexico Environmental Department)와 협력하여 주 전역의 메탄 배출을 탐지하는 5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의 올해 마지막 비행은 탑재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필수 데이터를 수집하여 플랫폼의 작동 준비 상태를 입증했다. HAPS는 낮 동안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배터리에 저장하여 밤에도 작동하기 때문에 60,00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도 지속적인 비행이 가능하며, 이 높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 가능한 다른 기술은 그리 많지 않다. USGS 국가 혁신 센터의 이사인 조나단 스톡(Jonathan Stock)은 "이벤트가 있을 때 그 위에 오랫동안 머물며 실시간으로 고해상도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HAPS는 과학 커뮤니티에 혁신을 가져다 준다"라며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사건의 전후 및 당시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스카이의 2024 비행 프로그램의 마지막 발사는 통제된 이동, 전일 비행, 운영 지역 상공에서의 장시간 체류 능력이라는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하며 성공적으로 비행 연도를 마무리 했고 발사체의 특성을 완전히 규명했다. 2025년 상용화와 내구성에 중점을 두고 스카이는 플랫폼의 장기 계절 비행 지속 능력을 테스트하는 단계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 임무는 산불 시즌과 같은 중요한 기간 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고 점진적인 위협에 대한 근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대응 활동을 지원할 것이다. 회사의 프리머니 밸류를 5억 2,500만 달러로 높인 성공적인 시리즈 C 라운드 이후, 스카이는 세계를 변화시키는 솔루션을 만들기 위한 임무를 추진하고 있다. 스카이 소개 2014년 설립한 스카이는 사람들을 잇고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성층권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전념하는 항공우주 회사이다. HAPS 산업을 선도하며 우주적 연결성, 기후 모니터링, 자연 자원 관리, 재난 예방에 주력한다. 미디어 연락처 재스민 월스미스(Jasmine Wallsmith) jw@sceye.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3717/Sceye_launch_October_2024.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84213/sceye_logo_suitcase_logo_full_colour_rgb_1000px_72ppi_ID_a12cb87-d06f_Logo.jpg?p=medium600

2024.10.31 23:10글로벌뉴스

PCN, 日 최대 IT전시회 '추계 재팬 IT위크 2024' 참가

디지털플랫폼 전문기업 피씨엔(PCN, 대표 송광헌)은 일본 최대 IT 전시회인 '추계 재팬 IT 위크 오톰 2024(Japan IT Week autumn 2024)'에 참가했다고 31일 밝혔다. RX재팬이 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AI, IOT, VR/AR/XR/메타버스, 정보보안, 클라우드 등 IT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공개했다.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일본 도쿄 마쿠하리 메세 전시장에서 열렸다. 피씨엔은 이번 전시회에서 ▲XR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항공국가산업단지 메타버스 비즈니스 협업 플랫폼 ▲메타버스 기반 우주상황인식에 따른 우주물체 궤도 가시화 기술 ▲메타버스 내 소리로 소통할 수 있는 STT 서비스를 소개했다. ■ XR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연구 피씨엔은 현재 컴퓨팅 핵심기술 사업으로 진행 중인 '고품질, 초저지연 XR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 연구과제로 진행하는 클라우드상 대용량의 콘텐츠를 저지연 영상과 고품질의 3D Asset으로 선보였다. 이 연구과제는 고품질 콘텐츠 렌더링과 상호작용을 위한 XR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 등을 통해 다양한 단말 사용자가 단말 성능에 구애받지 않으며, 사용자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원한다. 고품질·초저지연 XR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해 XR 산업의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항공산단 비즈니스 메타버스 협업 플랫폼 구축 사업 항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내 항공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협업 비즈니스 플랫폼을 소개했다. 해당 플랫폼으로 항공산업단지 지역을 정밀 스캔해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비즈니스 협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인 메타버스 기반 다국어 지원을 포함한 원격 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글로벌 기업 간 협업 환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또 한국 항공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라운지와 기업 홍보 센터는 입주 기업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피씨엔은 글로벌 원격 비즈니스 협업 및 관련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항공산업단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 우주물체 궤도 위험 정보 가시화 기술 연구 피씨엔은 '우주상황인식을 위한 국방 메타버스 교육훈련 기술 개발'이라는 국방 ICT R&D 지원 사업의 세부 프로젝트로 이번 전시에서 작년보다 고도화된 결과물을 공개했다. 해당 연구는 국내 유일의 우주 감시 전력인 공군의 우주 영역 인식 시스템 운영 및 정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운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가 안보 및 방위력 증가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피씨엔 이우성 이사는 "일본 최대 IT 전시회에서 우리의 뛰어난 연구 성과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였다. 이번 기회에 항공우주 산업 분야의 기술 경쟁력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넥스트 스텝 구축을 마련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XR 서비스 기술의 미래 가능성을 더욱 부각,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2024.10.31 23:06방은주

