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대만서 엿본 첨단 로봇기술
[타이베이(대만)=신영빈 기자] 세계적으로 로봇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산업 생산성과 일상에서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무엇보다 일할 사람이 급격히 부족해지는 상황이 로봇의 수요를 절실하게 만들고 있다. 대만은 인구 절벽에 직면한 동아시아 국가 중 한 곳이다. 지난 2022년 합계출산율 0.87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0.72명을 보인 한국이나 2021년 0.77명을 기록한 홍콩과 마찬가지로, 저출산이란 사회문제가 가파르게 수면 위로 떠오르는 지역이다. 대만 산업계는 이런 추세에 걸맞게 지난 19일 막을 내린 '2024 대만 이노테크 엑스포(TIE)'에서 여러 로봇 자동화 기술을 소개했다. 맨손으로 조립하는 관절형 로봇부터 지능형 사족보행 로봇, 빌딩 외관 타일을 검사하는 로봇까지 다양한 솔루션이 등장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먼저 국립대만대학교 기계공학과가 주도하는 자율·소프트로보틱스연구소(ASR랩)는 지능형 사족보행 로봇 기술을 뽐냈다. 93cm 크기 40kg 무게의 인공지능(AI) 로봇 개가 부스를 누볐다. 이 로봇은 라이다 매핑과 자율주행 기능을 활용해 자세·신체 균형 제어와 지형 적응, 장애물 통과 등 기능을 갖췄다. 전방향 보행이 가능해 가재걸음처럼 옆으로 걸어갈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고정밀 검사와 실시간 메시지 전송이 가능해 다방면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연구소 측 설명이다. 국립대만대학교에서는 로봇이 물체에 접촉했을 때 재료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 '텐즈(TENS)'도 선보였다. 로봇 손가락 끝에 탑재하면 물질 구성과 아미노산을 감지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약 5천 번의 굽힘 실험을 거쳐도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오위안 시의 국립중앙대학교는 대만 최초로 건물 외관검사에 적용한 초소형 머신러닝 로봇을 선보였다. 애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은 이동 패턴을 기반으로 건물 외부를 기어다니면서, 딱따구리의 쪼는 동작처럼 타일을 검사하는 점이 독특하다. 이 작은 로봇은 AI 시각·음향 인식 기능을 갖췄다. 빌딩을 톡톡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서 결함을 찾아낸다. 여기에는 초소형 머신러닝(TinyML)과 합성곱 신경망(CNN) 기술이 사용됐다. 대만산업기술연구소(ITRI)는 탈착식 관절로봇을 전시했다. 로봇의 여러 관절과 페이로드 등 다양한 구성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분리형 로봇관절 시스템' 모듈을 적용했다. 각종 센서와 구동 컨트롤러, 엔코더, 모터, 브레이크 등을 통합·조정하기 위한 주변기기 간 통신에 이더캣(EtherCat)을 활용했다. 대만 메카비전은 로봇용 고감도 터치센서 'T-스킨'을 소개했다. 어떤 로봇 팔에든 장착하면 외부 접촉을 정밀하고 빠르게 인식해서 즉시 작동을 멈추는 부품이다. 약 30분이면 기존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로봇 전체 동작 범위를 방해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를 비롯해 전자 제조업체인 폭스콘과 콴타컴퓨터 등이 거점을 두고 있어, 자동화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시장으로 꼽힌다. 현지에서는 테크맨로봇이 콴타의 계열사로서 협동로봇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