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10명 중 3명 자녀에 성장보조제 먹인다
학부모 10명 가운데 3명은 자녀에게 성장보조제를 먹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생활 습관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가 한국갤럽은 전국 학부모 2천12명을 대상으로 '바른 성장 및 건강한 생활 습관 실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결과를 실시했다. 학회는 조사를 통해 지난 2016년 이후 10년간의 변화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학부모 10명 중 3명은 자녀의 키를 위해 성장보조제(28%), 칼슘(33.9%), 비타민D(32.4%)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만 5세~6세 미취학 자녀에게 칼슘과 비타민D를 먹인다는 응답률은 약 40%로 나타났다. 또래보다 작은 키를 보이는 아이는 키 성장보조제 사용률이 39.6%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하지만 키 성장보조제의 효과와 관련해 응답자의 75.7%가 '보통'이나 '효과가 없음'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부모들이 낮은 효과성에도 키 성장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은 자녀의 키가 크길 바라는 기대 때문이다. 조사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자녀가 성인이 되었을 때 남성은 평균 180.4cm, 여성은 평균 166.7cm까지 크길 원하고 있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성인 평균 신장보다 약 5cm 이상 큰 수치. 이에 대해 대한소아내분비학회는 우리 사회의 '큰 키 선호 현상'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황일태 대한소아내분비학회장은 "불필요한 영양제를 자녀에게 과도하게 섭취시키면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최근 아이에게 수면유도제를 먹이는 경우까지도 있다"라며 "키 성장보조제를 먹인다고 자녀 키가 크지 않기 때문에 부모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성장 영향 수면 부족 이번에 자녀들의 생활 습관에 대한 조사도 함께 이뤄졌다. 스마트폰은 응답자의 자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자기기로 조사됐다. 초등학생은 주중에 43.5%, 주말 66.5%가 하루 2시간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지난 2016년 조사에서 20.4%가 하루 2시간 이상 사용한다고 응답했던 것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 특히 주말에 전자기기 사용 시간 증가는 야외 활동 및 운동 시간 감소로 이어져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미취학 아동의 과도한 전자기기 사용 실태도 확인됐다. 미취학 자녀의 31.6%가 주중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으로 조사된 것. 성장 초기 단계부터 전자기기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장기적으로 성장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잠자기 직전까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비율은 55.7%에 달했다. 중‧고등학생은 70%~80% 수준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비율이 증가했다. 응답자의 77.3%는 전자기기 사용이 자녀의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자녀들은 10년 전 조사와 비교해 여전히 수면 부족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중‧고등학생의 80% 이상이 '하루 8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한다'라고 응답했다. 초등학생의 36.3%도 하루 8시간 미만의 잠을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년 조사의 35.2%보다 증가한 수치, 미취학 아동도 26.3%가 하루 수면 시간이 8시간 미만으로 나타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수면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학령기 이전부터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맞물려 수면 패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야외 활동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의 55.3%가 자녀의 운동 횟수가 '주 3회 미만'이라고 답했다. 여고생의 42.4%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다. 이처럼 신체활동이 부족한 원인으로는 '아이가 너무 바빠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63.5%로 가장 많았다. 또 하루 세 끼 식사를 지키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도 약 20%로 나타났다. 여고생의 40%는 하루 두 끼 이하로 식사했고 25.4%는 아침을 거른다고 응답했다. 미취학 자녀 중 약 7.3%가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그렇지만 생활습관의 고른 적용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자녀 성장과 관련한 중요 요소로 '식습관'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46.2%). 이어 ▲수면 37.6% ▲운동 14.4% 순이었다. 하지만 앞선 요인을 고루 적용하지 않고 임의 판단에 따라 일부에 집중했을 때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가령 아침밥 대신 성장보조제 등을 대신 먹이는 등의 행동 등이 대표적이다. 이해상 대한소아내분비학회 홍보이사(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부모가 성장을 위한 요소를 알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거나 다른 방법으로 대체하려고 하면 그로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며 “성장은 하나의 요인으로 결정되지 않고, 식습관, 수면, 운동 고루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종합적으로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갖도록 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황일태 대한소아내분비학회장은 "자녀 키 성장에 대한 관심만큼 올바른 생활습관 실천에는 관심이 높지 않은 것 같다"라며 "스마트폰 사용 증가‧수면 부족‧운동 부족‧불규칙한 식습관 문제가 10년간 지속되고 있고, 미취학 자녀 시기부터 이 같은 문제가 나타나 조기 개입과 관리의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성장은 단기간의 주사나 보조제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이 핵심”이라며 “성장호르몬이나 성장보조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