나크힐, 팜 제벨 알리에서 2억7천만 AED규모의 변전소 건설을 위해 DEWA와 제휴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두바이 홀딩(Dubai Holding)의 선구적인 부동산 사업 부문에 속한 나크힐(Nakheel)은 두바이 수전력청(Dubai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DEWA)과 제휴하여 팜 제벨 알리(Palm Jebel Ali)에 2억7천만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규모의 변전소 2곳을 개발하기로 했다. DEWA는 이 변전소 2곳의 입찰, 낙찰 및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Nakheel partners with DEWA for AED 270 million substations on Palm Jebel Ali 이 프로젝트에는 총 용량 400메가볼트암페어(MVA)인 132/11KV 변전소 2곳을 건설하여 팜 제벨 알리 주요 지역(일부 외곽과 중심지 포함)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발표는 올해 초 팜 제벨 알리에서 빌라 건설, 인프라, 공공 접근 도로 및 해양 공사를 시작하기 위해 체결한 계약에 이어진 것이다. 현재까지 나크힐의 가장 비전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 꼽히는 팜 제벨 알리는 수변 주거지의 글로벌 벤치마크를 설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편의시설을 제공하여 향후 수십 년간 두바이의 미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두바이 홀딩의 최고 부동산 책임자인 나세르 알 아와디(Nasser Al Awadhi)는"우리는 이 분야의 전략적 파트너인 DEWA의 전문성과 기술을 통해 팜 제벨 알리의 명성을 이어갈 강력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팜 제벨 알리는 두바이의 변함없는 야망을 상징하는 곳으로, 항상 발전을 주도하고 세계 무대에서 영원히 기억될 랜드마크가 될 것이다. 또한 팜 제벨 알리는 오늘날의 글로벌 시민을 위한 최고의 호화로운 수변 주거지를 건설하려는 두바이의 비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DEWA 송전 부문 부사장인 후세인 루타(Hussain Lootah)는 "우리는 송전소용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최고 수준의 품질, 지속가능성, 안전 기준에 따라 팜 제벨 알리 프로젝트에서 2곳의 송전소를 건설하려는 DEWA의 전략적 파트너인 두바이 홀딩 리얼 이스테이트의 노력을 환영한다"면서 "두바이의 모든 기관은 두바이를 살기 좋고, 일하기 좋으며, 방문하기 좋은 세계 최고의 도시로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 두바이의 지속적인 성장에 발맞추어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 및 수도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이러한 서비스가 최고의 유용성, 신뢰성, 품질 기준을 충족하도록 보장할 것이다. 이는 두바이 송전 시스템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100%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동영상: 팜 제벨 알리와 DEWA.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44378/Nakheel_DEWA.jpg?p=medium600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44377/Nakheel_Palm_Jebel.jpg?p=medium600 Palm Jebel Ali Aerial Render

