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지스타2025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글로벌'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449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헥스클래드, F1 스타 츠노다 유키 글로벌 홍보대사 발탁

-- 츠노다, 고든 램지와 속도•정밀함•요리의 완벽한 조화를 보여주는 '최고 성능의 조리 도구' 캠페인에 참여 로스앤젤레스,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세계적인 셰프들과 요리에 진심인 가정 요리사 모두로부터 사랑받는 프리미엄 기능성 주방용품 브랜드 헥스클래드(HexClad)가 26일 포뮬러 1의 신성(新星) 츠노다 유키(Yuki Tsunoda)를 새로운 글로벌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헥스클래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레이싱의 정밀함과 요리의 예술성을 결합한 글로벌 캠페인을 시작한다. 두 세계 모두 최고의 도구, 집중력, 실행력이 성패를 가른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HEXCLAD ANNOUNCES F1 DRIVER YUKI TSUNODA AS GLOBAL AMBASSADOR jwplayer('myplayer1').setup({file: 'https://mma.prnasia.com/media2/2758213/Hexclad_x_F1_Epic_Performance.mp4', image: 'https://mma.prnasia.com/media2/2758213/Hexclad_x_F1_Epic_Performance.mp4?p=medium', autostart:'false', stretching : 'uniform', width: '512', height: '288'}); 두려움 없는 운전 스타일과 튀는 성격으로 유명한 츠노다는 오랫동안 셰프가 되는 꿈을 키워온 요리에 진심인 가정 요리사다. 그는 이제 글로벌 요리계 아이콘 고든 램지(Gordon Ramsay)와 손잡고 헥스클래드의 새로운 캠페인 '최고 성능의 조리 도구(High Performance Cookware)'에 참여한다. 이 캠페인은 요리의 모든 단계에서 최고의 성능을 중시한다. 두 스타는 역할을 바꾸는 대담한 창의적 변신에 나서, 츠노다는 주방으로 들어가고 램지는 운전석에 앉는 모습을 보여주며 어떤 분야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가 필요함을 증명한다. 츠노다 유키는 "음식과 요리는 제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저는 주방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면서 "이런 면에서 헥스클래드와의 협력은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그들의 도구는 요리 경험을 더 즐겁게 만들며, 전문적인 수준으로 요리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츠노다는 램지가 이끄는 성장 중인 헥스클래드의 브랜드 홍보대사 라인업에 합류했다. 램지는 브랜드의 특허받은 하이브리드 조리 도구의 무결점 내구성, 성능, 디자인을 신뢰한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츠노다는 2025년 F1 시즌 내내 글로벌 캠페인 콘텐츠에 출연하며, 헥스클래드는 그가 모든 레이스에서 보여주는 성능에 대한 관심만큼 트랙 밖 일상에서 그의 삶을 뜨겁게 지원한다는 점을 보여줄 예정이다. 츠노다는 이번 시즌 한 레이스에서는 헬멧에 헥스클래드 브랜드 로고를 착용할 예정이다. 다니엘 와이너(Daniel Winer) 헥스클래드 공동 창립자이자 CEO는 이렇게 말했다. "유키는 놀라운 운동선수이지만 그가 헥스클래드와 완벽하게 어울리는 이유는 그의 사고방식 때문이다. 그는 열정적이며 정확하고 모든 것에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저녁 식사를 준비하든 챔피언십을 추구하든, 자신을 한계까지 밀어붙이기 위해 최고의 도구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브랜드를 만들었다." 이 발표는 헥스클래드가 글로벌 확장을 계속하며 성능이 뛰어난 조리 도구가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가운데 이루어졌다. 츠노다의 합류로 헥스클래드는 요리 세계뿐만 아니라 글로벌 스포츠 무대에서도 브랜드 존재감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헥스클래드가 기획하고 칸 광고제 수상 감독 피터 프랭클린 뱅크스(Peter Franklyn Banks)의 연출 하에 KODE 미디어가 제작한 이 캠페인은 2025년 가을부터 방송, 디지털, 소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소개될 예정이다. 캠페인은 미국, 영국, 일본 등 여러 시장을 아우르는 홍보와 소매 전략을 통해 지원받게 된다. www.hexclad.com를 방문하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헥스클래드 소개 헥스클래드는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프리미엄 주방용품 브랜드다. 스테인리스 스틸과 논스틱 소재를 결합해 뛰어난 성능, 내구성, 사용 편의성을 자랑하는 특허받은 하이브리드 기술로 유명하다. 2016년 설립 이후 조리 도구, 식기류, 도마, 앞치마, 주방 액세서리 등 고성능 제품 라인업을 통해 현대 조리 도구 분야를 재정의해왔다. 헥스클래드는 소비자 직접 판매 채널과 전략적 소매 파트너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기존 규칙을 깨고 관습에 도전하는 제품으로 모든 수준의 요리사들에게 힘을 실어 주면서 전 세계적으로 열정적인 팬층을 확보했다. 2023-2025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비상장 기업을 선정하는 Inc. 5000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자세한 내용은 www.hexclad.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 - https://mma.prnasia.com/media2/2758213/Hexclad_x_F1_Epic_Performance.mp4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09445/HexClad_Logo.jpg?p=medium600

