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 화면에 눈이 번쩍...삼성 98인치 QLED·77인치 OLED TV 보니
[라스베이거스(미국)=이나리 기자] 삼성전자가 3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3' 개막을 앞두고 현지 기자를 대상으로 2023년형 TV 신제품을 미리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TV 신제품은 전시장 메인 부스와 별도로 시저스 팰리스 호텔에 마련된 '삼성 퍼스트 룩 2023' 전시장에 마련돼 있었다. 전시장에 들어서자 넓은 공간에 전시된 마이크로 LED, 네오 QLED 등 대형 TV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삼성전자는 98인치 네오 QLED 8K TV와 77인치 OLED TV를 이번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제품들은 올해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98인치 네오 QLED를 실제로 보니 전시장 공간이 워낙 커서 98인치의 큰 화면이 실감이 잘 안났다. 하지만 TV 옆에 사람이 직접 서 보니 비슷한 높이를 띄면서 큰 사이즈가 절로 실감이 났다. 또 화면이 커진 만큼, 영상의 입체감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제품 네오 QLED TV는 사이즈 뿐 아니라 화질 기능도 추가됐다. 정강일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상무는 "2023년형 네오 QLED TV의 특징은 '릴루미노 모드'를 적용해 낮은 시력을 갖은 시각 장애인들도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게 했다"고 강조했다. 릴루미노 모드는 화면의 윤곽선, 색채와 명암 대비를 강조해 저시력자들이 콘텐츠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돕는 기능이다. 일반 화면과 릴루미노 모드와 비교해 보니, 릴루미노 모드가 훨씬 선명했다. 그 밖에 2023년 네오 QLED는 기존 보다 업그레이드된 '인공지능(AI) 업스케일링'과 '뉴럴 퀀텀 프로세서'가 탑재된 점이 새로운 특징이다. 또 영상의 사물 형태와 표면에 따라 광원 형상을 최적화해 주는 '초미세 라이트 컨트롤', 배경과 대조되는 대상을 자동으로 정해 화질을 개선해주는 '명암비 강화+' 기능들도 추가됐다. 삼성 OLED TV는 기존 55형, 65형에 올해 77형이 새롭게 추가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OLED TV를 처음으로 출시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 '삼성 게이밍 허브'를 탑재해 게임을 대형 TV에서 고화질로 즐길 수 있게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에 공개된 OLED TV가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인증을 OLED TV 최초로 획득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멀티테스킹 기능을 강화해 게임을 하면서 음악을 듣고,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챗 투게더' 기능을 사용하면, 스포츠 경기를 보면서 친구들 또는 유저들과 실시간으로 채팅을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TV에 영상통화를 지원한다는 점도 내세웠다. 정 상무는 "모바일의 작은 화면이 아니라 큰 화면으로 영상통화를 하고 싶어하는 니즈를 반영해 영상 통화를 지원한다"라며 "TV로 영상통화 하다가, 모바일로 옮겨서 영상통화를 이어나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프로젝터 부분에서는 '더 프리미어 8K'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8K 초단초점 프로젝터인 '더 프리미어 8K'는 최대 381센티미터(150형) 화면을 지원한다. 대형 사이즈의 화면은 홈 시네마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큰 화면인데도 화질이 선명했다. 작년 CES 2022에서 처음 공개돼 큰 주목을 받았던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은 올해 '스마트 엣지 블렌딩' 기술이 새롭게 추가됐다. 스마트 엣지 블렌딩은 더 프리스타일 2대의 화면을 연결해 가로와 세로 형태로 화면 확장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실제 이 기능을 살펴보니, 소비자가 큰 화면을 위해 더 프리스타일 2개를 구입하는 것은 가격 부담이 크고, 2개 제품을 설치 하는것은 공간 활용도가 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차라리 큰 화면을 지원하는 프로젝터 제품 1개를 구입하는 것이 더 나아 보였다. 또 아웃도어 TV '더 테라스'도 전시돼 있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보다는 사계절에 큰 차이가 없는 미국 등의 지역에서 아웃도어 TV 수요가 높다"고 설명했다. 라이프스타일 TV에서는 액자 같은 TV '더 프레임'에 메탈 베젤이 올해 새롭게 추가됐. 정 상무는 "메탈 소재의 프레임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있다"라며 "메탈 프레임은 영화 아트를 구현하기에 제격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