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와 실외로봇 키운다…내년 매출 2배 목표"
다이나믹셀-Y에 대한 업계 반응이 뜨겁습니다. 지난해 약 300억 원 가까운 매출을 올렸는데, 내년에는 약 2배인 500~600억 원까지 내다보고 있습니다. LG전자와 실외 자율주행 로봇 납품 협의도 어느 정도 마치고 양산을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는 최근 지디넷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목표를 밝혔다. 로보티즈는 신제품 로봇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Y'와 신사업 실외 자율주행 로봇 '개미'를 앞세워 올해부터 본격 성장 드라이브를 건다. 김 대표는 로봇의 두 가지 핵심 기능으로 '이동(모바일)'과 '팔(매니퓰레이터)'을 꼽았다. 여기에는 주요 부품인 '액추에이터'가 빠질 수 없다. 로보티즈는 지금까지 쌓아온 독자적인 액추에이터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팔 솔루션을 제공하고, 실외 이동로봇의 가능성도 놓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 효자 다이나믹셀 신제품 기대감 '솔솔' 로보티즈의 주요 매출처는 로봇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 시리즈다. 특히 이달 출시한 신제품 '다이나믹셀-Y'는 로보티즈가 야심차게 준비한 고성능 부품이다. 이전 제품과 비교해 실제 산업 현장의 로봇 팔에 더욱 적합하도록 제작됐다. 브레이크와 감속기를 선택하는 등 고객 맞춤 제작도 용이하다. 김 대표는 “다이나믹셀-Y는 각종 로봇 도입 현장에 맞는 핵심 솔루션을 제공한다”며 “중소 분야 생산이나 서비스 업계에 맞는 로봇을 더욱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다이나믹셀-Y 출시에 대한 고민과 기대를 함께 전했다. 오랜만에 출시한 전략적인 제품인 만큼 실수가 용납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먼저 “신제품 출시에 따른 재고나 품질 문제를 신경 써야 한다”며 “특히 제품 신뢰성을 쌓을 수 있도록 긴장감을 갖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김 대표는 “지금 출시 직후인 만큼 보급하는 데까지 조금 시간이 걸리겠지만 업계 반응이 좋은 편”이라며 “올해는 약 20%대 성장, 내년에는 약 500~600억 원 매출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보티즈는 다이나믹셀-Y를 기반으로 직접 로봇 팔도 개발 중이다. 협동로봇 제조사들이 제품화하지 않은 비주류 스펙의 로봇을 사업화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김 대표는 설명했다. ■ 실외 이동로봇 서비스 LG 손잡고 '씽씽' 로보티즈는 최근 2대 주주인 LG전자와 자율주행로봇 '개미' 양산을 위한 협력 구도를 본격화하기도 했다. 양사는 주요 계약은 이미 마친 상태이며, 양산·납품 규격과 인증 등 남아있는 절차 등 논의를 마무리하고 올 하반기부터 납품을 시작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LG전자와 함께 본격적인 실외 자율주행로봇 사업을 도모하기로 했다”며 “개미 양산 시기를 더욱 앞당길 수 있으면 올해 흑자전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보티즈는 지난해 자율주행로봇 '개미'의 신모델을 선보인 바 있다. 특히 실외 이동로봇 개미는 서스펜션 성능을 향상시켜 주행성능을 높이고 이동 효율성을 개선했다. 고도화된 인공지능과 고속 연산처리 기술을 적용해 실외 환경에서 보다 최적화된 경로를 생성한다. 김 대표는 “라스트 마일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애플리케이션은 택배와 음식 배송”이라며 “기능적으로는 실내외 모두 다닐 수 있는 통합 로봇이 필요하다고 보고 개발을 이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특히 실외 이동로봇 가운데 바퀴를 활용한 형태가 먼저 사업성을 지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행형과 비교했을 때 속도나 배터리, 내구성에서 관리 용이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는 “우리가 평소 어떤 수단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보면 알 수 있다”며 “택배와 음식 배송이 앞으로 몇 년 안에 로봇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 "로봇이란, 노동으로부터의 자유" 김 대표가 실외 이동로봇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는 단순했다. 사람 한 명이 해야 할 일을 온전히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부가가치를 수치화해 효능을 입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로봇이 어느 정도의 노동력을 창출하고 사람을 대신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크다. 로봇이 당장 시장에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이런 구체적인 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로봇을 더 저렴하게 만드는 문제가 지금 핵심은 아니다”라며 “장기적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를 봤을 때 노동력 대체를 위한 여러 가지 솔루션을 계속 시도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