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전일 로봇케어 "로봇 게임체인저가 되려면 10년 대계 필요"
"우리가 (로봇) 게임 체인저가 되려면 10년 이상의 장기 계획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앵커기업을 하나 정해놓고 PF 방식으로 해야 하고 법 제도 전문가도 들어가야 합니다. 우리가 기술이 문제가 아니고 선제적으로 국가 표준이 움직여야 글로벌 시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문전일 로봇케어 대표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디지털 혁신 페스타 2024'의 부대행사 '퓨처 테크 컨퍼런스'에서 '인류의 삶을 이롭게 하는 로봇활용 서비스'를 위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문전일 로봇케어 대표는 지능형로봇표준포럼(KOROS) 의장으로 1986년 LG전자에서 로봇개발팀 연구원을 시작해 2007년 호서대 로봇공학과 교수를 거친 한국 로봇 1세대 인사다. 로봇케어는 문 대표가 2012년 설립된 대한민국 로봇기업으로 노인 돌봄, 전시안내, 교육 등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문전일 대표는 로봇이 보편화된 사례에 관해 설명했다. 서비스를 활성화하려면 가치를 제공하거나 경험을 확장하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 대표는 "로봇이 보편화된 성공 사례를 보면 저희 삶의 방식이 많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라며 "서빙 로봇은 코로나 상황을 겪으며 배송 배달 이런 문화들이 많이 활성화됐고 가치도 창출하고 경험도 확장한 이제 성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서비스영역에서도 로봇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문전일 교수는 "수술 로봇도 활성화되고 있다. 왜 이렇게 활성화되냐면 과거에는 수술하려면 절개 부위가 굉장히 넓었지만, 최근에는 구멍을 3개 또는 배꼽에 1개만 내게 되기 때문에 수술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입원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수술 로봇으로 인해 의사 같은 의료원들의 신체적 노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신체적 부담과 수술환경 고도화 등 모든 부분에서 장점이라는 뜻이다. 반면 서비스 로봇이 좀처럼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휴대폰처럼 로봇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우리가 로봇을 쓸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며 "한국의 기대수명은 OECD 기준으로, 거의 84세로 건강 수명은 73세다. 73세를 넘으면 평균적으로 어떤 질환이나 병을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얘기다"고 말했다. 이어 "근데 우리가 지금 100세 시대를 얘기하는데 그럼 거의 20~25년 이상 질환을 앓고 살아야 한다"며 "그럼 로봇이 도와주거나 로봇을 활용해 예방해 주는 방법 두 가지뿐"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로봇 활성화를 위한 범국가적인 차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문전일 대표는 "로봇을 서비스하려고 하면 법 제도 규제가 막혀있다. 상당히 많이 막혀 있는 상태"라며 "사전에 준비를 안 하면 국내 시장은 물론 해외 시장도 치고 나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