2025.08.27 00:10글로벌뉴스

앤젤어라인 테크놀로지, 2025년 상반기 실적 발표… 법률•공급망•데이터 보안 투자 확대

샌클레멘테, 캘리포니아주,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투명 교정기 전문회사인 앤젤어라인 테크놀로지(Angelalign Technology Inc., 이하 '앤젤' 또는 '회사')(6699.HK)가 2025년 상반기 견고한 반기실적을 발표했다. Interim Report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1% 증가한 1억 6140만 달러를 기록했고, 매출 총이익과 조정 순이익은 각각 1억 60만 달러와 1950만 달러를 달성했다. 글로벌 투명 교정기 치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7.7% 증가한 약 22만 5800건을 기록했다. 교정기 출하량 증가와 치료 계획 센터 및 투명 교정기 제조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이 매출, 매출 총이익, 영업 이익의 전년 동기 대비 개선을 이끌었다. 보고 기간 동안 회사의 수익성은 불확실한 관세 환경을 대비해 시행한 엄격한 비용 관리 조치의 혜택을 받았다. 회사는 일부 영업•마케팅, 임상 지원 및 고객 서비스 인력 채용을 미루는 한편, 중국 본토 외 지역에서 치료 계획 센터 및 제조 시설 운영을 지연시켰다. 앤젤은 해외에서 보다 지속 가능한 존재감을 확립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여러 핵심 분야에서 장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회사는 영업•마케팅, 임상 지원 및 고객 서비스, 중국 본토 외 지역 치료 계획 센터 및 제조 시설의 설립과 운영, 지식재산권(IP) 전략 및 규제 준수를 위해 법적 역량을 보강하고, 데이터 보안 인프라를 추가로 업그레이드하는 등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본토 외 시장에서 앤젤의 교정기 치료 사례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3.5% 증가한 11만 7200건으로 집계됐다. 전년도의 낮은 치료 건수에 따른 기저 효과와 신규 시장에서 거둔 초기 성공이 강력한 실적으로 이어졌다. 앤젤은 고품질 치료 계획 제공, 신뢰할 수 있는 배송, 주요 오피니언 리더와의 지속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중국 본토 시장에서는 앤젤의 교정기 치료 사례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14% 늘어난 약 10만 8600건을 기록했다. 회사가 조기 치과 교정 치료와 신흥 시장을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선제적 성장 전략을 추진한 게 주효했다. 앤젤은 2025년 상반기 조기 치과 교정 치료와 복잡한 사례 해결에 최적화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출시하는 동시에 자사 솔루션에 지능형 초기 상담 및 치료 모니터링 도구를 통합했다. 또 여러 대학과 핵심 임상 혁신을 창출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했다. 앤젤은 지식재산권 전략과 규제 준수를 계속해서 핵심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 회사는 글로벌 시장 진출 범위를 확장하면서 법적 역량 강화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다. 앞으로도 제품 혁신의 역사를 이어가며 지식재산권 보호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앤젤은 늘어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자 중시, 환경 지속 가능성, 확장성을 우선시한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제조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이와 함께 전 세계 주요 지역에 제조•치료 계획 시설을 신설하거나 확장해 전 세계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적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브라질과 동남아시아의 치료 계획 센터가 현재 미국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 사례다. 회사는 또한 모든 주요 시장에서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데이터 보안 인프라와 운영 프로세스 개선에 상당한 자원을 투입해 왔다. 이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중요한 투자에 속하며,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투자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폭스후(Fox Hu) 앤젤 CEO는 "우리는 글로벌 투명 교정기 산업의 장기적 성장 전망에 대해 확신한다"면서 "교정기와 치료 계획의 생산 규모 확대, 임상 역량 강화, 적절한 지식재산권 보호를 통해 제품 혁신의 역사를 계승하고 모든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하며 규제를 준수하는 투자를 확대하는 걸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앤젤어라인 테크놀로지 소개 2003년에 설립되어 150만 명에게 미소를 선사해 온 앤젤어라인 테크놀로지는 전 세계 치과 전문가와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지털 기술 기반의 투명 교정기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사는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 서비스를 바탕으로 치과 교정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발돋움했고, 2021년에는 홍콩 증권거래소(Hong Kong Stock Exchange)에 상장됐다. 2023년에는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을 발표했으며, 현재 앤젤의 제품과 서비스는 5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angelaligner.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문의 수에 콜브(Sue Kolb)sue.kolb@angelaligner.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7383/Angelalign_Interim_results.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277102/Angel_Aligner_Logo.jpg?p=medium600

