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하락, 금융리스크 트리거로 작용하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전방위적으로 퍼지면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물론이고 금융리스크를 촉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도 올해 건설투자 부문의 역성장을 점치며, 부동산 경기 하락이 지속될 경우 경제 성장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점검하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은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국내 건설투자 부문이 전년 대비 0.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0.2% 감소하는 것보다 감소폭이 더 확대된 것이다. 한국은행 김웅 조사국장은 "건설투자 부문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13%를 차지하는데 이를 하향 조정했다"며 "하반기에도 건설 경기가 안좋고 미분양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같은 부동산 가격 조정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청약 경쟁률이 낮아지고, 미분양 건 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사 및 건설사의 자금을 지원한 금융사까지 위험해질 수있기 때문에 금융리스크 가능성도 높아진 상태다. 신규 분양이 차일 피일 미뤄지면서 건설사의 공사 대금 회수가 지연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까지 타격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실제 한국기업평가가 낸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광주·세종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분양 경기가 저조해, 2021년 대비 2022년 월별 미분양 주택 수는 285% 증가했다. 부동산 거래는 거의 마르고 있지만, 건설 원가는 상승해 신규 분양 주택에 대한 가격 조정은 이뤄지지 않는 시점서 이와 관련한 중소 건설사 부도, 건설사의 신용 위험 우려 증대가 커질 수 있다는 예측이다. 한국기업평가 측은 "2023년 2월 대우조선해양건설이 기업 회생 절차를 개시하는 등 비우호적인 산업 여건과 금융시장 내 경색이 장기화될 경우 점차 상위 건설사로 신용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웅 조사국장은 "금융 안정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한국은행은 부동산 가격 측면보다는 증권사나 금융사가 건설사의 보증을 서다보니 이와 관련된 리스크를 보고 있다"며 "소비를 제약하는 등 경제 성장에 미치는 점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미 레고랜드 사태 이후 부동산 PF 경색이 온 바 있으며, 금융감독원도 금융사까지 위험이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동산 PF 사업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기존 리스크 시스템을 고도화해 사업장을 규모 등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고발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