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글로벌 게임·e스포츠 미래 발전 토론회'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452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로크웰 오토메이션, 비용 절감보다 혁신을 우선시하는소비재 업계 조사 결과 발표

연구에 따르면 소비재(CPG) 리더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AI와 인재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 밀워키,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세계 최대의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 기업인 Rockwell Automation, Inc.(NYSE: ROK)는 오늘 제10차 연례 스마트 제조 현황 연구 보고서: 소비재 제품(CPG) 에디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제조업체가 혁신, 인력 개발 및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Research shows CPG leaders are investing in AI and talent to stay competitive CPG 업계는 매장 브랜드의 성장부터 더 빠른 혁신과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에 이르기까지 여러 측면에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동시에 소비자 충성도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맞춤화 및 투명성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CPG 기업은 소규모 기술을 시범 도입하기 보다조직 전체에 측정 가능한 결과를 제공하는 솔루션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력 교육, 데이터 사용 개선, 적응형 시스템의 조합은 이러한 제조업체가 복잡성을 관리하면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브랜드가 확장되고 소비자의 기대치가 진화함에 따라 CPG 리더들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주목할 만한 주요 트렌드: 경쟁 심화로 업계 우려 증가: 2024년 연례 설문조사에서 경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자체 브랜드 제품으로 인한 시장 압박이 커지고 소비자 구매 습관이 변화함에 따라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사람을 위한 기술 요구 사항: 기업은 단순히 새로운 도구를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기술이 팀과 운영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데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제유용성과 확장성은 기술 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CPG 리더가 직원에게 기대하는 역량으로는 커뮤니케이션/팀워크(86%), 적응력/유연성(85%), 분석적 사고와 사이버보안 관행이 공동 1위(84%)를 차지했습니다. AI 및 로보틱스가 투자 우선 순위 주도: 기술 투자 결정의 핵심은 사고의 전환입니다. CPG 제조업체의 70%가 장기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해 AI, 로보틱스, 시뮬레이션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기술이 더 많은 영업 분석과 프로세스 최적화를 지원했던 작년에 비해 변화된 모습입니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기업 증가 의사 결정에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한 제조업체의 수는 2024년 40%에서 2025년 44%로 증가했습니다. 품질 관리, 물류, 사이버보안과 같은 주요 영역의 데이터 활용에서 AI의 역할이 커지면서 전체 평균보다 5%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진화하는 인력 전략 2024년 보고서에서는 숙련된 인력 유치에 중점을 두었지만, 2025년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체의 34%가 업데이트된 프로세스에 대한 현재 직원 교육에 더 집중하고 있으며, 33%는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직원 유지율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글로벌 CPG 산업 부문 부사장 스티브 다이처(Steve Deitzer)는 "CPG 제조업체는 더 이상단순히 혁신에 대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 우위를 제공하는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올해의 보고서는 AI, 자동화, 인력 역량 강화가성공의 중심이 되는 장기적인 관점으로의 전환을 분명히 보여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확장성과 통합은 이제 CPG 리더가 성장에 접근하는 방식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기업들은 기술, 인력, 프로세스를 조정하여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다 민첩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5개국 174명의 CPG 리더의 통찰력을 기반으로 한 2025년 스마트 제조 현황 보고서는 1,500명 이상의 제조 의사 결정권자를 대상으로 한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광범위한 글로벌 연구 이니셔티브의 일환입니다. 보고서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정보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Inc., NYSE: ROK)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입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인간의 상상력과 기술의 잠재력을 연결하여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더욱더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어갑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만 7,000명의 전담 직원이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고객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산업 전반에 걸쳐 어떻게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려면 www.rockwellautomation.com을 방문하십시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1044/Rockwell_Automation_State_of_Smart_Manufacturing_Report.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87262/5461345/Rockwell_Automation_Logo.jpg?p=medium600

2025.08.20 00:10글로벌뉴스

Applied Intuition은 차량용 ADAS를 포함시키며 자율주행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OEM에게 엔드투엔드 화이트박스 자율주행 스택을 제공해 자율주행 기술 도입을 가속화합니다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 는 OEM에게 확장 가능하고 유연하며 컴퓨팅 효율적인 ADAS 플랫폼을 제공해 인간과 유사한 자율주행 경험을 신속히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차량 인텔리전스 분야의 선도 기업인 Applied Intuition, Inc.는 오늘 차량용 차세대 엔드투엔드 화이트박스 자율주행 스택 솔루션의 출시를 발표하며, 자율주행 제품 포트폴리오를 차량으로 확장했습니다. 자동차 제조사 (OEM) 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Applied Intuition의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는 자동차용 고급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AS) 솔루션으로, L2++ 운전자 보조 기능을 고성능 및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며 L3 및 L4 기능으로의 전환 경로를 제공합니다.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를 통해 OEM은 소비자, 규제 기관, 글로벌 경쟁의 급변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확장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 솔루션의 엔드투엔드 아키텍처는 인식, 계획, 제어를 통합된 시스템으로 원활하게 통합하여 안전하고 인간과 유사한 주행 성능을 실현합니다. 화이트박스 솔루션은 안전성 검증과 브랜드별 경험에의 원활한 통합을 위해 시스템의 완전한 투명성을 OEM에 제공합니다. "우리의 비전은 모든 자동차 제조사가 단순히 더 안전하고 더 강력한 차량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차량 인텔리전스가 승자를 결정할 새로운 시대에 진입하는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차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라고 Applied Intuition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Qasar Younis는 말했습니다. "이것은 글로벌 지능형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입니다.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는 OEM에게 완전한 자율주행 스택을 제공하여 그들이 필요로 하는 가시성, 유연성 및 통제권을 부여해 차별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최근 몇 년간 AI 분야의 혁신은 자율주행 기술의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엔드투엔드 아키텍처, 트랜스포머, 데이터 스케일링 법칙 등은 모두 기술적 도약을 이끌어내며, 복잡한 도시 환경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더 강력하고 인간과 유사한 주행 능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한편, 주차, 자동 긴급 제동 (AEB), 고속도로 자율 주행과 같은 기본적인 ADAS 기능은 대중 시장에서는 여전히 필수적이며 높은 안전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중국과 미국의 선도 기업들이 이미 생산 중인 L2++ 수준의 기능을 따라잡는 동시에,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시스템의 안전성, 준수성, 비용 효율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블랙박스 솔루션과 달리 투명성과 맞춤형 설정을 제한하는 것과 달리,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는 OEM이 자율주행 스택에 대한 완전한 통찰력과 통제권을 제공하여 브랜드 맞춤형 자율주행 경험을 라인업 전반에 걸쳐 구축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드웨어 및 센서 독립적인 설계는 OEM이 다양한 센서, 컴퓨팅 플랫폼, ECU를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L2++ ADAS 기능을 위한 단일 통합 플랫폼 생산 후 지속적인 기능 업그레이드를 포함하는 엔드투엔드 개발 및 검증 도구 체인 심층적인 아키텍처 가시성, 맞춤형 설정 가능성, 내부 전문성 구축을 포함한 화이트박스 협업 모델 대량 시장용 센서와 컴퓨팅을 활용한 현실적인 비용 효율성 Applied Intuition의 차량 OS 경험을 활용해 차량 시스템에 쉽게 통합되도록 설계됨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필요로 하는 최신 엔드투엔드 자율주행 기술과 유연성, 투명성을 결합해 자동차 제조사들이 혁신을 가속화하고 더 안전하고 지능적인 차량을 더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라고 Applied Intuition의 공동 창립자이자 CTO인 Peter Ludwig는 말했습니다. "우리는 트럭, 광산 장비, 방위 차량 등에 적용된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이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거의 10년간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합니다. 모든 구성 요소는 안전한 배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 시장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며 미래의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진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 탄생했습니다." Applied Intuition의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 출시는 트럭, 광산, 방위 분야에서의 자율주행 기술 지원 기록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분야들은 신뢰성과 적응성을 요구하며, 이는 해당 기업의 차량 지능 솔루션이 가장 엄격한 산업 분야에서도 내구성과 적응성을 입증합니다. 차량용 SDS (Self-Driving System)는 차세대 지능형 차량을 지원하기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pplied.co/sds에서 확인하세요. Applied Intuition에 대해 Applied Intuition은 안전하고 AI 기반의 기계의 글로벌 채택을 가속화하는 차량 인텔리전스 기업입니다. 2017년에 설립된 Applied Intuition은 고객이 지능형 차량을 개발하고 시장 출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차량 OS, 자율주행 시스템 (SDS), 도구 체인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상위 20개 중 18개사와 국방부 주요 프로그램들이 Applied Intuition의 솔루션을 신뢰하여 차량 지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Applied Intuition은 자동차, 국방, 트럭, 건설, 광업, 농업 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 뷰에 본사를 두고 워싱턴 D.C.,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 플로리다 주 포트 워튼 비치, 미시간 주 앤아버, 런던, 슈투트가르트, 뮌헨, 스톡홀름, 방갈로르, 서울, 도쿄에 지사를 두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ppliedintuition.com에서 확인하세요.

