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집 생겨도 스스로 고치는 車 나온다…현대차·기아, 나노 신기술 대거 공개
대한민국은 자동차 충돌사고에 예민하다. 범퍼가 살짝만 긁혀도 하루종일 기분이 좋지 않다. 전동화 물결에 맞춰 전기차 판매량이 늘었지만,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하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이 같은 운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나섰다. 차에 적용된 셀프 힐링 기술, 고효율 태양전지를 차량 곳곳에 적용하는 기술 등이다. 현대차·기아는 20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나노 테크데이 2023'을 개최하고 미래 모빌리티 나노 신기술을 대거 공개했다. 나노는 크기 단위다.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에 해당한다. 현대차·기아는 이렇게 작은 크기 단위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배열을 제어해 새로운 특성을 가진 소재를 만드는 나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초기 조건의 사소한 변화가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나비 효과에서 착안해 나노 효과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각기 다른 목적과 활용도를 가진 총 6개의 나노 소재 기술을 소개하고 별도의 전시 공간을 마련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6개 기술은 ▲손상 부위를 스스로 치유하는 '셀프 힐링 고분자 코팅' ▲나노 캡슐로 부품 마모를 줄이는 '오일 캡슐 고분자 코팅' ▲자동차·건물 등 투명 성능 요구되는 모든 창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 태양전지'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자랑하는 모빌리티 일체형 '탠덤 태양전지' ▲센서 없이 압력만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파악하는 '압력 감응형 소재' ▲차량 내부의 온도 상승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투명 복사 냉각 필름' 등이다. 이 소재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됐다. 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자 1990년 후반부터는 첨단 소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조직을 갖추고 대규모 투자와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소재가 모빌리티의 출발점으로 봤다. 미래 모빌리티 혁신으로 꼽히는 전동화, 소프트웨어중심차(SDV), 자율주행 등은 원천 기술이 뒷받침돼야 완벽한 구현이 가능하다는 부연이다. 이날 이종수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장 부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기술 혁신의 근간에는 기초이자 산업융합의 핵심 고리인 소재 혁신이 먼저 있었다"며 "앞으로도 산업 변화에 따른 우수한 첨단 소재 기술을 선행적으로 개발해 미래 모빌리티에 적극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소재를 중요시하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소재와 탄소중립이 연관성을 띤다는 것이다. 포드는 나노소재를 사용한 최초 완성차 업체로 알려졌다. 머스탱과 F-150 픽업트럭 곳곳에 나노 소재가 들어갔다. 크라이슬러와 아우디에도 들어갔다. 나노 소재는 경량화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에도 강하고 차체 소음을 감소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미국 소재 전문 매체 아조 머티리얼스(AZo materials)는 “나노 물질은 고급 소재를 대체해서 더 가볍게 사용할 수 있다”며 “차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연료 소비량을 줄이고 결국 환경의식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