2024.10.31 22:10글로벌뉴스

FII, 글로벌 성장과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대화 개최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리야드에서 열린 제8회 미래 투자 회의(Future Investment Initiative, FII) 둘째 날,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모여 미래 재정의에 있어 신흥 기술과 투자 전략이 가지는 변혁적 잠재력에 대해 논의하고 베트남의 팜민찐 (H.E. Minh Chính Phạm) 총리가 특별 연설하였다. FII Convenes Dialogues on Global Growth and Sustainable Innovation 이 날의 포부를 간추리며 FII 연구소 CEO인 리차드 아티아스(Richard Attias)는 "FII8에서 우리는 혁신과 자본이 단순히 산업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를 창조하는 새로운 시대를 목격하고 있다"라며 "오늘의 논의에서는 특히 무한한 가능성과 기회의 세계로의 여정이 강조되었다"라고 말했다. FII8 제 2일의 특기 사항 기술 혁신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체들의 위원회: 클라우레 그룹(Claure Group) 창립자 겸 CEO이자 쉬인(SHEIN) 그룹 부회장인 마르셀로 클라우레(Marcelo Claure),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SoftBank Vision Funds) 공동 CEO 알렉스 클라벨(Alex Clavel), 사나빌 투자(Sanabil Investment) CIO 하니 에나야(Hani Enaya), 발로르 에쿼티 파트너스(Valor Equity Partners) 창립자 겸 CEO 이자 CIO인 안토니오 J. 그라시아스(Antonio J. Gracias), Avaada 그룹의 회장 비니트 미탈(Vineet Mital), 발로르 캐피탈 그룹(Valor Capital Group) 부회장 겸 경영 파트너인 댄 슐먼(Dan Schulman),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Vista Equity Partners) 창립자, 회장 겸 CEO 로버트 스미스(Robert Smith), 액센츄어(Accenture) 회장 겸 CEO 줄리 스위트(Julie Sweet)와 같은 산업계의 리더들이 AI가 2038년까지 최대 10.3조 달러의 경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 회의를 통해 기업들에게 사회 전반적으로 공정한 혜택을 보장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AI 개발을 촉구했다. 오션 센트럴(Ocean Central) 출시 발표: 미국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대사인 리마 반다르 알사우드(Reema Bandar Al-Saud)가 오션 센트럴의 출범을 발표했다. 웨이브(Wave)가 개발한 이 디지털 플랫폼은 FII 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바다를 재생하기 위한 노력에 시급한 자료인 해양 건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명확하고 발전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리마 대사는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류 세대 내에서의 해양 재생이라는 야심 차지만 실현 가능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웨이브를 설립했다. 웨이브는 협력적 디지털 플랫폼인 오션 센트럴을 개발하여 과거에 분산되어 있던 해양 과학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협업을 도모하고 의사 결정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해양 재생에 대한 전체적 진행 상황을 추적한다. 오션 센트럴은 데이터 중심 스토리, 연관 비디오 콘텐츠, 뉴스, 기타 해양 재생 콘텐츠를 접근 가능한 데이터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을 넓히고 앞으로의 도전 과제를 조명하며 성과를 기념하고 지구의 바다와 이를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에 대한 보다 진지한 인식을 높인다. 더 많은 정보는 www.oceancentral.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 구글KBE의 회장이자 CEO인 에릭 슈미트 박사(Dr. Eric Schmidt)와 함께한 AI와 기술의 지정학 논의: 에릭 슈미트 박사가 사이버 보안과 디지털 인프라의 발전이 국제 관계를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AI의 지정학적 영향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는 세계적으로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방향을 잃지 않기 위해 데이터 거버넌스와 디지털 무역에서 협력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Global Future of Work Compass FII 연구소는 MENA 지역의 200개 이상의 기업과 1,300명 이상의 사람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한 최신 연구조사인 'Global Future of Work Compass'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50%가 첨단 기술을 파괴적이라고 느끼며 46%가 청소년 기술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교육 개혁과 새로운 기술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보고서 전문 희망의 심포니 갈라(Symphony of Hope Gala) 지원 FII 연구소는 전 세계적으로 셀리악병의 영향을 받는 개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희망의 심포니 갈라에 10만 달러를 기부했다. 이는 FII 연구소의 폭넓은 건강 이니셔티브와 시급한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조성에 대한 노력을 보여준다. 타이탄의 대결(Clash of the Titans) 토론'Clash of the Titans'라는 제목의 활기찬 토론 세션에서 선도적 사상가들이 통화의 미래, AI 역할의 진실, 강대국 테크 기업의 영향력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이슈에 대한 역동적인 토론 방식으로 의견을 교환하며 시대를 정의하는 도전 과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했다. 세계적 거대 도시의 부상세계 유수의 기관에서 온 발표자들이 새로운 기회의 중심으로서의 커다란 상호 연결된 경제 구역이라는 거대 도시 개념을 탐구하고 혁신적인 솔루션과 인프라 투자를 통해 이러한 경제 허브를 지원하는 데 있어 자본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자원의 미래: 무공해 산업 달성패널 참가자들이 재생 가능 기술에 중요한 광물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 속에서 무공해 산업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SABIC, 시그마 리튬(Sigma Lithium), 발레(Vale), 아이반호 마인즈(Ivanhoe Mines), 마덴(Ma'aden)의 리더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책임감 있는 자원 관리 과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미래를 준비하는 인력 구축AI가 미래의 일의 형태를 재정의할 가능성이라는 중요한 주제로 변화하는 요구에 맞춰 교육과 훈련을 조정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산업 전문가들은 AI가 2030년까지 직무 역할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하며 어떤 방법으로 글로벌 경제에 13조 달러를 기여할 수 있는가를 강조하였다. "오늘에 투자하고 내일을 만든다"라는 주제로 FII 회의는 전 세계적으로 진보, 혁신,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의미 있는 투자를 촉진한다. 녹색 기술 및 신흥 시장의 디지털 변혁과 같은 주제로 45개 이상의 세션을 진행한 FII8은 글로벌 도전 과제에 대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탐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회의를 통해 미래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리더들에게 힘을 실어주며 영향력 있는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식견을 나눌 수 있었다. 발표: FII8에서 인류를 위한 영향력 있는 솔루션에 투자하는 11개의 새로운 재정 발표가 이루어졌다. 이 발표와 더불어 기술, 삶의 질, 혁신, 지속 가능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는 6개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체결되었다. FII 연구소 소개 FII 연구소는 인류를 향한 긍정적 영향력에 중점을 두는 글로벌 비영리 재단이다. 이들은 투자 부문을 통해 인공지능 및 로봇 공학, 교육, 의료, 지속 가능성이라는 4가지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있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45503/FII_DAY_TWO.jpg?p=medium600

2024.10.31 22:10글로벌뉴스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 새로운 '데이터 기반•기술 지원' 브랜드 캠페인으로 대담한 미래를 예고

