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환영'이라더니…"입장기준 알기도 어렵고 제각각"
복합쇼핑몰과 커피 프랜차이즈 등 여러 매장이 '반려견 동반 가능'을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입장 기준은 제각각이다. 맹견류만 제한할 뿐, 견종이나 입마개 착용 여부, 매장 내 행동 수칙 등은 대부분 '자율'에 맡기고 있다. 이 때문에 반려인들 사이에선 “눈치 보느니 차라리 안 간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반려견 출입을 명확히 하는 곳은 신세계프라퍼티의 스타필드와 롯데 프리미엄아울렛 기흥점, IFC몰 등이다. 커피 프랜차이즈 중에서는 스타벅스와 할리스, 커피빈 등이 반려견 입장을 가능토록 하는 특화 매장을 운영한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견종별 출입 제한이나 입마개 착용 여부 등에 대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신세계프라퍼티가 운영하는 스타필드는 예방 접종을 마친 반려동물에 한해 출입을 허용한다. 다만, 1.5m 이내의 목줄 착용이나 케이지 탑승을 조건으로 한다. 맹견류는 출입이 제한되며, 도사견, 핏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도고 아르젠티노 등 법적으로 맹견으로 분류된 개와 그 잡종, 또는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은 개가 해당된다. 스타필드 측은 “초대형견이나 맹견 유사 견종의 경우 사고 예방 차원에서 보안 요원이 주시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외부에 마련된 반려견 놀이터인 '펫파크'에서는 활동성을 고려해 1인당 1마리만 동반 입장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무게나 키 제한이 존재하기도 하나, 장소마다 기준이 다른 등의 문제점이 있다. 롯데 프리미엄아울렛 기흥점의 경우 체고 60cm나 체중 20kg 이상인 대형견 등은 출입이 제한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IFC몰의 경우 몸무게 10kg 이하의 반려견만 입장이 가능하다고 명시돼 있으나, 별도의 검사 등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IFC몰 관계자는 “매장에서 무게를 재 보거나 하지는 않는다”며 “이용자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는 대형견 출입을 제한하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스타벅스, 할리스, 커피빈 등도 일부 매장에서 반려견 입장이 가능한 '펫 프렌들리 매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들 역시 맹견을 제외하고는 입마개 착용 여부, 견종이나 체고 제한 등 세부 기준은 정해놓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명확한 출입 기준을 만들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준을 세우는 순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견종이나 크기, 성격 등에 따라 기준을 둘 경우, 특정 반려인에게는 차별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며 “가급적 자율에 맡기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골든 리트리버처럼 성격이 온순한 대형견도 있는데, 키나 무게로 제한할 경우 불만이 크다”며 “명확한 기준이 없으니 불필요한 갈등과 눈치를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영'이라는 말만 앞세울 것이 아니라, 반려인과 비반려인 모두가 불편하지 않도록 실질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