2025.08.26 21:10글로벌뉴스

딥루트닷에이아이, VLA 기술 기반 스마트 운전 플랫폼 'DeepRoute IO 2.0' 출시

선전, 중국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딥루트닷에이아이(DeepRoute.ai)가 최신 스마트 운전 플랫폼 'DeepRoute IO 2.0'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딥루트닷에이아이의 고급 VLA(Vision-Language-Action)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이 차세대 플랫폼은 일반 사용자에게 더 스마트하고 안전하며 인간과 유사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VLA (Vision-Language-Action) Model DeepRoute IO 2.0은 유연한 다중 칩, 다중 센서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라이다(LiDAR) 탑재 및 퓨어 비전(pure vision) 구성을 전부 지원해 다양한 차량 모델 및 완성차 간 원활한 통합이 가능하다. DeepRoute IO 2.0은 DriveOS 기반의 NVIDIA DRIVE AGX Thor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DRIVE Thor는 VLA 모델 추론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Blackwell GPU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DeepRoute IO 2.0 배포를 위한 5건의 OEM 파트너십을 이미 확보했으며, 첫 번째 양산 차량이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다. 딥루트닷에이아이의 맥스웰 조(Maxwell Zhou) 최고경영자(CEO)는 "DeepRoute IO 2.0은 대규모 언어 모델과 통합된 VLA 모델을 채택해 생각의 연결고리(Chain-of-thought, CoT) 추론과 광범위한 지식 기반이라는 두 가지 핵심 장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CoT를 활용하는 이 시스템은 논리적이고 인간과 유사한 추론을 통해 복잡한 교통 상황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 결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광범위한 지식 기반 덕분에 모델은 다양한 조건에서 축적된 운전 경험을 활용해 실제 상황에도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바탕으로 DeepRoute IO 2.0은 신뢰성 있고 안전한 고도의 적응형 보조 운전 기능을 제공한다. DeepRoute IO 2.0 플랫폼은 VLA 모델을 기반으로 복잡한 운전 시나리오 관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 플랫폼은 공간 이해와 고급 추론을 결합해 다양한 조건을 처리하고 사각지대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방어적 운전을 실현한다. 의사결정 과정의 단계별 설명을 통해 투명성을 확보해 소위 '블랙박스' 효과를 줄여준다. OCR 기능을 통해 이 시스템은 인간처럼 실시간으로 교통 표지판을 인식하고 문자로 된 도로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성 제어 기능은 자연어를 통한 인간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며, 운전자가 음성 명령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실제 도시 환경에서 DeepRoute IO 2.0과 VLA 모델을 검증해 다양한 조건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했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글로벌 OEM 파트너들과 함께 전 세계 양산 차량에 스마트 운전 기술의 도입을 가속하고 있다. 딥루트닷에이아이 소개딥루트닷에이아이(DeepRoute.ai)는 스마트 운전 솔루션의 연구•개발•응용을 전문으로 하는 AI 기업이다. 양산 차량에 엔드투엔드 및 VLA 모델을 최초로 적용한 기업인 딥루트닷에이아이는 물리적 세계에서 인공 일반 지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deeproute.ai)를 방문하거나 링크드인 및 X의 DeepRoute.ai 채널을 팔로우하거나 유튜브의 DeepRoute.ai 채널을 구독하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press@deeproute.ai