2025.08.19 23:10글로벌뉴스

DXC와 부미,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에이전틱 AI 도입•현대화 가속화

DXC 내 부미 혁신센터(COE),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을 위한 혁신 허브 역할 DXC, 부미와 함께 고객이 AI 에이전트 통합 및 대규모 에이전틱 AI 준비토록 지원 애슈번, 버지니아,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기업인 DXC 테크놀로지(NYSE: DXC)와 AI 기반 자동화 분야의 선두 주자인 부미(Boomi™)가 오늘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양사는 기업이 AI를 활용해 운영을 자동화 및 통합하는 방식을 재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간소화하며, 대규모 '에이전틱 시스템(agentic systems)'의 도입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DXC and Boomi Forge Strategic Partnership to Fast-Track Modernization and Adoption of Agentic AI jwplayer('myplayer1').setup({file: 'https://mma.prnasia.com/media2/2752975/DXC_Technology_Services__LLC_DXC_and_Boomi_Forge_Strategic_Partn.mp4', image: 'https://mma.prnasia.com/media2/2752975/DXC_Technology_Services__LLC_DXC_and_Boomi_Forge_Strategic_Partn.mp4?p=thumbnail', autostart:'false', stretching : 'uniform', width: '512', height: '288'}); T.R. 뉴컴(T.R. Newcomb) DXC 테크놀로지 최고수익책임자(CRO)는 "많은 기업이 단절된 시스템과 기술 부채로 압박을 받고 있으며, 보안•연속성•컴플라이언스를 유지하면서 현대화를 추진해야 하는 막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부미와의 협력을 통해 고객의 전환 속도를 높이고, 매끄러운 통합과 AI 에이전트 관리 역량을 제공함으로써 에이전틱 AI의 성공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스티브 루카스(Steve Lucas) 부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에이전틱 전환은 미래의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의 필수 과제"라며 "부미는 DXC와 함께 고객들이 노후화된 아키텍처를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 인프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는 구축 속도가 빠르고, 관리가 용이하며, 미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기업에게 현대화•자동화•장기적 AI 준비로 가는 직행로를 제공한다"라고 밝혔다. 부미와 DXC, 기업 혁신 가속화 DXC-부미 파트너십은 고객 가치 창출을 위해 다음 세 가지 핵심 영역에 중점을 둔다.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 DXC는 기업이 노후화된 미들웨어를 교체하고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현대적인 클라우드 기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기업 플랫폼과의 공동 시장 진출 계획을 통해 DXC와 파트너사들은 솔루션과 재사용 가능한 자산을 공동 개발하고 고객이 더 쉽고 빠르게 현대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AI 기반 마이그레이션 및 데이터 준비 - 부미의 AI 기반 자동화 플랫폼과 DXC의 풀스택 엔지니어링 역량을 결합해 고객은 주문 관리, 재고, 물류, 재무 등 핵심 시스템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의사 결정을 가속화한다. Boomi Agentstudio를 통한 에이전트 혁신 - 복잡한 IT 시스템 관리 경험이 풍부한 DXC는 Boomi Agentstudio가 핵심 시스템 전반에서 안전하고 지능적으로 작동하고, 모든 AI 에이전트를 대규모로 오케스트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확장 및 우수성 제공을 위한 혁신센터(COE) 출범 양사는 고객 지원과 모범 사례 제공을 위해 DXC 내 전담 부미 혁신센터(Center of Excellence, COE)를 출범한다. 이 센터는 재사용 가능한 자산, 현장 지원, 검증된 구현 패턴을 제공하는 배송 및 혁신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지역과 산업을 아우르는 일관되고 높은 품질의 현대화 경험을 누릴 수 있다. 댄 맥앨리스터(Dan McAllister) 부미 글로벌 얼라이언스 담당 수석부사장은 "부미와 DXC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단순히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 AI 우선 세상에서 기업이 운영되는 방식을 재구상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함께 복잡성을 줄이고 기업의 핵심에 있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자료 DXC 자세히 알아보기 Boomi Enterprise Platform 자세히 알아보기 부미 SNS: X(트위터), 링크드인, 페이스북, 유튜브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 소개 테크놀로지(NYSE: DXC)는 선도적인 글로벌 정보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로,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조직들의 신뢰할 수 있는 운영 파트너로서 산업과 기업을 발전시키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DXC의 엔지니어링, 컨설팅 및 기술 전문가들은 고객이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간소화•최적화•현대화를 추진하고 가장 중요한 워크로드를 관리하고 AI 기반 인텔리전스를 운영에 통합하며 보안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dx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미(Boomi) 소개 AI 기반 자동화 선두주자인 부미는 전 세계 조직이 모든 것을 연결하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며, 성과를 가속화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Boomi Agentstudio를 포함한 Boomi Enterprise Platform은 데이터, API, AI 에이전트 관리와 함께 통합 및 자동화를 포괄적인 단일 솔루션으로 통합한다. 225,000개 이상의 고객사와 800개 이상의 파트너 네트워크의 신뢰를 바탕으로, Boomi는 '에이전틱 전환'을 주도하며 모든 규모의 기업이 대규모로 민첩성, 효율성,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boomi.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25 Boomi, LP. Boomi, 'B' 로고 및 Boomiverse는 Boomi, LP 또는 그 자회사 또는 계열사의 상표다. 모든 권리는 소유자에 귀속된다. 다른 이름이나 마크는 해당 소유자의 상표일 수 있다. 미디어 연락처: 안젤레나 어베이트(Angelena Abate), 미디어 관계; 크리스텐 워커(Kristen Walker), 부미 글로벌 기업 커뮤니케이션, kristen.walker@boomi.com 동영상 - https://mma.prnasia.com/media2/2752975/DXC_Technology_Services__LLC_DXC_and_Boomi_Forge_Strategic_Partn.mp4

