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마하7 초음속 미사일 양산…"비용 90% 줄였다"
중국 민간 항공우주업체가 마하7 초음속 미사일을 개발해 양산을 시작했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링콩톈싱(凌空天行) 테크놀로지는 25일 YKJ-1000 미사일이 비행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에서 사막 시험장에서 촬영한 실제 목표물 충돌 장면도 담겨 있다. YKJ-1000은 500~1,300㎞의 사거리를 갖추고 마하 5~7의 속도로 비행하며 최대 6분 동안 동력 비행을 유지한다. 또, 발사체는 표준 운송 컨테이너와 유사하여 육지나 바다에서 이동성과 은폐성이 뛰어나다. 특히 비행 도중 목표물을 자동 식별하고 위협 요인을 회피하는 기능이 탑재돼 항공모함 전단이나 방공망 등 기존 방어 체계를 우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회사 대변인은 이 시스템이 "특수 발사체가 필요하지 않으며 바다를 포함한 이동식 플랫폼에서 배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미사일 비용이 "기존 미사일 제작 비용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링콩톈싱은 자사의 접근 방식이 “자동차용 칩, 민간용 소재 및 기존의 대량 생산 공급망에 의존한다”며, "쉽게 구할 수 있는 부품을 채택하고 민간 건축 자재를 활용해 기존 프로그램의 10분의 1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링콩톈싱은 마하 5 이상의 고속 비행이 가능한 민간용 항공기도 개발 중이며, 기본 미사일을 넘어 인공지능(AI)과 군집 조정을 통합한 '지능형 버전'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어 2027년 첫 시험 비행, 2030년까지 상용화된 전체 기체의 비행 테스트를 마친다는 목표다. 외신들은 이 소식이 “군사기술과 방위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국이 주요 방산업체들이 주도하는 대규모의 초음속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가운데, 중국은 민간 기업을 통해 초음속 무기 산업화를 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