2025.08.26 20:10글로벌뉴스

열정을 듣고 순간을 느끼다 -- 카다스, Tea Pro 출시

데스크톱급 Hi-Fi 사운드 제공 – 마그네틱 초슬림 포터블 헤드폰 앰프 뉴욕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마지막으로 진정한 음악 감상을 한 때가 언제였는가? 카다스(Khadas)는 음질과 휴대성이 절대 타협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카다스는 신용 카드만큼 작으면서도 데스크톱급 고음질 사운드를 제공하는 마그네틱 초슬림 휴대용 DAC 및 헤드폰 앰프인 Tea Pro를 선보였다. Khadas Tea Pro Tea Pro는 Tea 시리즈의 시그니처인 마그네틱 카드형 스타일 디자인을 계승했다. 19개의 자석이 내장되어 iPhone에 단단히 고정되며, 안드로이드폰이나 아이폰 12 이전 기종은 별도의 자석 링으로 동일한 부착이 가능하다. 업그레이드된 가죽 소재 후면은 부드럽고 노이즈 없는 부착감을 제공한다. 두께는 8mm, 무게는 96g으로 어디든 부담 없이 휴대할 수 있다. 내부에서 플래그십 USB DAC XMOS XU316-1024가 탑재되어 PCM 768kHz와 DSD512를 지원하며, ESS ES9039Q2M DAC, Qualcomm QCC5181 블루투스 칩, aptX•aptX HD•aptX Adaptive•LDAC 코덱 지원, 100fs 펨토초 클럭이 결합돼 깨끗하고 정밀한 스튜디오급 사운드를 구현한다. 더 넓은 호환성을 위해 3.5mm 잭과 함께 4.4mm 밸런스 출력이 추가되어, 입문형 IEM부터 고임피던스 헤드폰까지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MFi 인증 iOS를 비롯해 안드로이드, 윈도우, macOS, 리눅스까지 완전한 크로스 플랫폼 지원도 갖췄다. 사용자 경험은 0.95인치 AMOLED 디스플레이로 한층 향상됐다. 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오디오 포맷, 게인(gain), 배터리, 볼륨 등 주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휴대폰을 따로 열 필요가 없다. Khadas Audio 앱은 EQ 프리셋, 필터 선택, 10밴드 EQ, 게인 제어 기능을 제공해 음악 애호가들에게 감상과 튜닝의 자유를 제공한다. 2100mAh 배터리로 구동되는 Tea Pro는 USB 모드에서 최대 8시간, 무선에서 최대 11시간 동안 재생할 수 있다. 휴대폰과 같은 오디오 입력 장치에서 USB-C 충전도 지원하므로 음악이 끊길까 걱정할 필요가 없다. Tea Pro는 화려한 스펙을 내세우기보다, 음악을 진정으로 듣고 싶은 모든 순간에 함께하는 조용한 동반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음향적 정밀함을 추구하는 오디오 애호가든, 품질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사용자든, Tea Pro는 음악을 더 가까이 가져다줄 것이다. Khadas Tea Pro는 2025년 8월 26일에 공식 출시된다. 이 마그네틱 포터블 DAC 및 헤드폰 앰프를 가장 먼저 경험해 보자. '열정을 듣고 사운드를 더 가까이'