새로운 브랜드 디자인, 외형 및 감성 2025년에 출시될 새로운 혁신 기능 런던,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해양 데이터, 인사이트, 분석 및 기술 회사인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Lloyd's List Intelligence)는 오늘 데이터 기반의 기술이 지원하는 현재와 미래에 맞춘 역동적이고 새로운 브랜드 포지셔닝을 발표했다. 전 세계 전문가들은 해상 무역에 명확성과 투명성을 위해 290년 이상 상업용 해상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의 세계 정세로 인해 글로벌 경제에서 해운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지정학적 충격 및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운의 고유한 취약성이 드러났다.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는 급변하는 세상에서 사용자가 위험과 불확실성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필수적이고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 브랜드는 오랫동안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전문가 인사이트를 상징해왔다. 이제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고객과 파트너가 안심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며 미래에 어떤 변화가 있더라도 안전하게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있다. 새로운 모습과 미래를 대비한 접근 방식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는 데이터 투명성, 혁신적인 기술, 그리고 인간의 독창성을 결합하여 변화를 통한 해상 무역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한다. 우리는 상업적 이익을 창출하고 위험을 평가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합법적인 무역 운송을 지원하는 신뢰할 수 있는 인사이트, 데이터 및 분석을 제공한다. 우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기술로 지원하며, 인간의 창의성을 통해 가속화하여 이를 수행한다. 데이터 기반. 기술 지원. 새로운 모습과 포지셔닝은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의 대담한 미래를 예고한다. 이는 또한 2025년에 출시될 여러 흥미롭고 새로운 솔루션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의 CEO인 마이클 델(Michael Dell)은 "해운은 글로벌 경제의 엔진"이라면서 "해운이 마비되면 모든 사람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해운, 보험, 금융, 상품, 정부 및 법률 분야에서 일하는 수천 명의 전문가들이 글로벌 무역을 계속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는 이러한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있다. 해양 정보의 개념을 개척한 지 거의 3세기가 지난 지금도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는 데이터, 분석, 업무흐름 통합 및 정보를 통해 최첨단을 정의하고 고객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거의 3세기에 걸친 격변의 세월 속에서 로이드는 끊임없는 혁신 역량을 입증해 왔다"고 말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lloydslistintelligence.com을 방문하거나 Richard.knight@mettlepr.com 07725 996 625에 연락하기 바란다.

2024.10.31 21:10글로벌뉴스

아주대, 2028년까지 바이오 의료에 250억 원 투입…해외 진출 모색

아주대학교(총장 최기주)가 향후 4년간 총 250억 원을 들여 국내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제조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아주대는 최근 융복합의료제품촉진지원센터 김주희 교수 연구팀이 산업통상자원부의 '혁신형 융복합 바이오 의료제품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총괄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산자부가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했다.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의 맞춤형 제조 및 실증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정부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4년간 250억 원 가량을 지원한다. 사업은 크게 2개 꼭지에 7개 세부 과제로 구성돼 있다. 2꼭지는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 개발'과 '글로벌 진출형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고도화'다. 첫 번째 꼭지인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 개발' 분야는 3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제1세부 과제는 총괄 기관 책임자인 김주희 교수 팀이 맡았다, 의약품과 의료기기 원재료 최적화 및 조합설계 기반으로 임상용 및 비임상용 융합 바이오 의료제품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할 예정이다. 세포-생체재료 복합체, 초소형 흡수성 약물전달체, 고용량 경피흡수제, 고농도 자가주사제 등 다양한 융복합제품의 제조기술을 확보, 글로벌 임상시험 진입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이 과제에는 (주)큐러블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양대병원, 한국화학시험융합연구원, 미국 USC 대학 등이 참여한다. 제2세부 과제는 동국대 권경희 교수 팀이 맡았다. 인공지능 기반 세포-생체재료 복합지지체의 최적 설계 및 제조, 생산기술 개발이 미현이다. (주)강스템바이오텍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했다. 제3세부 과제는 (주)사이넥스(대표 김영)가 주관하고, (주)삼양바이오팜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 미션은 인체이식형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최적화 공정설계 및 검증기술 개발이다. 두 번째 꼭지인 '글로벌 진출형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고도화' 부문에서는 총 4개 과제가 4개 기업이 주관을 맡아 수행될 예정이다. 우선 아이큐어(주)는 비침습형 수동확산 경피투과형 고용량 의약품 전달용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나선다. 또 (주)엑소스템텍은 고농도 자가투여 사전충전형 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주)덴티스는 세포-조직-생체재료 복합체 기반 글로벌 진출형 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한림제약(주)은 약물 코팅∙포집된 초소형 흡수성 융복합 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을 개발한다. 김주희 융복합의료제품촉진지원센터장(과학기술정책학과)은 “지난 4년간 식약처의 '융복합의료제품 안전기술 촉진지원 연구'를 통해 의료 인허가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 노하우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상이한 제조기술을 하나의 제품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제조 및 실증 플랫폼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또 "국내 바이오의료제품 산업의 기술적 도약을 촉진하고,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기틀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2024.10.31 20:48박희범

