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 강국 실현"···디플정위, 범부처 전략 마련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는 16일 오후 민간위원, 정부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이하 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정부위원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파견 나온 공무원들을 말한다. 행사에는 고진 위원장을 비롯해 민간위원인 ▲배순민 KT AI2XL 소장 ▲오종훈 KAIST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 교수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 ▲차인혁 광주과학기술원 AI정책대학원 석학교수 ▲김형숙 한양대 디지털헬스케어센터장 ▲김영미 상명대 행정학부 교수 ▲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언더우드 특훈 교수 ▲신은영 SAP코리아 대표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구태언 법무법인 린 테크앤로 대표 ▲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김대환 소만사 대표가 참석했다. 부처에서는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참석했다. 이날 위원회는 민생과 기업성장에 도움이 되는 AI·데이터 기반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조하에 관계부처와 함께 논의해 온 2개 정책과제(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과기정통부와 위원회,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고도화 방안/행안부)를 각각 발표, 심의했다. 논의 안건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과기정통부, 위원회/차인혁 TF장 등): 위원회 소속 디지털 트윈 TF와 과기정통부는 데이터를 가장 잘 수집하고, 가장 폭넓게 사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 기술로 디지털 심화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범부처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을 발표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 또는 시스템의 구조, 동작 등을 가상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고, 현실과 가상세계 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관제·분석·실험 등 예측 과정을 거쳐 현실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전략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데이터 순환 생태계 조성' 및 '국민 편익과 글로벌 선도를 위한 디지털 트윈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정부·산업·국민·기술 네 가지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코리아'를 구현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추진 과제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원회에 민관 협력을 위한 '(가칭)디지털 트윈 코리아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트윈 데이터 간 연계 활용을 위한 데이터 표준을 마련한다. 둘째,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해 다양한 수요 분야(자율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가상환경 기반 의료기기·의료서비스·병원 운영 기술개발 등)에 디지털 트윈을 우선 적용하는 한편 초기 서비스 및 아이디어 제품화 전환, 수출 모델 조성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을 조성한다. 셋째, 국민이 편익을 누리실 수 있게 안전·도시·교통·에너지 등 주요 분야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발굴 및 고도화하고, 우수 서비스를 도시·농어촌 특정 구역에 집약·연계해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창출하는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을 조성한다. 넷째, 글로벌 기술 선도를 위해 트윈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기술(데이터, 시뮬레이션, 가시화 등) 및 미래 기술 수요를 선제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연합핵심기술개발' 등 고단계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디지털 트윈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확산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실현하고 국내 기업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한편 국민이 일상생활 구석구석까지 편리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누리실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코리아'를 구현, 글로벌 기술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고도화 지원방안(행안부): 전국 지자체에 설치된 CCTV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접목하고 그 활용성을 확대해 지능형 CCTV가 국민 생활 속 최일선에서 국민 안전을 지켜나가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과학기술 기반 국민안전 정부 실현과 AI, 영상분석 산업 발전을 위해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고도화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그동안 각 지자체는 방범, 교통단속 등을 위해 CCTV를 설치해 일상 속 위험상황을 관제해 왔는데, 주로 관제요원 육안에 의존하다보니 사고 상황을 신속히 탐지하는 데 애로가 있었고 재난안전 용도로 적극 활용하는 데도 제약이 있었다. 이에 위원회는 '과학기술 기반 국민 일상이 안전한 사회 구현'을 슬로건으로 향후 3년간 4개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첫째, CCTV 통합관제센터 설치 및 운영 근거를 명확화하고 영상정보를 재난안전 상황에 활용할 수 있게 유기적 협조체계를 마련하는 등 법과 제도를 개선한다. 둘째, 지능형 관제를 위해 '저화질 CCTV(200만 화소 미만)' 교체, 공원 및 산책로 등 관제 사각지대에 CCTV 확충 등 기술적 인프라를 보강한다. 셋째, 민관과 협력해 지능형 관제 활용률이 높은 밀집, 폭우, 도심화재 등 6개 기본 탐지모델과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을 실증한다. 넷째, 영상정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신뢰성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될 수 있게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과기정통부),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개인정보위) 등을 참고해 현장 영상정보 기반의 지능형 학습플랫폼을 구축하고 AI와 영상분석 기업, 연구기관이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국 지자체의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재난·안전을 포함한 현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전망이다. 나아가, 기술력을 지닌 AI, 영상분석 기업이 과제 추진에 적극 참여할 수 있게 국내 기업의 기술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됐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디지털 트윈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복잡한 현실문제를 해결가능한 '디지털 심화시대 최적화 기술"이라면서 "국민이 일상생활 곳곳에서 널리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코리아' 구현을 위해 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은 "국민이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하실 수 있게 민간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지자체의 CCTV 관제 기술과 역량을 높여 나가고, AI와 영상분석 산업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게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2년 간 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함께 민생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기업 성장에 보탬이 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힘써왔고,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오늘 논의한 안건들을 포함해 AI·데이터 기반 디지털플랫폼정부 완성을 조속히 추진하여 국민들이 '가장 선진적인 정부'를 체감하실 수 있게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