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협회 "배터리 불황 상쇄할 ESS, 금융·세제 지원 필요"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29일 산업통상자원부, 전지·ESS 제조사 및 유관 협·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ESS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및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등 ESS 사업 유관기관과 전지 제조사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H2, 스탠다드에너지와 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 효성 등 ESS 제조사가 참석했다. 국내는 지난해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여, 글로벌 ESS 시장에서 35%의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21.5 GW의 장주기 ESS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제는 이를 시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기임에 따라 이번 간담회를 통해 국내외 ESS 산업 및 정책 동향, 국내 ESS 산업의 현황, 업계 건의사항 공유 및 의견수렴 등을 통해 종합적 지원방안 마련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한 업계의 주요 건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 내 연간 600MW ESS(2030년까지 총 3.7GW)에 대한 구체적인 입찰 공고계획, 물량 및 설치 예상 지역 등 연도별 보급 세부 이행 계획 수립하는 것이다. ESS 초기 설치 비용 지원과 재정적 리스크 완화를 위한 융자 지원제도 확대와 ESS 설치자 또는 투자자에 대한 직접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세제 지원 제도 강화도 있다. 재생에너지 급전가능 자원 등록 의무 및 패널티 제도 도입에 따른 ESS 연계 활성화를 위한 용량요금 적정성 재검토와 ESS의 추가 인센티브 제도 도입과, 국제적으로 관세율 및 자국 수요 강화 정책을 위한 규제 도입에 따른 국내 ESS 화재 안전과 에너지 안보 관련 평가 강화도 요청했다. 협회 측은 "글로벌 ESS 산업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효율적 활용 중요성 증가에 따라 ESS 설치 장려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며 "특히, 미국의 경우 기본 공제율 30%에 특정 조건 충족 시 추가 인센티브 제공, 중국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ESS 연계 설치 필수 및 보조금 지원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등 정부 주도 지원책이 뒷받침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러한 각국 정책적 지원 결과 글로벌 ESS 시장 성장률은 지속적인 상승이 전망되고 있으며,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국내 배터리 산업 불황을 상쇄할 구원투수 역할로 주목받는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국내 ESS 산업 지속 가능 기반 조성과 시장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초석을 다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