"해외서 이미 인기"…시어스랩, 180억 달러 글로벌 피트니스 앱 시장 본격 진출

시어스랩이 약 180억 달러(한화 24조8천130억원) 규모로 평가되고 있는 글로벌 피트니스 앱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시어스랩은 다음 달 1일부터 게임형 디지털 트윈 피트니스 앱 '스텝어스'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스텝어스'는 지난 8월 국내 공식 출시 이후 매월 20% 이상의 이용자 증가, 하루 활성 사용자 수(DAU) 3만 돌파 등의 성과를 거두며 꾸준히 이용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유저들의 땅 획득 수가 월 50만 건을 돌파할 만큼 게임형 피트니스 앱 시장에 대한 검증을 마쳤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시어스랩이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 한 것은 관련 시장 전망이 밝아서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피트니스 앱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18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7% 이상 성장해 2030년에는 약 52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어스랩은 스텝어스의 글로벌 진출에 앞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 시장 검증을 위해 2개월간의 철저한 현지 시장조사도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은 운동과 리워드가 결합된 서비스에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게임화된 피트니스 앱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바탕으로 시어스랩은 현지 사용자들의 취향을 반영한 UI·UX(사용자 환경·경험) 개선은 물론, 나이키·스타벅스·아마존 등 주요 글로벌 브랜드와의 제휴를 통해 현지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실질적인 보상 시스템을 구축했다. 향후 스텝어스는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현지화 전략과 함께 소셜 피트니스 커뮤니티 플랫폼 구축, 앱 내 땅 획득 비율에 따른 리워드 시스템 개편 등 혁신적인 서비스 확장도 준비 중이다. 또 이번 글로벌 진출에 맞춰 서비스 고도화와 글로벌 마케팅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어스랩은 스탠포드를 포함한 미국 내 여러 유명 대학 재학생 등을 대상으로 스텝어스 글로벌 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올해 말까지 북미 시장 내 사용자 10만 명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까지 글로벌 누적 사용자 1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진욱 시어스랩 대표는 "미국은 전체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라며 "국내 론칭만을 진행한 현재도 북미나 유럽,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서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2024.10.31 20:11장유미

딥엘, 엔비디아 GB200 DGX 슈퍼팟 도입…유럽 첫 구축 사례

엔비디아 GB200 시스템 탑재된 슈퍼팟 첫 구축 대열에 합류…자사 역대 최대 규모 구매로 업계 선도하는 언어 AI 플랫폼 개발에 박차 쾰른, 독일,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글로벌 언어 AI 기업 딥엘(DeepL)이 엔비디아 GB200 시스템 기반 DGX 슈퍼팟(NVIDIA DGX SuperPOD) 첫 상용 구축 대열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5년 중순 가동을 목표로 하며, 딥엘의 연구용 컴퓨팅을 구동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딥엘은 확장된 컴퓨팅 성능을 신규 모델 훈련 및 제품 및 기능 업그레이드에 활용해 전 세계 비즈니스 및 전문가가 언어장벽을 허무는 딥엘의 혁신적인 언어 AI 플랫폼을 한 단계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 딥엘 창업자 겸 CEO는 "딥엘은 항상 연구 주도의 회사로, 이를 통해 시중의 다른 솔루션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번역용 언어 AI를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이번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 투자는 딥엘의 리서치 및 엔지니어링 팀이 고객에게 인정받고 사랑받는 언어 AI 툴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시장에 선보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대 수만 개의 GPU를 위한 확장성과 수랭식 랙 스케일 아키텍처를 특징으로 하는 엔비디아 DGX GB200 시스템에는 엔비디아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슈퍼칩(NVIDIA GB200 Grace Blackwell Superchips)이 포함돼 딥엘의 최신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고성능 AI 모델을 가동할 수 있다. 특히 이 차세대 클러스터는 슈퍼스케일 생성형 AI 학습 및 추론 워크로드를 처리에 최상의 성능과 일관된 가동 시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딥엘의 세 번째 엔비디아 DGX 슈퍼팟 구축 사례로, 기존 플래그십 슈퍼컴퓨터이자 '탑 500' 슈퍼컴퓨터에 랭킹된 딥엘 머큐리(DeepL Mercury)보다 더 강력한 성능 처리를 자랑한다. 작년에 스웨덴 데이터센터에 구축된 딥엘 머큐리는 엔비디아 DGX 슈퍼팟과 DGX H100 시스템으로 구성 되어있다. 신규 슈퍼팟 구축 또한 같은 스웨덴 데이터 센터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찰리 보일(Charlie Boyle) 엔비디아 DGX 플랫폼 부사장(Vice President of NVIDIA DGX Platform)은 "언어 AI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고객은 즉각적인 응답을 기대하기 때문에, 실제 환경에서 AI를 개발하고 구축하는 데 있어 효율적이고 강력한 인프라는 필수"라며 "딥엘이 최신 엔비디아 DGX 슈퍼팟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어와 문화를 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통하도록 언어 AI 연구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딥엘은 획기적인 언어 AI 플랫폼으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며, 포춘(Fortune) 500대 기업 절반과 젠데스크(Zendesk), 닛케이(Nikkei), 코세라(Coursera), 그리고 도이치반(Deutsche Bahn) 등 업계 리더를 포함해 전 세계 10만 개 이상의 비즈니스 및 정부로 구성된 고객 네트워크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특히, 딥엘의 선도적인 번역 및 글쓰기 툴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언어 장벽을 허물고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며 국경을 초월한 협업을 가능하도록 돕는다. 또한, 이번 발표는 올해 딥엘의 주요 이정표 중 가장 최신 소식이다. 딥엘은 얼마 전 뉴욕에 신규 기술 허브를 개소하고, '용어집' 기능을 업데이트했으며, 번역 품질에서 GPT-4,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를 능가하는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공개해 개인화, 정확도, 성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딥엘은 최근 포브스(Forbes)의 2024 클라우드 기업 100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으며, 지난 5월에는 인덱스 벤처스(Index Ventures)가 주도하는 투자 라운드에서 기업 가치를 20억 달러로 평가받으며 3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DeepL 소개DeepL은 전 세계 기업의 언어 장벽을 허무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전 세계 228개 시장에서 10만 개 이상의 기업, 정부 및 기타 조직과 수백만 명의 개인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번역과 정교한 글쓰기를 위해 DeepL의 언어 AI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철저한 엔터프라이즈 보안을 바탕으로 전 세계 기업들이 언어에 특화된 DeepL의 AI 솔루션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혁신하고 시장을 확장하며 생산성을 향상하고 있다. 2017년, CEO 야로스와프(야렉) 쿠틸로브스키가 창업했으며 현재 900명 이상의 열정적인 직원을 보유하고 있고, Benchmark, IVP, Index Ventures 등 세계적인 투자자의 지원을 받고 있다. 심벌 마크 - https://mma.prnasia.com/media2/2447716/DeepL_Logo.jpg?p=medium600

