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뭇잎에서 '금' 나왔다…땅 속 금광 단서 될 수도
가문비나무 잎에서 금 나노 입자가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나무가 자라는 지표면 아래 다량의 금 침전물이 존재한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핀란드 오울루 대학교 생태학자 카이사 레호스마는 "우리 연구 결과는 식물 내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와 미생물들이 나무 속 금 축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미생물군집(Environmental Microbiome)'에 최근 발표됐다. 나무 속 미생물이 '금 축적'에 도움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문비나무 속에는 호르몬 생성과 영양소 흡수 등 여러 기능을 촉진하는 공생 미생물 '내생균(endophyte)'이 있다. 이 미생물은 뿌리를 통해 흡수된 물 속의 용해된 금 입자를 분리해낸다. 이 과정은 생물체가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통해 조직 내 광물 형성을 조절하는 현상인 '생물광물화(biomineralization)의 한 형태다. 연구진은 내생균이 나무 속 금 입자의 독성을 줄이기 위해 이를 농축시켰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핀란드 금광 인근 나무서 금 나노입자 발견 연구진은 유럽 최대 금 생산지 핀란드 북부 키틸래 광산 인근 가문비나무를 조사했다. 총 23그루의 가문비나무에서 138개 침엽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4그루의 침엽에는 금 나노입자가 포함돼 있었다. 이 나노입자들은 세균이 생성한 바이오필름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바이오필름은 세균이 분비한 다당류와 단백질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균이 식물 조직 내부에서 나노입자가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금 포함된 나무일수록 미생물 다양성 낮아” 연구진은 나노입자와 세균 내 바이오필름 사이의 밀접한 결합이 세균이 광물을 분리하는 데 관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금이 포함된 침엽에서는 세균 종의 다양성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식물 조직 내에 금속 농도가 높은 경우, 미생물의 다양성이 감소한다는 이전 연구 결과들과도 일치했다. 물론 가문비나무를 베어 잎에서 금을 추출한다고 해도 큰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잎 속 금 입자의 크기는 고작 100만분의 1밀리미터(나노미터)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무가 금을 흡수한다는 사실은 지표면 아래에 금 매장지를 찾아낸다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레호스마는 "식물 잎에서 이런 박테리아를 찾아내면, 금 탐사가 훨씬 쉬워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