2025.08.19 22:10글로벌뉴스

테드코, '2025 기업가 엑스포' 오전 기조연설자로 니콜로 데 마시 발표

아이온큐 CEO, 테드코 CEO 트로이 르마일-스토벌과 대담 컬럼비아, 메릴랜드,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메릴랜드주의 기술 기업을 위한 경제성장 엔진인 테드코(TEDCO)가 다가오는 2025 기업가 엑스포(2025 Entrepreneur Expo)의 오전 기조연설자를 발표했다. 아이온큐(IonQ)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니콜로 데 마시(Niccolo de Masi)가 연설하며, 테드코 CEO 트로이 르마일-스토발(Troy LeMaile-Stovall)과 함께 파이어사이드 토크(fireside chat)를 진행한다. 이 행사에는 메릴랜드대학교 총장 대릴 J. 파인스(Darryll J. Pines)와 테드코 이사회 의장, 엘렌 플라워스-필즈(Ellen Flowers-Fields)의 축사도 예정돼 있다. 행사는 2025년 10월 21일 메릴랜드대학교 호텔에서 열린다. Niccolo de Masi, chairman and CEO of IonQ; TEDCO's CEO, Troy LeMaile-Stovall, University of Maryland's President, Darryll J. Pines, and TEDCO's Board Chair, Ellen Flowers-Fields. 르마일-스토발 테드코 CEO는 "테드코 기업가 엑스포는 메릴랜드의 역동적인 혁신 생태계를 강력하게 보여주는 행사"라며 "비전 있는 창업가, 투자자, 변화를 만들어가는 리더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나누고 협력을 촉진하며 성장을 가속화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양자컴퓨팅의 선두 주자인 아이온큐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 매우 기대된다. 이는 메릴랜드주에서 진행되는 획기적인 연구와 혁신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수상 경력에 빛나는 테드코의 기업가 엑스포는 메릴랜드의 다양한 자원을 한자리에 모아 지역 기업가 정신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행사에는 지역 최고의 기업가, 사업가, 혁신가, 벤처 캐피탈 투자자, 의원 등 1000여 명, 연사 80여 명, 전시업체 80개가 참여한다. 또한 다양한 워크숍과 원탁 토론이 진행되어 기업가들이 영감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메릴랜드의 다양한 자원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행사는 하루 종일 진행되는 양방향 워크숍, 심도 깊은 토론, 신생 기업들의 역동적인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오전 기조연설자들은 초기 단계 스타트업이 메릴랜드를 '양자 컴퓨팅의 수도'로 자리매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할 예정이다. 획기적인 연구부터 민첩한 혁신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신생 기업들은 메릴랜드의 양자 기술 리더십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 혁신적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고 있다. 니콜로 데 마시는 공개 상장 기업 CEO이자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딥테크, 모바일, 기업용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생태계 구축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경영인이다. 현재 아이온큐의 회장 겸 CEO를 맡고 있으며, 2020년 IPO(기업공개) 이후 이사회와 지명, 운영, 감사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데 마시는 그간 약 50건의 인수합병(M&A)을 주도•완료했으며, 자신이 이끌었던 상장•비상장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약 40억 달러 규모의 자본금 조달에도 참여했다. 행사에서는 다양한 학습, 네트워킹, 영감의 기회가 제공된다. 테드코 기업가 엑스포에 참가하려면 사전 등록이 필요하며, 티켓이 한정돼 있으니 지금 바로 예약한다. 테드코(TEDCO) 소개테드코(메릴랜드기술개발공사, Maryland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는 포용적인 기업가적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경제적 역량 강화 성장을 촉진한다. 테드코는 메릴랜드 내 기술 및 생명과학 기반 기업을 발굴, 투자, 육성하며 성장을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www.tedcomd.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연락처: 타미 토마스(TAMMI Thomas), 테드코 최고 개발 및 마케팅 책임자, tthomas@tedcomd.com레이첼 칼니냑(Rachael Kalinyak), 테드코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국장, rkalinyak@tedcomd.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2583/TEDCO_Morning_Keynote_collage.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063398/TEDCO_v1_Logo.jpg?p=medium600

2025.08.19 22:10글로벌뉴스

서부발전, 중소기업 베트남 화력발전 시장 진출 지원

서부발전이 에너지전환에 따른 국내 화력발전 시장 축소에 영향을 받는 협력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해외 발전소 진출을 지원한다. 한국서부발전(대표 이정복)은 지난 11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나흘간 베트남에 '해외시장 개척단'을 파견하고 현지 발전소 설비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발전소 수출 판로 개척 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서부발전은 본격적인 에너지전환으로 국내 석탄 발전 기자재·기술 시장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직접 수출을 돕고 지속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시장개척단에는 서부발전 협력 중소 8개 기업과 KOTRA 하노이 무역관, 현지 기자재 공급 전문기업 등 20여 명이 참여했다. 협력 중소기업으로는 발전설비 열소자·가스켓·커플링 등 핵심 부품 소재를 자체 제조하는 강소기업이 참여해 국내 원천 기술력과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선보여 현지 기업의 관심을 받았다. 시장개척단은 붕앙·응이손 등 석탄화력 발전소 현장을 방문해 설비 담당자들에게 직접 제품 특성과 장점을 설명하고 기술을 홍보했다. 참여기업은 베트남 발전소 기자재 수요에 대해 청취하고 입찰 방법과 규모, 사업자 선정 방식 등 경쟁입찰 진입을 위한 실질적인 참여 정보를 공유해 시장 접근성을 높였다. 또 베트남 에너지산업공사(PVN) 본사를 방문해 산하 발전자회사(PVPGB)의 기술·안전·환경 분야 담당자들과 교류했다. PVPGB는 국내 중소기업의 축적된 경험이 발전 운영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최근 한-베트남 양국의 에너지 분야 협력에 발맞춰 서부발전과의 기술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개척단에 참여한 열소자 제조기업 동원AHE 관계자는 “서부발전과의 협력을 통해 상반기 30만 달러 규모의 첫 수출 계약을 체결했고 이번 방문에서 550만 달러 규모 추가적인 사업 정보도 확인 할 수 있었다”며 “현지 관계자들이 국내 기술력에 큰 관심을 보인 만큼 앞으로 수출의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이번 시장개척단 활동 이후 협력 중소기업의 현지 영업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거점 사무소를 설립할 계획”이라며 “인도네시아·중동 등으로 대상 국가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에너지전환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의 시장 축소 우려를 해외 동반 진출을 통해 함께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8.19 18:23주문정

CCTV+: 중국 저장성의 첨단 농장, 채소 재배부터 수확까지 자동화

베이징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샐러드 접시 위 알록달록한 채소들, 어쩌면 사람의 손길이 전혀 닿지 않은 채 중국 동부 저장성 더칭현의 스마트 농업 시범 단지에서 재배됐을 수도 있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jwplayer('myplayer1').setup({file: 'https://mma.prnasia.com/media2/2753146/VIDEO.mp4', image: 'https://mma.prnasia.com/media2/2753146/VIDEO.mp4?p=medium', autostart:'false', stretching : 'uniform', width: '512', height: '288'}); 최첨단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이 단지는 AI와 사물인터넷(IoT)을 통합해 상추부터 루꼴라까지 모든 작물 생산 단계를 스마트 제어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있다. 후 야오펑(Hu Yaofeng) 저장 후지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Zhejiang Houji Intelligent Technology) 기술 매니저는 "이것은 우리가 자체 개발한 자동 이식기(automatic transplanting machine)로, 모종 이식 과정에서 수작업을 대체하도록 설계됐다"며 "단 40초 만에 30개의 채소 모종을 이식할 수 있어 효율이 70% 이상 향상된다. 자동 운반 라인, 세척기,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과 결합해 완전 무인 운영을 실현했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작물들은 살충제와 중금속 노출 없이 재배되며, 전통적인 노지 재배 대비 수확량이 5~7배 더 높다. "이것은 루콜라 모종이다. 약 15일간 재배하면 이식이 가능하다. 보다시피, 이미 밖에는 이식된 성숙한 참깨 식물도 있다. 이 식물들은 일반적으로 25~30일 후 수확할 수 있고, 수확 후에는 프레시포(Freshippo), 얌! 브랜드(Yum! Brands)와 같은 기업에 판매한다"라고 후 야오펑 매니저는 설명했다. 이렇게 농장에서 소비자까지 기록적인 시간 내에 이르는 첨단 재배 수확물은 중국의 주요 소매업체에 공급되고 있으며, 이는 곧 농업의 미래를 보여준다. 이 사례는 중국의 첨단 기술이 농업 현대화를 어떻게 견인하는지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꼽히며, 그 목표는 더 안전하고 건강한 채소를 식탁에 직접 전달하는 것이다.

2025.08.19 17:10글로벌뉴스

스퀘어드파이낸셜, 고객당 최대 미화 1천 달러 보상을 제공하는 추천 프로그램 공개

빅토리아, 세이셸,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기술 기반 트레이딩 플랫폼인 스퀘어드파이낸셜(SquaredFinancial)이 신규 추천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고객 성장을 가속화하고, 거래량을 늘리며, 글로벌 트레이더 커뮤니티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quaredFinancial unveils referral program 스퀘어드파이낸셜은 첨단 기술과 고객 우선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고객 수익을 늘리고 원활하고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고객 유지율을 달성하고 있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고객은 본인 추천으로 가입한 친구가 프로그램의 인증•입금•거래 요건을 충족할 경우, 최대 1천 달러의 탄력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트레이더들에게 본인 거래 활동과 더불어 수익을 추가로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스퀘어드파이낸셜 추천 프로그램은 상호 이익 구조로 설계됐다. 추천을 통해 가입한 신규 고객은 계좌 개설 및 입금 시 인센티브 보너스를 받으며, 추천인은 노력과 신뢰, 충성도에 대한 보상을 받게 된다. 이미 수천 명의 트레이더가 스퀘어드파이낸셜을 신뢰하고 있다. 친구를 추천함으로써 트레이더는 친구가 시장을 원활하게 탐색하도록 돕는 동시에, 추가 보상으로 자신의 트레이딩 여정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지금 바로 추천하기 스퀘어드파이낸셜(SquaredFinancial) 소개 2005년에 설립된 스퀘어드파이낸셜은 핀테크 및 멀티자산 트레이딩 기업으로, 규제 기반의 기술 중심 투자 솔루션을 제공한다. 회사는 글로벌 고객층을 대상으로 직관적인 투자 플랫폼을 제공하며, 브로커를 위해 전문급 유동성 및 기술 서비스를 지원한다. 스퀘어드파이낸셜은 혁신, 투명성, 장기적 파트너십에 중점을 두고 금융의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52338/SquaredFinancial.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736649/SquaredFinancial_Logo.jpg?p=medium600