2024.10.31 20:10글로벌뉴스

나가로, FWD 뷰를 전략적으로 인수하여 영국 내 입지를 강화

뮌헨,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 -- 디지털 엔지니어링 분야의 글로벌 리더 나가로(Nagarro)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금융 시장 데이터 변환 및 시각화 솔루션 전문업체 FWD 뷰(FWD View Limited)를 인수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나가로는 이번 전략적 인수를 통해 금융 서비스 분야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정규직과 계약직 포함 약 50명의 전문가를 보유하게 되어 동사의 영국 내 시장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FWD 뷰는 금융 업계 고객들에게 데이터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FWD 뷰는 델픽스, 콜리브라, 데이터브릭스, AWS와 같은 최첨단 도구와 플랫폼을 사용하여 데이터 품질, 거버넌스, 보호 및 분석,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나가로는 이번 거래를 통해 영국 금융 분야의 주요 업체들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주요 고객들은 데이터 기술 분야에서 향상된 수준의 서비스와 다양한 상품들을 제공받게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나가로와 마찬가지로 FWD 뷰 또한 '사람 우선'의 리더십 문화에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직원들을 지원하고 협업과 혁신 문화를 조성한다. FWD 뷰 CEO 제임스 히스(James Heath)는, "FWD 뷰의 여정에서 이 전략적 성과를 발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오랜 파트너들인 우리는 공유하고 있는 성과 중심의 문화가 우리 직원과 고객들의 가치로 빠르게 이어질 것임을 확신한다. FWD 뷰는 지난 8년 동안 금융 업계에서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해 왔으며, 이를 나가로의 AI 전문성, 우수한 엔지니어링 능력 및 전 세계에 걸친 사업 영역과 결합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데이터와 AI 혁명이 진행 중이며, 금융 서비스에 이미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한다. 나가로 BFSI 사업부 책임자 수리아 베둘라(Surya Vedula)는, "FWD 뷰의 동료들이 나가로 가족이 된 것을 환영한다"면서 "FWD 뷰의 데이터 중심 솔루션 분야 전문성과 집중력은 금융 업계에 대한 나가로의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한다. FWD 뷰 2017년에 설립된 동사는 영국에 본사를 둔 데이터 기반 전문 기업으로 금융 업계에서 다양한 데이터 변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가로 디지털 엔지니어링 분야의 글로벌 리더 나가로는 고객들이 디지털 우선의 혁신 기업이 되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동사의 경쟁력은 기업가적이고 민첩하며 전 세계를 상대한다는 기업 문화, 배려의 정신 그리고 혁신적인 사고 방식에서 나온다. 나가로는 37개국에서 18,3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844192/3850575/Nagarro_Logo.jpg?p=medium600

