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UAE, 산업·에너지·무역투자 협력 강화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순방을 계기로 산업부와 에너지·산업분야 유관기관·기업이 UAE 측과 산업·에너지·무역투자 분야에서 총 7건의 공동성명과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술탄 알 자베르 UAE 산업첨단기술부 장관과 '한-UAE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 MOU'와 '한-UAE 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 공동선언'에 서명했다. 수하일 알 마즈루이 UAE 에너지인프라부 장관과 '한-UAE 수소협력 MOU'를, 압둘라 알 마리 UAE 경제부 장관과는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를 체결했다. 서명식에서는 한국석유공사와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가 '한-UAE 국제공동비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또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은 에미리트 원자력에너지공사(ENEC)와 '넷 제로 가속화 프로그램 MOU'와 SK주식회사와 무바달라 투자회사는 '자발적 탄소시장 파트너십 MOU'를 교환했다. 산업분야에서는 UAE의 산업 다각화 정책에 따른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SPIAT) MOU'를 교환함으로써 양국 기업 간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신산업·첨단기술 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을 마련했다. 한-UAE 양국은 디지털 전환, 모빌리티, 항공우주, 부품·소재, 공급망 협력(제약·의료기기 포함) 등을 포함한 '첨단제조 이니셔티브' 추진에 합의해 첨단제조 분야에서 양국 강점을 결합한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하기로 했다. 양국은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 공동선언(CSEP)'을 통해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탄소포집사용저장(CCUS) 등을 포함해 에너지 전반에 걸쳐 포괄적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한-UAE 원전 관련 협력 강화를 위해 제3국 원전 수출시장을 공동 개척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미래원전 기술개발 등을 포함한 '넷 제로 가속화 MOU' 교환을 추진했다. 에너지신산업 분야인 수소 분야에서는 '수소협력 MOU'를 통해 청정에너지 수소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전주기에 걸친 전반적 수소 협력의 틀을 마련했다. 석유 분야에서는 '한-UAE 국제공동비축사업'을 체결, 석유공급 위기상황 발생 시 계약물량 전량(400만 배럴)에 대해 한국이 우선 구매권 확보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대여 수익(3년간 1천440만 달러)도 확보했다. 양국은 탄소중립 달성 노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민간 부문에서 체결된 '자발적 탄소시장(VCM) 파트너십 MOU'에 따라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 주도 탄소시장 구축에 합의했다. 한-UAE 양국은 국제 통상질서 변화에 대응하고 국가별 맞춤형 통상협력 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포괄적 통상협력 플랫폼인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를 UAE와 최초로 체결했다. TIPF에는 무역원활화, 투자 증진, 공급망, 디지털, 그린, 바이오경제, 산업발전전략, 물류협력, 비즈니스 환경, 무역기술장벽 등이 포함됐다. 양국은 '한-UAE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관심 분야에 대한 민간 협력, 기술혁신 R&D 및 투자, 제3국과의 공동협력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협력 플랫폼을 마련했다. 양국은 이 플랫품을 기반으로 가시적인 협력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실질적 프로젝트를 발굴한다. 양국 간 산업협력 분야가 첨단제조장비·소재부품 뿐 아니라 스마트팜·이러닝 등 첨단융합 신산업으로 확대되고 우리 기업의 UAE 진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에너지 협력 확대를 통해, 원전은 바라카 원전의 성공적 협력을 기반으로 글로벌시장 확대 가속화와 SMR 등 미래 첨단원전 협력 기반의 틀도 마련했다. 에너지는 수소·암모니아 등 청정에너지 확대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분야에서도 민관협력 강화 및 시장창출 기반을 조성했다. 특히, 탄소시장 구축은 우리 기업이 향후 다양한 탄소감축 사업 발굴, 탄소기준 마련 등 아시아 자발적 탄소시장 선점의 초석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UAE 투자촉진 포럼' 설립과 UAE 국부펀드(무바달라 등)를 활용한 국내 투자 유치 및 해외 공동투자 확대 등을 통해 국내 그린·디지털·바이오 등 유망 신산업 분야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