2025.08.19 15:10글로벌뉴스

SSSTC, KIOXIA BiCS FLASH™ 8세대 기술과 PCIe® 5.0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산업용 M. 2 SSD 출시

타이베이 2025년 8월 19일 /PRNewswire/ -- 이 보고서는 Fire News에서 나왔습니다: SSSTC는 최신 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제품인 SSSTC CA8 시리즈 PCIe® 5.0 NVMe™ SSD를 출시하였으며, 주류M.2 2280 사양으로 512 GB, 1 TB, 2 TB, 4 TB 등 다양한 용량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KIOXIA 제8세대 BiCS FLASH™ 3D 플래시 메모리 기술과 PCIe Gen5 x4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최초의 산업용 M.2 SSD입니다. SSSTC CA8 시리즈는 KIOXIA BiCS FLASH™ 8세대 3D 플래시 기술과 PCIe Gen5 x4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세계 최초의 산업용 M.2 SSD입니다. 고속 저장 및 엣지 컴퓨팅 개발을 위한 첫 번째 선택입니다. 이미지는 SSSTC에서 제공합니다. SSSTC CA8 시리즈 SSD는 PCIe® 5.0 및 NVMe™2.0 기술을 사용하여 채널당 최대 32GT/s의 전송 속도로 초고속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여 PCIe®4.0 인터페이스의 처리량을 두 배로 증가시킵니다. SSSTC CA8 시리즈는 SLC 캐시를 통해 최대 14,000MB/s의 순차적 읽기 속도와 최대 12,000MB/s의 쓰기 속도, 최대 2,000K IOPS(읽기) 및 1,600K IOPS(쓰기)의 무작위 성능을 실현하여 시장에서 가장 빠른 산업용 SSD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KIOXIA BiCS FLASH™ 8 세대 3D 플래시 메모리는 218개의 레이어와 CMOS를 직접 어레이에 결합(CBA) 웨이퍼 본딩 기술을 핵심으로 하며, 쓰기 성능을 20% 향상시키고, 읽기 지연 시간을 10% 이상 줄이며, 전력 소비를 최대 30%까지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향상된 기능 덕분에 SSSTC CA8 시리즈는 데이터 집약적인 엣지 컴퓨팅과 고성능 산업 워크로드를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고효율 외에도 SSSTC CA8 시리즈는 내구성과 호환성을 강화하여 평균 무고장 시간(MTBF)이 300만 시간을 초과하며, 높은 내구성, 최대 5~10년의 공급 주기 및 0°C에서 85°C까지의 광범위한 작동 온도 범위를 갖추고 있어 장시간, 고부하 산업 응용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킵니다. AIoT, 자동화, 네트워크 연결, 차량 탑재, 서버 등 고속 전송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 제어 응용 분야에 적합하며, 엣지 AI 인공지능 응용을 더욱 촉진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전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SSSTC CA8 시리즈는 데이터 전송 및 파일 보안을 위해 효율적인 ECC 오류 수정 메커니즘을 탑재하고 전원 끄기 알림 기능(Power Loss Notification, PLN)을 지원하여 시스템 전원 끄기 직전에 전원 끄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내부 데이터 보호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갑작스러운 셧다운이 데이터 무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동시에 SSSTC CA8는 AES-256 암호화, TCG Opal 등 고급 보안 옵션을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보안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KIOXIA의 자회사인 SSSTC는 오랫동안 전 세계 고객에게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기업용 및 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디스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SSSTC CA8 시리즈는 2025년 4분기에 정식으로 양산될 예정입니다. 더 많은 제품 정보는 SSSTC 공식 웹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ABOUT SSSTC건흥 스토리지 테크놀로지(Solid State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SSTC)는 글로벌 스토리지 선두 브랜드인 카이샤(KIOXIA)의 자회사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제품의 연구 개발, 생산 및 판매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SSSTC는 자체 연구 개발 능력과 KIOXIA 플래시 기술을 결합하여 전 세계 고객에게 높은 안정성과 고품질의 산업용 SSD와 엔터프라이즈급 SSD를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상표 설명: NVMe는 미국 및 기타 국가에서 NVM Express,Inc.의 등록 또는 미등록 상표입니다. PCIe는 PCI-SIG의 등록 상표입니다. 다른 회사 이름, 제품 이름 및 서비스 이름은 제3자 회사의 상표일 수 있습니다

2025.08.19 12:10글로벌뉴스

남부발전, AI 전환 가속…국정기조 이행 위한 전사 혁신경영 박차

한국남부발전(대표 김준동)은 인공지능(AI) 기반 전사적 업무혁신을 가속하고, 국정과제 이행과 현안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8일 부산 본사에서 '2025년 8월 KOSPO 미래전략해커톤'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CEO를 비롯한 모든 경영진과 조직장이 참석한 이날 해커톤은 ▲안전 및 재난관리 ▲사이버보안 동향 ▲국정과제 BP 조기 발굴 ▲AI 기반 업무혁신 방안 ▲해외 출자회사 경영현안 등 5가지 핵심 주제를 다뤘다. 정부 정책 방향과 연계된 전략과제를 발굴하고 실행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최근 안전·재난 동향을 공유하며 안전 수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또 우수한 혁신 성과를 낸 직원을 격려하는 '이달의 Energy Dreamer' 선정도 함께 진행하며, 선정된 직원들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경영진과 함께 격려하는 자리도 마련했다. 남부발전은 지난 6월, 새 정부 출범에 발맞춰 CEO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정과제 추진 TF'를 구성하고 에너지 전환·신기술 AI 등 4개 분과별로 핵심 과제를 발굴해 왔다. 이날 해커톤에서는 지난 13일 정부에서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국민보고대회'의 주요 기조와 방향을 반영, '에너지 전환과 고령사회 극복을 위한 미래전환 EZ Academy 및 임금피크 이어드림 프로그램' 'K-Energy Team 결성을 통한 해외시장 K-Energy 컨텐츠 수출 확대' 등을 발표했다. 이날 해커톤에서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플랫폼 'KEMI'를 활용한 업무 혁신 방안을 구체화해 주목받았다. 남부발전은 '더 스마트한 조직! KOSPO, the Smarter'라는 슬로건 아래 AI를 전 부서 업무에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한 '1부서 1 AI 과제 발굴' → '핵심과제 선정' → 'AI 성과경진대회 등을 통한 대내외 확산'이라는 3단계 추진 프로세스로 AI를 활용한 현업 생산성을 향상해 나갈 계획이다. 김준동 남부발전 사장은 “AI, 안전, 수출·경제 활성화는 현재 공공기관에 던져진 가장 중요한 화두”라며 “AI를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중대재해 없는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전사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8.19 09:46주문정