2024.10.31 20:10글로벌뉴스

원더쉐어 데모크리에이터, V8.0의 맥OS 시스템 호환성 업데이트

밴쿠버, BC주 2024년 10월 31일 /PRNewswire=연합뉴스/ -- 원더쉐어가 최근 자사의 데모크리에이터 V8.0이 맥 운영체제 시스템과 원활하게 통합되도록 대폭 업데이트되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앞서 원더쉐어 데모크리에이터는 윈도우와 우선 호환되는 최신 버전 V8.0을 출시한 바 있다. 원더쉐어가 최근 자사의 데모크리에이터 V8.0이 맥 운영체제 시스템과 원활하게 통합되도록 대폭 업데이트되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화면 기록 및 동영상 편집을 위한 최고의 소프트웨어인 원더쉐어 데모크리에이터는 모든 플랫폼에 걸쳐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별도의 트랙에서 화면, 웹캠, 마이크, 시스템 오디오를 캡처하여 후반 작업과 편집을 간소화하는, 잘 구성된 크로스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템플릿과 애니메이션, 전환, 배경음악 및 자막을 통해 사용자의 창의성을 높여준다. 데모크리에이터는 맥 운영체제 사용자의 사용 경험 개선을 중점에 두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다. 사용자의 화면을 기록하여 전문가 수준의 동영상을 쉽고 빠르게 생성한다. 사용자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AI 기반의 화면 녹화 장치 및 편집기의 놀라운 성능을 누릴 수 있다. 원더쉐어 글로벌 브랜드 마케팅 팀장 퀴니는 "데모크리에이터는 수년에 걸쳐 업계 1위 솔루션으로 성장하였으며 교육자, 마케터, 게이머, 기업 트레이너 등에게 쉽고 빠른 동영상 생성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첨단 AI 기술로 동영상 툴을 선도하고 있다."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앞으로 더 많은 사용자가 데모크리에이터를 체험해보고 가장 먼저 선택하게 되길 기대한다. " 맥용 데모크리에이터 V8.0의 특징 새로운 디자인 맥용 데모크리에이터 V8.0은 보다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도록 UI가 업그레이드되었다. 또한 매력적인 동영상을 그 어느 때보다 쉽게 제작 및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시각 효과 이펙트와 마법 도구 등 새로운 기능이 대거 추가되었다. 새로운 템플릿 세련된 템플릿을 이용해 클릭 몇 번으로 매력적인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들 템플릿은 화면 분할 기술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와 녹화된 콘텐츠를 나란히 표시하여 콘텐츠를 자연스러우면서도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어준다. 자동 자막 생성 자동 자막 생성 기능을 이용해 트렌디한 애니메이션을 가미하여 90가지 이상의 언어로 정확한 자막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AI 텍스트 음성 변환 데모크리에이터에는 AI 음성 생성 기술도 내장되어 있다. 120가지 이상의 음성 옵션이 지원되어 텍스트를 사람의 말소리처럼 다중 언어로 변환할 수 있다. AI 음성 변조기 새로 나온 AI 음성 변조 기능을 이용하면 음성을 24가지의 음색으로 다양한 언어로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AI 개체 리무버 동영상과 이미지에서 원하지 않는 요소를 제거하려는 경우, 새로 나온 AI 개체 리무버 기능을 이용하면 해당 요소 위에 프레임을 드래그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AI 보컬 리무버 데모크리에이터에는 노이즈 감소를 위해 배경 및 음성 분할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AI 인물 보정 6가지 사전 설정 보정 효과로, 사용자의 얼굴을 자연스럽게 보정해주는 사용자 지정 옵션을 지원한다. 브랜드 키트 크리에이터의 특성과 성격을 보여줄 수 있는 고유한 브랜드 키트다. 사용자 지정이 가능한 인트로, 아웃트로 및 로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기술 업그레이드 동영상 렌더링 속도가 이전 버전 대비 50% 향상되었다. 가격: 맥 V8.0용 원더쉐어 데모크리에이터의 가격은 ₩29,900에서 시작한다. 무료 체험판을 다운로드 하려면 데모크리에이터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유튜브 채널, 페이스북, X 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원더쉐어 소개: 원더쉐어는 창의성과 생산성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쇼티 어워즈(Shorty Awards), G2, GetApp 등의 기관으로부터 여러 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0개 국가 및 지역에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원더쉐어는 Wondershare Filmora, Wondershare PDFelement, Wondershare EdrawMax, Wondershare EdrawMind 등 동영상 편집, PDF 편집, 도표 편집 및 데이터 복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개별 사용자들이 열정을 다해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4.10.31 19:10글로벌뉴스

