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 이식+스마트 안경으로 시력 되찾았다
노인성 황반변성(AMD)으로 시력을 잃었던 수십 명의 환자들이 시력을 되찾아 주목되고 있다고 더버지 등 외신들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과대학의 다니엘 팔랑커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스마트 안경과 함께 망막에 이식된 초소형 무선 칩으로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들의 시력을 부분적으로 개선시켰다고 밝혔다. 노인성 황반변성은 환자의 망막 중심부에 있는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돼 나타나며 회복이 불가능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력을 완전히 잃은 환자 32명 중 27명이 이 기술을 통해 1년 후 십자말 풀이를 풀고 책을 다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을 회복했다. 이번 연구 참가자는 양쪽 눈에 AMD 진단을 받은 시각 장애 수준의 환자들로 구성됐다. 연구진은 2x2㎜ 크기의 초소형 태양광 패널 기반 마이크로칩을 망막 아래에 삽입하고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안경을 환자들에게 착용시켰다. 이 스마트안경은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주변 환경의 확대된 이미지를 망막 이식체로 전송하고, 이 신호는 다시 작은 칩으로 보내져 영상이 선명하게 조정된다. 이렇게 처리된 이미지는 이식된 칩과 시신경을 통해 환자의 뇌로 전달돼 시각을 회복할 수 있다. 단 현재 이 기술은 흑백으로만 볼 수 있다. 연구진은 "인공 시력 역사상 새로운 시대를 의미한다"며 "실명 환자들이 실제 의미 있는 중심 시력 회복을 경험할 수 있게 됐는데 이는 전례 없는 성과"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의학저널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업체 '사이언스 코퍼레이션(Science Corporation)'와 함께 진행됐다. 사이언스 코퍼레이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맥스 호닥은 2016년 일론 머스크와 함께 뉴럴링크를 공동 설립했던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