日서도 '더현대' 만난다…현대百, 도쿄에 '더현대 글로벌' 리테일숍 연다

현대백화점이 다음 달 일본 도쿄에서 '더현대 글로벌' 정규 리테일숍을 선보인다. 국내 백화점이 일본에서 K브랜드를 순차적으로 소개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한 적은 있지만, 정규 매장을 오픈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백화점은 다음 달 19일 일본 도쿄에 위치한 쇼핑몰 파르코 시부야점 4층에 더현대 글로벌 리테일숍이 입점해 운영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일본 1호 더현대 글로벌 정규 매장은 1~2개월 단위로 브랜드가 바뀌는 로테이션 운영 방식이 특징이다. 첫 브랜드는 신진 컨템포러리 브랜드이자 K팝 아이돌 가수들이 착용해 유명세를 탄 트리밍버드다. 오는 10월 16일까지 트리밍버드 매장으로 꾸며지며 일본 MZ세대 취향을 반영한 빈티지 스타일의 와이드 팬츠 등 대표 상품을 소개한다. 이번 더현대 글로벌 리테일숍은 정규 매장이라는 점에서 기존 팝업스토어 형태보다 입지 전략과 운영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한 모델이다. 자체 유통망을 구축함에 따라 안정적인 유통 기반 확보와 장기적인 브랜드 이미지 구축 측면에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현대백화점은 지난 5월 일본 패션 온라인몰이 주력 사업인 스타트업 메디쿼터스에 30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메디쿼터스는 2020년부터 일본에서 온라인 패션몰 '누구(NUGU)'를 운영하고 있으며, 유명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마케팅에 강점을 보이며 현재 가입자 수 100만명 이상을 확보했다. 메디쿼터스는 현지 리테일 네트워크와 수출입 및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더현대 글로벌 리테일숍 오픈을 위한 키 테넌트(key tenant) 공간 확보, 매장 운영, 현지 MZ세대와의 디지털 접점을 활용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 등을 지원하게 된다. 현대백화점은 도쿄를 시작으로 향후 5년간 일본에서 총 5개 리테일숍을 개점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중에는 도쿄의 대표 번화가이자 J패션 트렌드의 상징인 오모테산도 쇼핑 거리에 약 660㎡(200평) 규모의 대형 플래그십 스토어를 연다. 해당 매장에는 10여개의 K브랜드가 들어선다. 더 많은 K브랜드의 일본 진출을 돕기 위해 이르면 연내 누구(NUGU) 온라인몰 안에 더현대 글로벌관(가칭)도 선보인다. 현대백화점이 일본 오프라인 리테일에 더현대 글로벌 매장을 여는 건 글로벌 사업확장 및 사업모델 고도화 전략의 일환이다. 일본 사업 확대를 기반으로 대만과 홍콩 등으로 해외 확장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대만에서는 현지 리테일 기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오는 10월부터 12월까지 K브랜드를 대거 소개하는 더현대 글로벌 팝업스토어를 운영할 예정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이번 더현대 글로벌 리테일숍 오픈은 다양한 K브랜드가 해외에서 인정받고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이자, 한국 백화점이 주도적으로 K브랜드의 글로벌 유통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19 08:51김민아

세계 청소년 포럼, 홍콩과 마카오에서 양대 서밋 폐막: 글로벌 청소년들, AI 시대 현안 탐구

홍콩 및 마카오 2025년 8월 18일 /PRNewswire/ -- 세계 청소년 포럼(World Youth Forum, WYF)이 8월 5일부터 16일까지 중국 홍콩에서 2025 미래 경제 리더십 서밋(Future Economics Leadership Summit, WYF-FELS)을, 중국 마카오에서 미래 인문 리더십 서밋(Future Liberal Arts Leadership Summit, WYF-FLALS)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다양한 분야의 최고 파트너들이 다자간 협력을 통해 공동 창설한 세계 청소년 포럼은 도전 기반 학습과 성장을 위한 글로벌 청소년 플랫폼이다. 이번 포럼은 중국, 인도, 싱가포르, 한국, 미국 등 15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약 1000명의 청년이 모여 AI 시대의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화 간 협력에 나섰다. WYF의 두 서밋은 각각 '로봇화'와 '기술 및 인문학'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특히, 전국경제경시대회(National Economics Challenge, NEC), 비즈니스 프로페셔널 오브 아메리카(Business Professionals of America, BPA), 국제 아카데믹 데카슬론(International Academic Decathlon, IAD), 글로벌 청년 크리에이티브 엑스포(Hi World) 등 주요 학문적 도전 과제를 통합해, 학문적 탐구에서 실천적 구현까지 이어지는 종합적인 학습•성장 체계를 구축했다. 그 중 ' U20-유스 보이스(U20-Youth Voice)' 세션은 중국-인도, 미국-한국 등 다국적 팀으로 구성됐다. 이들이 '지속 가능한 발전', '기술 및 사회적 형평성'과 같은 문제에 대해 제시한 혁신적인 솔루션은 전문가들로부터 '청년 세대만의 획기적인 관점'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동시에 열린 '교육자 세미나(Educators' Seminar)'에서는 미국, 한국, 인도 등지의 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시대 청소년의 핵심역량 육성 방침을 공동으로 모색하고 글로벌 교육 부문의 협력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했다. 휴스턴 허우(Houston Hou) WYF의 집행위원은 "WYF의 핵심 목표는 젊은이들에게 진정한 글로벌 무대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2030년까지 파트너 네트워크를 100개국 이상으로 확장하고, 특히 신흥 경제국 및 혁신 국가를 포함한 더 많은 국가의 다양한 리소스를 끌어모아 분야 간 협력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도전적이고 성장 지향적인 청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8.18 18:10글로벌뉴스

[종합] 상반기 韓 중견·중소 SW 기업 '성장세'…AI·신사업 중심 전략 본격화

국내 주요 소프트웨어(SW) 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전반적으로 실적 성장세를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갔다. 인공지능(AI)·클라우드 전환·글로벌 사업 확장 등 신기술 전략이 실적 개선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글과컴퓨터는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1천473억원, 영업이익 24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늘었지만 계열사 부진으로 영업이익은 5.7% 줄었다. 다만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919억원, 영업이익 343억원을 달성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한컴은 공공·교육 AI 시장에서 다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입증 중이며 일본 금융권 및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하반기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존비즈온은 상반기 매출 2천44억원, 영업이익 46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4%, 43.6% 증가한 수치다. 특히 기업용 AI 서비스 '원 AI'가 출시 1년 만에 4천400개 이상 기업과 계약을 체결하며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2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 1천59억원, 영업이익 252억원을 달성해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 더존비즈온은 하반기 일본 현지 법인 및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해외 사업 확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또 다른 전사적자원관리(ERP) 전문기업인 영림원소프트랩은 상반기 매출 357억원, 영업이익 1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세다. 특히 구축형 ERP 매출이 43.3%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인도네시아와 일본 법인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글로벌 ERP 시장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중견 시스템 통합(SI) 기업 에스넷시스템은 상반기 매출 1천713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해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제조·커머셜 분야의 안정적 사업 운영과 관계사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에스넷시스템은 하반기 네트워크 통합(NI) 사업 강화와 함께 AI 기술 투자 및 인재 육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폴라리스오피스는 상반기 매출 1천542억원, 영업이익 5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7% 줄었다. 회사는 최근 협업 SW 기업 핸디소프트 지분 36.8%를 인수하며 공공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자체 AI·클라우드 기술과 공공 고객 네트워크를 결합해 디지털 전환(DX)과 AI 전환(AX)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공급망관리(SCM) 전문기업 엠로는 상반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400억원을 돌파하며 426억8천만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1억2천만원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북미·유럽 시장에서 글로벌 공급업체 관계관리(SRM)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케이던시아'를 공급하며 해외 매출도 가시화됐다. 하반기에는 AI·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국내외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예정이다. 핀테크·전자금융 서비스 기업 웹케시는 상반기 매출 378억원, 영업이익 6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 이상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회사는 AI 인프라 확충에 따른 투자 비용 증가가 단기 수익성에 부담을 줬다고 설명했다. 대신 올해를 기점으로 전사 솔루션을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하반기에는 AI 뱅킹과 경영정보시스템(MIS) 사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 회복에 주력할 방침이다. 웹케시 계열사 쿠콘은 상반기 매출 340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4.9%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데이터·페이먼트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이 주효했다. 하반기에는 유니온페이·위챗페이 등 글로벌 결제 서비스 연동과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사업 진출을 준비 중이다. 쿠콘은 싱가포르·일본·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핀테크 허브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국내 SW 업계는 하반기에도 AI·클라우드 기반 신사업 강화와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서며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단순 시스템 구축을 넘어 AI 기반 데이터 분석, 자동화 솔루션,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주요 SW 기업들이 상반기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앞세워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통상 하반기에 실적이 개선되는 업계 특성을 고려할 때, 이들 기업은 해외 시장 공략과 AI 신사업 확대를 통해 추가 성장세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18 17:52한정호

다나클라우드, KT 손잡고 韓 엣지 데이터센터 시장 '상륙'