롯데홈쇼핑, '숏폼' 전채널로 확대

롯데홈쇼핑(대표 김재겸)은 TV, 티커머스, 모바일 등 전 채널로 숏폼 콘텐츠를 확대하며, 숏폼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롯데홈쇼핑은 지난 3월 업계 최단 기간 타임 세일 방송 TV숏폼 '300초 특가'를 선보였다. TV홈쇼핑 업계가 모바일 기반의 숏폼 콘텐츠를 주로 선보이는 데 반해, TV홈쇼핑 생방송에 숏폼을 과감하게 적용했다. TV홈쇼핑에서 처음 시도하는 최단기간 방송으로 기획단계에서 우려도 있었지만 현재까지 누적 주문건수 12만 건을 돌파하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청률이 낮은 평일 오전과 낮 시간대에 방송됨에도 불구하고 1초 당 지퍼백 350매, 휴지 140롤 등 기록적인 판매량을 달성하며 고객 이목을 집중 시키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9월부터 프로그램명을 '300초 특가'에서 '300초 숏핑'으로 변경하고, 내달부터 티커머스, 모바일로 운영 범위를 확대하는 등 대표 숏폼 콘텐츠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판매 상품 역시 생필품, 식품, 생활가전 중심에서 그룹사 연계 상품, 패션, 뷰티, 한정판 등으로 다양화한다. TV홈쇼핑 '300초 숏핑'에서는 '빼빼로 데이'를 기념해 내달 1일(금), 4일(월), 6일(수) '롯데웰푸드'의 '하트 빼빼로 24갑'을 업계 최저가로 판매한다. 7일(목)에는 100% 국내산 재료로 만든 '더아삭김치'를 저렴한 가격에 선보인다. 또한 내달 5일(화)부터 '300초 숏핑'을 티커머스 주 2회, 모바일TV '엘라이브'에 주 3회 편성한다. '하동녹차 명란김', '생활공작소 키친타월' 등 고객 수요가 높았던 상품부터 차례로 선보이며, 향후 인기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롯데홈쇼핑은 공식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숏폼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지난 6월 모바일 앱 메인 화면 하단에 '시간 절약+큰 혜택'의 의미를 담은 '초절약 숏핑' 서비스를 신설하고, 숏폼 형태의 상품 소개 영상을 노출하고 있다. 인기 방송, 히트상품을 선별해 약 30초 분량의 숏폼 콘텐츠로 선보여 현재까지누적 사용자 수 40만 명, 누적 재생 수 160만 건을 돌파했다. 숏핑 서비스 신설 이전보다 일평균 앱 방문자 수는 20% 늘었으며, 영상을 시청하다 상품 링크를 클릭해 구매하는 고객은 론칭월보다 현재 2배 증가했다. 현재까지 280개 이상의 숏폼 콘텐츠를 제작했고, 매주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다. 간단한 손동작으로 1분 안에 약 10개 이상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 접근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내달 중에는 숏폼 콘텐츠를 자동으로 편집하는 AI 기술을 접목해 월 200건 이상의 콘텐츠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동규 롯데홈쇼핑 마케팅부문장은 “모바일 기반 숏폼 형식의 일반적인 틀을 깨고, TV홈쇼핑 생방송에 숏폼을 적용한 '300초 숏핑'이 기록적인 판매량으로 성공함에 따라 티커머스, 모바일로 운영 범위를 확대한다”며, “짧은 시간에 고객의 이목을 끌 수 있는 차별화 된 숏폼 콘텐츠를 전 채널에서 선보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4.10.31 18:41안희정

NS홈쇼핑, 11월 '블랙페스타' 진행

NS홈쇼핑이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을 맞아 11월 1일부터 18일까지 '블랙페스타'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24K 순금 목걸이 경품 이벤트와 매일 다운로드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행사다. 경품 이벤트 참여는 NS홈쇼핑 모바일 앱에서 푸시 수신에 동의한 뒤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응모할 수 있으며, 이벤트 종료 후 무작위 추첨을 통해 1명에게 '24K 로즈 목걸이(26.25g)'를 증정한다. 경품은 미션을 통해 모은 선물이 많을수록 추첨 확률이 높아진다. 출석체크와 상품 장바구니 담기는 각 1개, 상품을 구매할 경우 3개의 선물 등 매일 최대 5개의 선물을 모을 수 있다. 이와 함께 NS홈쇼핑은 행사 기간 동안 실속 있는 쇼핑을 위한 모바일 5%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ID 당 매일 1회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당일에만 사용할 수 있다. 최대 1만 원까지 5% 할인을 제공한다. NS홈쇼핑 관계자는 “쇼핑의 계절을 맞아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이번 '블랙페스타'를 준비했다”라며 “다양한 미션을 통해 모바일 앱의 편리한 쇼핑을 경험하고, 특별한 경품 당첨 기회와 할인 혜택도 누리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4.10.31 18:34안희정

카스-블루스톤디엑스티-빅스테크놀로지,클라우드·AI 솔루션 분야 협력

카스(대표 김태인)와 블루스톤디엑스티(대표 김경민), 빅스테크놀로지(대표 김인석)는 카스 서울사무소에서 클라우드 및 AI 솔루션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각 회사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결합해 기업용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을 개발, 공급함으로써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에 기여하고자 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3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영업, 연구개발, 생산, 유통, 마케팅 등 분야별로 특화된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AI 솔루션 개발을 통해 새로운 AI 서비스 사업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카스는 국내 최고의 계량 계측 센서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및 상업 분야에 걸쳐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계량 계측 분야의 오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센싱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블루스톤디엑스티는 인천공항에 설치된 스마트 수하물 측정 시스템을 비롯 스마트 IoT 솔루션을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B2B 및 B2C 분야 IoT 데이터 수집과 분석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업이다. 빅스테크놀로지는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 '와이즈온 AI'를 통해 일본 소프트뱅크 자회사에 영업 지원 AI 어시스턴트 솔루션을 공급하는 등 AI 어시스턴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용 클라우드 AI 전문기업이다. 김태인 카스 대표는 “독점적인 시장과 기술 강점을 보유한 3사의 AI 사업 협력은 AI 기술에 상대적으로 소외된 제조업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 도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제조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민 블루스톤디엑스티 대표는 “향후 공동 개발할 기업용 AI 솔루션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제조업 현장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AI 어시스턴트 솔루션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4.10.31 18:29안희정

  Prev 1611 1612 1613 1614 1615 1616 1617 1618 1619 162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李, 네이버 출신 트리플 발탁...플랫폼 '꽃' 필까

네이버 "소버린 AI는 현지화+자립"…韓 넘어 글로벌 확산 핵심 키워드로 '부상'

[SW키트] "AI가 고른 사이트만 생존"…'콘텐츠 노출 전쟁' 시작

LG는 '전담조직 신설', 삼성은 '기술 인수'…HVAC 주도권 승부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