2025.08.26 19:10글로벌뉴스

2025년 아프리카 부자 보고서: 신흥 부 중심지 급부상, 세계 성장률 앞질러

런던,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2025년 아프리카 부자 보고서(Africa Wealth Report 2025)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아프리카의 백만장자 수가 6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아프리카에는 25명의 억만장자, 348명의 센티-밀리어네어(자산 1억 달러 이상), 12만 2500명의 백만장자가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률은 2025년에 3.7%로 예상되며, 이는 유럽(0.7%)과 미국(1.4%)을 앞지르는 수준이다. 2026년에는 성장률이 4.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로 4회차를 맞는 이 연례 보고서는 국제 자산 자문 회사인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뉴 월드 웰스(New World Wealth)와 공동으로 발간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 역풍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전역의 민간 자산 시장은 강하게 성장하고 있다. 도미닉 볼렉(Dominic Volek) 헨리앤파트너스 그룹 개인고객부 글로벌 총괄은 "투자 이민 시장은 이제 양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아프리카 투자자들이 더 큰 글로벌 이동성과 다각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국제 투자자들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본 배치의 목적지로 점점 더 아프리카를 주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와 도시 지난 한 해 동안 강력한 성장세를 기록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현재 아프리카 백만장자의 34%를 차지하며, 이는 그다음 가장 부유한 5개국을 합친 규모에 상응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4만 1100명의 백만장자를 보유해 아프리카 5대 부의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나머지 4개 국가는 이집트(14800명), 모로코(7500명), 나이지리아(7200명), 케냐(6800명) 순이다. 이들 5개국이 합쳐 아프리카 전체 백만장자의 63%와 억만장자의 88%를 차지한다. 아프리카에서 6번째로 부유한 국가인 모리셔스는 지난 10년 동안 +63%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강력한 HNWI(고액 자산가) 증가율을 기록했다. 르완다(+48%)와 모로코(+40%)도 큰 증가세를 보인 반면, 나이지리아의 백만장자 인구는 -47% 급격히 감소했으며, 앙골라(-36%)와 알제리(-23%) 역시 감소했다. 도시별로는 1만 1700명의 백만장자가 거주하는 요하네스버그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1위를 유지했다. 한편 2위에 오른 케이프타운(8500명의 고액 자산가 보유)은 아프리카의 센티-밀리어네어 중심지로 떠올랐다. 현재 35명의 초부유층이 케이프타운에 거주하고 있으며, '마더 시티(Mother City)'로 불리는 이 도시는 m2당 미화 5800달러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비싼 고급 부동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2030년까지 총자산 규모에서 요하네스버그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3위는 카이로로, 6800명의 고액 자산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억만장자(5명)가 거주하는 도시다. 동아프리카 경제의 중심지인 나이로비는 4200명의 백만장자를 보유해 케냐 전체 민간 자산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4위에 올랐다. 아프리카의 이동성 격차 확대 미국 워싱턴의 아프리카에 대한 강경한 입장이 향후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높은 관세, 미국 국제개발처(USAID) 기금 대규모 삭감, 남수단과 에스와티니로의 범죄자 강제 추방 등 논란이 된 정책들이 포함된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아프리카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고 추가 3개국에 대해 제한을 강화한 데 이어, 앞으로 26개국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 조치가 현실화되는 경우, 아프리카 54개국 중 약 3분의 2가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미국 입국이 금지될 수 있으며, 이는 최근 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이동 제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헨리앤파트너스가 2025년 1월에 발표한 글로벌 모빌리티 보고서(Global Mobility Report)에 게시된 독점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서 아프리카인에 대한 조직적인 비자 차별이 확인됐다. 유럽대학연구소(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이민정책센터의 메하리 타델레 마루(Mehari Taddele Maru) 교수가 주도한 이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솅겐 비자 신청자 6명 중 1명만이 거부되는 반면, 아프리카 신청자는 2명 중 1명이 거절당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헨리여권지수(Henley Passport Power Index)는 이러한 불평등이 경제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응해 부유한 아프리카인들은 '글로벌 포지셔닝'이라는 적극적인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들은 사업 확장을 위해, 자녀들의 국제 교육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그리고 가족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국가의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획득하고 있다. 헨리앤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 18개월 동안 아프리카 23개국 투자자들의 신청서가 처리됐으며, 이는 2020년 12개국이었던 것에 비해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한 2024년에는 투자 이민 관련 문의가 50% 급증했다.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는 세계 10대 투자 이민 신청 국가에 포함된다. 헨리앤파트너스의 그레이스 아서(Grace Arthur)는 "이 투자자들은 아프리카에 등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아프리카의 입지를 확장하고, 연결망을 구축하며, 자본의 문을 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보도자료 보기