글로벌 엣지 데이터센터 시장을 선도하는 다나클라우드가 KT와 손잡고 한국 시장에 본격 상륙했다. 다나클라우드는 자사의 서비스형 인프라(lssS) 사업부 다나IX가 KT와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다나클라우드는 유럽·아시아·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모듈형 데이터센터 설계와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전문 기업이다. 클라우드·코로케이션·엣지 컴퓨팅 분야 등에서 효율적이고 신속한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나클라우드와 KT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양사의 인프라와 기술력을 융합해 엣지 데이터센터 구축과 고도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을 본격화한다. 먼저 양사는 KT IDC 강남센터에 인프라 기반 IaaS 솔루션을 구축했다. 해당 IaaS 솔루션은 폭발적인 수요 증가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 가능하며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시스템 통합(SI) 사업자, 관리형 서비스 제공업체(MSP), IT 인프라의 외주화·최적화를 원하는 엔터프라이즈 고객 등 다양한 수요에 최적화돼 있다. 또 다나클라우드는 이번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국내 엣지 데이터센터 사업을 확대하고 중동·아프리카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모하마드 바하에딘 다나클라우드 대표는 "KT가 우리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모듈형 인프라 설계 역량을 높이 평가해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됐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 엣지 데이터 시장에서 기술력을 처음 선보이는 만큼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T 강남법인고객본부 정훈규 상무는 "다나클라우드의 풍부한 글로벌 경험과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국내 기업 고객에게 보다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8.18 16:43한정호

쿠콘, 2Q 영업이익 6.3%↑…데이터·페이 균형 성장에 신사업 '가속'

쿠콘이 데이터·페이먼트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세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낸다. 올해 하반기에는 스테이블코인 등 신사업 투자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쿠콘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공시하며 매출 167억3천만원, 영업이익 46억6천만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 감소, 6.3%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소폭 감소한 340억4천만원을 기록, 영업이익은 14.9% 증가한 90억5천만원을 달성했다. 수익성 높은 서비스 중심의 매출 성장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이는 대규모 일회성 프로젝트를 지양하고 수수료 매출 중심의 안정적인 사업 구조로의 전환 덕분인 것으로 평가된다. 2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데이터 사업 85억1천만원, 페이먼트 사업 82억2천만원으로 두 사업 간 균형 잡힌 성장세를 보였다. 카드사·빅테크 등 대형 고객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서류 제출 API, 소유자 검증 차량 정보 조회 API, 컴플라이언스 서비스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신규 API 영업 확대를 통한 수수료 매출 실적도 증가했다. 특히 SK텔레콤 유심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이슈가 발생하면서 간편 인증 API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한 점도 성장에 기여했다. 글로벌 페이 서비스는 올해 이달 말부터 유니온페이, 다음 달 위챗페이 오픈을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리퀴드 등 글로벌 페이사와 제휴해 해외 관광객이 국내 가맹점에서 기존 페이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일본·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핀테크 허브 시장 선점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속화한다. 쿠콘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11월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 참가해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분야의 파트너사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할 예정이다. 아시아 핀테크 허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글로벌 결제·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핵심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업체와 다양한 협업을 검토하고 있다. 쿠콘이 가진 결제 인프라에 스테이블코인을 반영해 외국인의 국내 소비를 간편하게 지원하고 관련 법·제도가 마련되면 글로벌 결제 유통망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수익성과 수요가 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주력해 영업이익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며 "업권별 다양한 데이터 API 수요에 맞춰 신규 상품 출시,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유통 인프라 구축 등 신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8.18 15:10한정호

알리익스프레스, 만능 알리 '취향大전' 100개 국내외 브랜드 총출동

- 6개 주요 카테고리 국내외 인기 브랜드 대거 참여, 신규 고객 대상 '천원딜' 진행- 전자, 스포츠•레저, 홈•오토, 반려동물, 여행까지 아우르는 '만능 알리' 서울, 한국 2025년 8월 18일 /PRNewswire/ -- 알리익스프레스가 8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취향大전'을 열고, 100여 개 국내외 브랜드와 함께 최대 80%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번 '취향大전'은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모션으로, 행사 기간에는 ▲트래블 데이(Travel Day), ▲하비 데이(Hobby Day), ▲트렌디 데이(Trendy Day), ▲홈 데이(Home Day) 등 테마별 프로모션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여행, 취미, 뷰티, 리빙 등 각 분야별 특화 상품과 혜택이 제공된다. 총 100여 개 국내외 인기 브랜드가 참여해 전자제품, 스포츠•레저, 반려동물용품, 홈•오토 등 6개 주요 카테고리에 걸쳐 폭넓은 상품 구성을 자랑한다. 주요 혜택으로는 ▲전 품목 최대 80% 할인, ▲신규 고객 대상 '천원딜', ▲신제품 및 인기 품목 플래시 세일(최대 50%), ▲타임딜 등이 마련됐다. 글라스락 밀폐용기 세트, 코베아 캠핑용품, 르까프 스포츠 패션 아이템, 볼빅 골프공 등 인기 상품을 특별가에 선보인다. 이와 함께, AliExpress Travel(알리익스프레스 트래블)은 8월 13일부터 '100원 럭키박스'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10월과 12월 연휴에 국내외 여행을 계획하는 고객에게 최대 200만 원, 최소 7만5천 원 상당의 항공권•호텔•입장권 할인쿠폰과 1+1 쿠폰 혜택을 제공해 쇼핑과 여행에 즐거움을 더하고 있다. 앱 검색창에 '럭키박스'를 검색해 이벤트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 관계자는 "이번 취향大전 프로모션은 고객들이 자신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와 협력해 개인 맞춤형 쇼핑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알리익스프레스는 항공권•호텔•관광지 입장권 등 여행 상품을 비롯해 다양한 고품질 제품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쇼핑 환경에서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며, 고객의 취향과 현대적 라이프스타일에 부합하는 맞춤형 경험을 지속적으로 선사하고 있다. # # #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www.AliExpress.com)는 2010년 창립되었으며 전 세계 20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향상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어를 포함해 총 16개 언어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알리익스프레스는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디지털 커머스 그룹에 속해 있다.

2025.08.18 14:10글로벌뉴스

한컴위드, 반기 사상 최대 실적…'금 기반 디지털 금융'이 견인

한컴위드가 올해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디지털 금융과 미래 기술 중심의 다각화 전략을 가속화한다. 한컴위드는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3천466억원, 영업이익 25억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64.6% 성장하고, 영업이익은 749.9% 급증하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2분기 역시 매출 1천869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0.4% 성장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번 호실적은 자회사 '한컴금거래소'의 성장이 견인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실물 금 거래 수요가 급증했다. 한컴금거래소는 금값 상승과 맞물려 판매 이익을 늘리며 한컴위드의 전체 실적을 이끌었다. 한컴위드는 한컴금거래소와의 시너지를 통해 디지털 금융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관계사 아로와나허브와 함께 금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실물연계자산(RWA) 사업에도 진출했다. 한컴위드는 하반기 자체 플랫폼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부터 다양한 금융 서비스까지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RWA 시장을 선점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또 한컴위드는 한컴그룹의 실질적 지주사로서 그룹 전체의 성장을 이끄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연이어 한글과컴퓨터(한컴)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며 지분을 26.73%까지 끌어올렸으며 이를 통해 그룹 전반에 대한 지배력을 한층 강화했다. 한컴위드의 주도 아래 한컴그룹은 인공지능(AI)·데이터·국방 등 미래 핵심 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컴은 정부의 데이터 주권 확보 정책에 발맞춘 소버린 AI의 핵심 주자로 부상 중이며 한국의 팔란티어를 목표로 하는 한컴인스페이스는 최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했다. 이와 함께 한컴라이프케어는 국방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한컴위드는 양자내성암호(PQC)·AI 등 차세대 보안 기술 확보 및 사업화에 집중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비검증대상 알고리즘에 NIST 표준 PQC 알고리즘을 포함한 암호모듈 검증(KCMVP)을 획득하며 양자컴퓨팅 시대에 대비한 보안 기술력을 입증하기도 했다. 또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의 '글로벌 방위산업 강소기업 육성사업' 과제 수주를 통해 공공 안전 및 국방 보안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는 등 차별화된 기술력과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 보안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한컴위드 관계자는 "하반기 실물연계자산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양자보안 등 차세대 보안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이를 통해 디지털 금융과 보안의 영역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립하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2025.08.18 14:04한정호

