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반려동물 보호자들 '당근'에 모이는 이유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에서는 이색 반려동물에 대한 양육 정보를 나누는 모임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26일 당근에 따르면, 당근에서 개나 고양이 같은 대표적인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앵무새, 미어캣 등 이색 동물을 기르는 이용자들의 모임이 잇따라 생겨나고 있다. 정보 접근성이 낮고 양육 난이도가 높은 이색 반려동물의 특성상, 보호자들이 서로 양육 정보를 주고받는 커뮤니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 오산시의 '반려새를 위한 모임'에서는 다양한 챌린지 기능을 활용해 반려새의 일상을 활발히 공유하고 있다. '오늘의 귀여운 순간을 포착' 챌린지를 통해 보호자들은 반려새의 모습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자랑하고, 서로 응원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또한 '1일 1 산책' 챌린지에서는 보호자들이 반려새와의 산책 모습을 인증하며 서로에게 자연스럽게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실내 생활이 많은 반려새의 건강을 고려해, 산책을 일상의 루틴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다. 어항이나 비바리움 등에서 생물을 기르는 '물생활 모임'도 눈에 띈다. 물생활은 작은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관리 난이도도 높아, 자세한 정보 없이는 건강한 사육과 생태 유지가 쉽지 않다. 실전 경험이 중요한 만큼, 모임원들 사이에서 사육 노하우를 활발히 공유하는 모습도 보인다. 서울시의 한 물생활 모임에서는 “새우랑 몰리를 같은 수조에 넣어도 싸우지 않고 잘 지낼까요?”라는 질문에, 한 모임원이 자신의 사례를 바탕으로 조언을 남기기도 했다. 이외에도 미어캣, 도마뱀, 햄스터 등 다양한 소형 반려동물을 기르는 보호자들은 종은 달라도 소동물에 대한 애정을 공감대로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인천시의 '소사모(소동물을 사랑하는 모임)'에서는 소동물을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이 많지 않아, 지역별로 알려진 특수동물병원 정보를 서로 추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당근 관계자는 “이처럼 당근에서는 반려동물을 향한 애정을 매개로 정보 나눔과 공감, 응원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일상 속에서 이웃 간 따뜻한 연결이 확산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로 이웃들이 편하게 모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