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0.1%p 내린 1.6%"
한국은행이 석 달만에 2023년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모두 0.1%p씩 하향 조정했다. 23일 한국은행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 전망치 1.7%보다 0.1%p 낮은 1.6%, 소비자물가상승률도 0.1%p 낮은 3.5%로 예견한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과 유럽의 연착륙 가능성, 중국의 경기 회복 등 상향조정 요인과 IT 경기부진, 국내 부동산 경기 둔화 등 하향 조정 요인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예측한 올해 경제 전망 부문 중 민간소비가 0.4%p 하향 조정됐다. 11월에 한국은행은 올해 민간소비가 2.7% 증가할 것으로 봤지만, 2.3%로 내려잡은 것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관계자는 "민간소비의 경우 지난해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펜트업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봤으나 4분기 줄어들었고 이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며 "경기 둔화로 인한 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줄어들어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펜트업 효과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억눌려왔던 수요가 팽창하는 효과를 뜻한다. 올 상반기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다가 하반기 중국 및 IT 경기 회복으로 반등한다는 부연이다. 올해 국내경제 성장에는 수출 기여도가 지난해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내수 부문의 기여도는 1.9%, 수출은 0.7%였지만 올해 관측치는 내수 1.3%, 수출은 0.3%다. 통관 수출의 경우 IT, 비IT 부문 모두 단가 하락으로 금년 중 감소한다는 것이다. 올해 상품 수출 증가 전망치는 0.5%로 지난해 3.1%에 비해 크게 하락하고, 상품 수입의 경우에도 올해 증가 전망치는 -0.2%로 지난해 4.6%와 비교해 급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60억달러로 지난해 298억달러 대비 12.8% 가량 줄어들 것으로 관측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올해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해 5.1%보다 상당폭 낮은 3.5%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은 지난 11월 전망치 3.6%를 소폭 하회할 것이며 3월부터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중 5% 내외를 나타내다가 3월에는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상당폭 낮아지겠다"며 "이후에도 수요 압력 약화 등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연말에는 3%대 초반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3.0%로 지난 전망 수준인 2.9%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 둔화가 하방요인으로 작용하지만, 그간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공공요금 등에 점차 반영되고 2차 파급영향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창용 총재는 "금년 중 물가 흐름을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인플레이션 수준은 주요국보다 대체로 낮을 것으로 보이지만, 물가 전망에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인상의 파급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측은 "향후 성장경로 상에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에 대응한 주요국 통화 긴축 강화와 국내 주택시장 부진 심화가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수준인 연 3.5%로 운용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