아이티센글로벌, 상반기 매출 2.9조 역대 최대…웹3·IT서비스 성장 동반 견인

아이티센글로벌(대표 강진모)이 웹3와 IT서비스 부문의 고른 성장세에 힘입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글로벌 실물자산(RWA)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이티센글로벌은 2025년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2조9찬33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며 사상 최대 반기 실적을 올렸다고 18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554억원으로 178% 급증했고 당기순이익도 434억원으로 207% 성장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303억원, 영업이익 26억원, 당기순이익 1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번 호실적은 한국금거래소와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등 웹3 계열사와 아이티센엔텍 등 IT서비스 부문 자회사의 동반 성장이 이끌었다. 회사 측은 웹3 사업을 그룹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규정하고, 디지털 금과 스테이블코인을 축으로 한 디지털자산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는 하나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잠자던 금 800톤(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추산, 약 120조원 규모)을 실물 신탁상품으로 전환, 수익화하는 모델을 선보였다. 단순 보관이 아닌 보관료 없는 안전한 관리와 수익 창출이 가능한 혁신적 금융 상품이라는 평가다. 디지털 금 서비스 '센골드'는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비단(BDAN)'으로 이관돼 유통 시너지를 강화했으며 금 토큰과 스테이블코인의 생활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PoC(개념 검증)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케이지엘디(KGLD), 씨이엔지(CENG), 케이알더블유지씨(KRWgc), 유에스지씨(USDgc) 등 관련 토큰 상표 출원도 마쳤다. 아이티센글로벌은 RWA 토큰화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RWA는 금, 부동산, 주식 등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하는 개념으로,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도 여기에 포함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글로벌 RWA 토큰화 시장이 2030년까지 9.4조 달러(약 1경3,0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그룹은 역할을 분담해 생태계를 구축했다. 아이티센글로벌은 파트너십 및 규제 대응을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은 자산운용을 크레더는 플랫폼 기술을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는 유통을 담당한다. 또한 오픈블록체인협회(OBDIA) 스테이블코인 분과 부회장사로서 국내 시중은행과 공동 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일본토큰증권협회와 JPYC 등과도 협력 관계를 맺어 일본 내 STO·스테이블코인 사업까지 확장하고 있다. 강진모 아이티센그룹 회장은 "전략 사업인 웹3와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IT서비스 부문 덕분에 상반기에도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며 "하반기에는 구체화된 웹3 사업 모델을 통해 그룹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글로벌 RWA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지겠다"고 말했다.

2025.08.18 13:38남혁우

모토로라솔루션, 실버스 테크놀로지스 홀딩스 (Silvus Technologies Holdings) 인수 완료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기술 리더십 확보 및 드론•무인 시스템용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급성장 시장에 사업 영역 확장 시카고, 2025년 8월 18일 /PRNewswire/ -- 모토로라솔루션(NYSE: MSI)은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미션 크리티컬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실버스 테크놀로지스 홀딩스(Silvus Technologies Holdings Inc.) 인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실버스의 MANET 기술은 가장 까다롭고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도 최전선 작전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고정 인프라 없이도 고도로 안전한 데이터, 영상,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실버스 장비들은 메쉬(mesh) 형태로 연결되어 대규모 확장이 가능하고, 자가 복구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지속적인 이동 상황에도 유연하게 적응한다. 이 강력한 모바일 네트워크는 사람, 장비, 기타 노드를 장거리 및 대규모로 연결하며, 영상•센서•드론 등 대역폭 집약적인 기술도 원활하게 지원한다. 모토로라솔루션의 회장 겸 CEO인 그렉 브라운(Greg Brown)은 "실버스의 드론 및 무인 시스템용 첨단 솔루션은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국방 환경에서 신뢰받고 있으며, 국경 보안과 공공안전에 중요한 활용 사례를 제공한다"며 "이들의 기술력은 당사의 육상 무선통신 및 영상 기술과 훌륭하게 결합되어 전 세계 더 많은 고객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드론, 차량, 로봇 등 자율 기술은 병력과 잠재적 위협간의 거리를 확보해 안전성을 높이는 데 점차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실버스의 기술은 매우 적은 지연 시간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 군인들의 생명을 구하고, 보다 나은 전술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실버스는 전 세계 방위 기관, 자율 시스템 제조사, 정보기관, 법 집행 기관, 기업 등 다양한 고객층을 보유하고 있다. 모토로라솔루션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정부 및 공공안전 분야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를 기반으로 실버스의 시장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인더스트리 기술 기업인 TJC 사의 파트너 겸 책임자인 에릭 파간(Erik Fagan)은 "바박(Babak)과 실버스 팀과의 협력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이 진정 혁신적인 통신 기술을 만들어냈음을 직접 경험했다"며 "중요한 수요를 충족하는 뛰어난 회사를 구축했으며, 안전•보안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모토로라솔루션과 함께 더욱 큰 성공을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실버스 테크놀로지의 CEO인 바박 다네스라드(Babak Daneshrad) 박사는 "당사는 모토로라솔루션의 리더십을 항상 존중해왔다"며 "양사는 모두 세상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혁신기술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첨단 엔지니어링팀의 역량을 결합해 전 세계 더 많은 고객에게 더욱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모토로라솔루션과 함께할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인수와 관련한 추가 정보는 8월 7일 오후 4시(중부 표준시,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5시), 재무분석가 대상 모토로라솔루션의 분기별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공되었다. 해당 컨퍼런스 콜은 웹캐스트로 생중계되었으며, 다시보기는 www.motorolasolutions.com/investo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키트에서 비디오와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세요. Transaction Terms Under the terms of the purchase agreement, the consideration for the Silvus acquisition includes $4.4 billion in upfront consideration, comprising approximately $4.38 billion in cash (subject to customary adjustments) and approximately $20 million in restricted stock to certain employee equity holders. The terms of the purchase agreement also include the ability to earn earnout consideration of up to $600 million in the aggregate based on business performance over consecutive twelve-month periods ending in 2027 and 2028. About Motorola Solutions | Solving for safer Safety and security are at the heart of everything we do at Motorola Solutions. We build and connect technologies to help protect people, property and places. Our solutions foster the collaboration that's critical for safer communities, safer schools, safer hospitals, safer businesses, and ultimately, safer nations. Learn more about our commitment to innovating for a safer future for us all at www.motorolasolutions.com. About TJC TJC, formerly known as The Jordan Company, has worked for more than 40 years with CEOs, founders and entrepreneurs across a range of industries including Consumer & Healthcare, Diversified Industrials, Industrial Technology, Aerospace & Defense, Logistics & Supply Chain and Technology & Infrastructure. With $32.0 billion of assets under management as of March 31, 2025, TJC is managed by a senior leadership team that has invested together for over 23 years on over 85 investments. TJC has offices in New York, Chicago, Miami and Stamfor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www.tjclp.com. Motorola Solutions Forward-Looking Statements This press release contains "forward-looking statements" within the meaning of applicable federal securities law. These statements are made pursuant to the safe harbor provisions of the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95 and generally include words such as "believes," "expects," "intends," "anticipates," "estimates" and similar expressions. Motorola Solutions can give no assurance that any actual or future results or events discussed in these statements will be achieved. Any forward-looking statements represent Motorola Solutions' views only as of today and should not be relied upon as representing Motorola Solutions' views as of any subsequent date. Readers are cautioned that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are subject to a variety of risks and uncertainties that could cause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e statements contained in this release.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xpected benefits of the transaction to Motorola Solutions and the Silvus business, the ability to expand the reach of Silvus' offerings, and our ability to integrate and combine the two companies. Motorola Solutions cautions the reader that the risks and uncertainties, including those in Part I Item 1A of Motorola Solutions' 2024 Annual Report on Form 10-K and in its other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filings, which are available for free on the SEC's website at www.sec.gov and on Motorola Solutions' website at www.motorolasolutions.com/investors, could cause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ose estimated or predicted in the forward-looking statements. Many of these risks and uncertainties cannot be controlled by Motorola Solutions and factors that may impact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otorola Solutions' ability to successfully integrate and operate Silvus and realize the anticipated benefits of the acquisition. Motorola Solutions undertakes no obligation to publicly update any forward-looking statement or risk factor, whether as a result of new information, future events or otherwise. 미디어 문의 Damien Batey Motorola Solutions damien.batey@motorolasolutions.com +61 428 036 806 IR 문의Tim YocumMotorola Solutionstim.yocum@motorolasolutions.com +1 847-576-6899

2025.08.18 13:10글로벌뉴스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세계 최초 글로벌 무역 AI 에이전트 출시

