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봄 나들이 늘자 염좌·고관절 골절 발생↑
봄나들이 인파가 늘면서 염좌나 골절 발생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매년 3월~4월 발목 염좌 및 인대 파열, 다리 골절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목 염좌는 발목을 지탱해 주는 인대가 외부의 힘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거나 손상되어 통증 및 불안정성을 겪는 상태다. 주로 발목이 심하게 꼬이거나 접질렸을 때 발생한다. 매년 인구 1천 명당 2명~7명이 겪을 정도로 흔한 부상이다. 스포츠나 나들이에서 발생률이 높은 부상인 동시에, 남녀를 불문하고 고르게 발생한다. 대부분의 발목 염좌는 발목이 안으로 꺾이는 자세로 부상을 입는다. 때문에 환자의 약 80%는 발목 바깥쪽 인대가 손상된다. 족관절 외측인대는 총 세 개가 있는데, 관절이 꺾이는 각도에 따라 손상 인대가 달라지거나, 두 개 이상의 인대가 손상되기도 한다. 일단 발목 염좌가 발생하면 압통과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많은 이들이 겪는 1도 염좌는 인대나 주변 조직에 미세한 손상을 입어 발생한다. 통증은 심하지 않지만 방치하면 발목 불안정증이나 발목터널증후군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1도 염좌는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다. 일명 RICE 요법이 대표적인데 이는 ▲휴식(Rest) ▲냉찜질(Ice) ▲압박(Compression) ▲높이 올려놓기(Elevation) 등이다. 이를 통해 염좌 발생 직후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는 것. 이와 함께 깁스와 보조기로 환부를 고정하고 목발을 쓰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이후 근력 강화 및 균형감각 증대를 위한 물리치료, 재활치료도 적극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염좌가 1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염좌의 증상과 통증은 정비례하지 않는다.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인대 손상의 정도와 관절 불안정성을 정확하게 판단해야 하므로 전문의를 찾아 진단을 받는 것이 권고된다. 염좌가 심한 경우에는 손상 순간 툭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인대 손상이 심할 때는 체중을 싣기도 어렵다. 인대 파열 증상이 심하거나 만성적인 불안정성이 동반될 때는 수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인대의 부분 파열이 일어나는 2도 염좌, 인대가 완전히 단절되는 3도 염좌는 증상 파악 및 치료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발목 염좌 예방을 위해 장시간 걷거나 발목을 사용할 일이 많을 시 미리 수건 등으로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는 발목의 움직임에 주의해 천천히 걷자. 바닥 면이 미끄럽지 않고 쿠션감이 적절한 신발을 신어 발목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고령층, 가벼운 엉덩방아에도 고관절 골절 위험 골밀도가 낮은 여성이나 고령의 노인의 경우, 넘어지거나 산행 시 굴러 떨어지는 등 낙상 사고가 일어나면 가벼운 충격에도 고관절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낙상 사고로 일단 골절이 발생하면, 한번은 잘 회복되더라도 향후 다시 골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낙상으로 2·3차 골절이 생기면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대퇴골의 근위부에 골절이 발생하는 고관절 골절은 골다공증이 심한 65세 이후 노년층이 주의해야 할 부상 중 하나다.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고 생명의 위협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층의 고관절 골절로 인한 1년 내 사망률은 25%, 2년 내 사망률은 7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관절이 골절되면 극심한 통증에 더해 서거나 걷는 활동이 어려워, 침상 활동밖에 하지 못한다. 이는 노인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고관절 골절 시에는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된다. 인공관절치환술 등이 대표적. 하지만 수술 이후에도 근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관절 운동 등 꾸준한 재활 관리가 요구된다. 평상시에도 지나치게 쪼그려 앉는 자세나 무릎보다 낮은 의자에 앉는 등의 행동은 삼가야 한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양규현 원장은 “나들이 등에서 겪는 발목 염좌 등 부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점진적인 관절 건강의 저하로 이어지는 지름길”이라며 “발목 및 관절 부상을 입을 경우 꼼꼼한 상태 확인 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만성적인 질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년에는 가볍게 엉덩방아를 찧기만 해도 고관절이 부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며 “유동 인구가 많거나 경사가 진 곳, 고르지 못한 지면 등에서는 넘어지지 않도록 천천히 조심해서 이동하되, 피로감이 강해지면 휴식을 취하며 주의력을 회복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