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무관세·저출산 직격탄…유업계, 신사업으로 활로 찾는다
국내 유업계가 저출산에 따른 수요 위축과 자유무역협정(FTA) 무관세 개방이라는 이중 악재에 직면했다. 유제품 중심 성장 전략에 제동이 걸리자 유업사들은 제품군을 다각화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일 유업계에 따르면 매일유업과 남양유업 등 주요 기업들은 감소하는 우유 소비량에 대응해 유제품 의존도를 낮추고 신사업을 확대하며 활로 모색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낙농진흥회 조사 결과 지난해 국민 1인당 국내 우유 소비량은 30.1kg으로 전년 대비 0.8kg 감소했다. 업계는 저출산으로 어린이·청소년 수요가 줄고, 수입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2026년부터는 미국·유럽산 유제품이 무관세로 수입돼 가격 격차가 더 벌어질 전망이다. 유럽 등 낙농 선진국은 축사·사료·관리비가 낮아 원유 생산 단가가 국내에 비해 저렴해 국내산은 가격 경쟁에서 불리하다. 남양유업, 백미당 확장하고 신제품 확대 남양유업은 올해 상반기 매출 4천477억원으로 6.5% 줄었지만,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동남아시아 등 주요 수출국에서 분유 매출이 30% 이상 증가한 덕분이다. 또 외식 프랜차이즈 '백미당'을 별도 법인으로 분리해 커피·아이스크림 사업 확장에도 나섰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락토프리, 고단백, 저지방, 저당 제품군 등 기능성과 프리미엄을 접목한 신제품을 확대해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매일유업, 외식사업에 이어 주류사업도 진출 매일유업은 올해 상반기 매출 9천1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54억 원에 그쳐 33% 감소했다. 원유 과잉공급과 원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부담 등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이에 회사는 매출 구조를 변경하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회사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유제품 매출 비중은 60% 아래로 떨어진 반면, 곡물·식물성 음료, 프로틴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비유제품 매출이 빠르게 늘며 기타 사업이 40% 이상을 차지했다. 지주사 매일홀딩스는 폴바셋과 크리스탈제이드 등 외식 사업을 운영하는 데 이어, 일본 삿포로맥주와 합작한 신규 법인 엠즈베버리지를 세워 주류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매일유업 관계자는 “발효유, 곡물·식물성 음료, 건강기능식품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며 “FTA 무관세는 예견된 과제인 만큼 비유제품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