B2B 검색엔진 '악시오', 출시 9개월 만에 사용자 200만 명 돌파 서울, 한국 2025년 8월 18일 /PRNewswire/ -- 알리바바 인터내셔널(Alibaba International)이 자사 B2B 검색엔진 '악시오(Accio)'의 차세대 버전을 통해 세계 최초 글로벌 무역 AI 에이전트 '악시오 에이전트(Accio Agent)'를 공개했다. 이번 출시로 악시오는 출시 9개월 만에 200만 명의 사용자를 돌파한 AI 기반 소싱 도구에서 완전 자율형 '에이전트형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세계 최초 글로벌 무역 AI 에이전트 '악시오 에이전트(Accio Agent)' 공개 알리바바 인터내셔널이 최근 전 세계 제품 중심 기업가(product-focused entrepreneurs)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중소기업(SME) 가운데 40%는 시간, 자원 및 인력 제약이 큰 1인 기업가가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시오 에이전트는 기존에 팀 간 협업으로 며칠씩 소요되던 업무를 하나의 자동화 워크플로우로 압축해 수 분 만에 처리하여, 이들의 업무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무역 워크플로우 혁신 악시오 에이전트는 제품 기획, 시제품 제작, 규제 검토, 공급업체 발굴 등 기존에 수동으로 진행되던 분산된 과정을 하나의 AI 기반 사이클로 통합 처리함으로써 국제 무역 업무의 약 70%를 자동화한다. 사용자가 제품 콘셉트를 입력하면 시스템이 즉시 시장 분석, 규제 가이드라인, 설계 사양이 포함된 맞춤형 개발 계획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이를 승인하면, 악시오 에이전트가 실시간 공급업체 검증과 대량 견적 요청(RFQ), 비교 분석을 거쳐 생산 준비가 완료된 최종 로드맵을 제공한다. 마지막 클릭 한 번으로, 알리바바의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바바닷컴(Alibaba.com)에 등록된 사전 검증 글로벌 판매자에게 문의가 전송돼 구매자는 신속하게 최적의 공급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수 주가 걸리던 조사와 소싱 조율 과정을 단 몇 분으로 단축하고, 분산된 워크플로우를 제품 구상부터 글로벌 공급망까지 하나의 통합 여정으로 전환함으로써 악시오 에이전트는 중소기업과 1인 기업가가 대규모 팀보다 더욱 빠르게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와 산업 전문성의 결합 악시오 에이전트는 10억 건의 제품 정보와 5천만 건의 공급업체 프로필을 학습해, 산업별 심층 인사이트와 전략적 판단 능력을 결합함으로써 글로벌 무역을 혁신한다. 일반 AI 에이전트와 달리, 고급 언어모델을 활용해 고객 피드백과 공급업체 성과를 평가하고, 특화 맞춤형 제작 능력과 같은 숨은 경쟁력을 발굴한다. 또한 전문가 수준의 조달 로직을 적용해 기술 요구사항, 리스크, 비즈니스 목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품질과 비용, 혁신과 규제 준수 등 중요한 트레이드오프를 균형 있게 조율한다. 쿠오 장(Kuo Zhang)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부사장은 "악시오 에이전트는 글로벌 소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실용적인 도구"라며, "비즈니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AI 에이전트로, 소싱 담당자, 제품 개발자, 엔지니어, 시장 조사원 등 전문 인력 전담팀이 함께 일하는 것처럼 동시에 여러 업무를 수행해 기업의 성장을 돕는다"고 말했다. 코히런트(Coherent) 리서치에 따르면 이커머스 시장의 AI 활용 규모는 2025년 76억8천만 달러에서 2032년 376억9천만 달러로 성장, 연평균성장률(CAGR) 25.5%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2024년 전 세계 무역 규모가 사상 최대인 33조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런 시장 환경 속에서 악시오의 '에이전트 AI' 전환은 혁신을 통해 글로벌 무역 패러다임을 재정의하려는 알리바바 인터내셔널의 의지를 보여준다. 악시오는 복잡한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기업들이 자신감과 민첩성을 갖추고 글로벌 B2B 소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도울 예정이다. 악시오 에이전트는 현재 Accio.com에서 '에이전트 모드(Agent Mode)'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

2025.08.18 12:10글로벌뉴스

화웨이,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컨테이너 관리 부문 리더로 선정

선전, 중국 2025년 8월 18일 /PRNewswire/ -- 가트너(Gartner)가 8월 6일 발표한 '2025년 매직 쿼드런트 컨테이너 관리 부문(Magic Quadrant for Container Management)'에서 화웨이(Huawei)가 '리더(Leader)'로 선정됐다. 이번 선정은 화웨이 클라우드(Huawei Cloud)의 Cloud Native 2.0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전략적 투자에 따른 성과로 평가된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그동안 CCE 터보, CCE 오토파일럿, 클라우드 컨테이너 인스턴스(CCI), 유비쿼터스 클라우드-네이티브 서비스(UCS) 등 혁신적인 컨테이너 제품을 출시했다. 이러한 제품은 퍼블릭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엣지 환경 전반에서 대규모 확장형 컨테이너 워크로드 관리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를 제공한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새로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화, AI 컨테이너, 엣지 애플리케이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 조사된 모든 활용 사례에서 경쟁력을 보였으며, 특히 AI 컨테이너 부문에서 강점을 드러냈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오픈소스 기여 활동에도 두각을 나타내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생태계의 리더로 자리 잡았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82개의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개 이상의 프로젝트 메인테이너(maintainer)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CNCF TOC(기술 운영 위원회) 부의장직을 맡은 중국의 유일한 클라우드 사업자이기도 하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엣지 시나리오를 아우르는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컨테이너 제품 매트릭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중동의 OTT 플랫폼인 스타즈플레이(Starzplay)는 화웨이 클라우드 CCI를 활용해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전환하면서 2024년 크리켓 월드컵 기간 동안 수백만 건의 접속 요청을 처리하면서 리소스 비용을 20% 절감했다. 싱가포르의 선도적인 물류 제공업체인 닌자 밴(Ninja Van)은 화웨이 클라우드 CCE를 통해 서비스를 전면 컨테이너화해 피크 시간대에도 중단 없는 운영을 달성하고 주문 처리 효율성을 40% 향상시켰다. 칠레의 3대 전력 회사 중 하나인 칠퀸타 에네르히아(Chilquinta Energía)는 화웨이 클라우드 CCE 터보를 활용해 빅데이터 플랫폼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로 업그레이드하면서 평균 성능을 90% 개선하고 보다 지능적인 운영을 가능케 했다. 나이지리아의 선도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콩가(Konga)는 CCE 터보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매달 수백만 명의 활성 사용자에게 원활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 최고의 비주얼 제작 플랫폼인 메이투(Meitu)는 CCE와 Ascend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다양한 모델과 알고리즘의 배포 및 추론을 지원함으로써 대규모 학습의 신속한 반복을 보장하고 월간 활성 사용자 2억 명이 실시간으로 삶의 순간을 공유할 수 있게 했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글로벌 사업자와 협력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혁신을 발전시키고 성공을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Gartner, Magic Quadrant for Container Management 2025, 2025년 8월 6일 면책 조항: 가트너는 자사 연구 보고서에 언급된 특정 공급업체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보증하지 않으며, 기술 사용자가 최고 등급을 받은 공급업체나 기타 지정을 받은 업체만 선택하도록 권하지 않는다. 가트너의 연구 보고서는 가트너 연구 조직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며, 이를 객관적인 사실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가트너는 해당 연구와 관련하여 상품성 또는 특정 목적에의 적합성에 대한 보증을 포함하여 모든 명시적 또는 묵시적 보증을 부인한다. GARTNER, MAGIC QUADRANT, PEER INSIGHTS는 미국 및 전 세계에서 Gartner, Inc. 및/또는 그 계열사의 등록 상표이며, 이 문서에서는 허가를 받아 사용됐다. 모든 권리는 소유자에게 귀속된다.

2025.08.18 12:10글로벌뉴스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SGI 해킹' 랜섬웨어 그룹 "13.2TB 데이터 곧 공개"

"다이소에 뒤지지 않아"...CU가 자신한 하반기 '신상‘ 미리보니

[유미's 픽] 국가AI전략위원회 출범 임박…국정위 'AI 청사진' 실행력 높일까

"관행 봐주기 없다"…주병기 공정위원장 내정에 유통대기업 '얼음'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