2025.08.26 17:10글로벌뉴스

베스핀글로벌, 북미서 AI 시장 성과…"두 자릿수 성장 이어가"

베스핀글로벌 미국법인이 현지 시장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며 점유율 시장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낸다. 베스핀글로벌은 자사 미국법인이 구글클라우드와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 애드본 커머스의 생성형 AI 기반 온라인 쇼핑 솔루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애드본 커머스는 2019년 설립된 미국 마케팅 테크놀로지 기업이다. 고객사 이커머스 사이트의 콘텐츠 생성, 검색·미디어 최적화를 지원한다. 현재 월마트·빅 롯츠·웨이페어 등 다수 미국 유통기업을 고객사로 뒀다. 베스핀글로벌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구글 제미나이와 AI 영상 생성 모델 비오를 활용해 상품 콘텐츠 제작을 자동화했다. 생성형 AI로 상품 상세 정보를 작성·개선하고 상품의 이해를 돕는 라이프스타일 동영상을 추가해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그 결과 애드본 커머스 고객사의 제품 검색 상위 노출이 30% 증가했고, 60일 만에 1천700만 달러의 매출이 늘어나며 일일 평균 매출이 67% 증가했다. 또 AI 기반 카탈로그 관리와 생성형 AI 라이프스타일 동영상 도입으로 상품 콘텐츠 수준이 향상되고 고객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구매 전환율이 카테고리 내 유사 제품 대비 평균 41% 올랐다. 베스핀글로벌 미국법인은 이번 성과를 발판으로 북미 시장 내 입지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2021년 진출 이후 시저스 엔터테인먼트와 나일라스 등 다양한 현지 고객사를 확보하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해왔으며 지난해 93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20% 이상 성장했다. 베스핀글로벌은 이같은 성장이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글로벌 유통 대기업의 분산된 판매 데이터를 AI 최적화 방식으로 이전·재구축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고객 지출 패턴을 분석하는 머신러닝 기반 맞춤형 솔루션 제공 ▲글로벌 패션 B2B 마켓플레이스의 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등이 있다. 김써니 베스핀글로벌 글로벌 대표는 "우리는 산업별 맞춤 솔루션과 AI·클라우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객가치를 높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솔루션으로 북미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8.26 14:58한정호

사우디, 첫 AI 데이터센터 착공…美 반도체 투입 본격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공지능(AI) 전문기업 휴메인이 자국 내 첫 데이터센터 건설에 착수했으며 내년 초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데이터센터는 미국산 반도체를 기반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2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휴메인은 수도 리야드와 동부 담맘 지역에 각각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며 내년 2분기 개소를 계획하고 있다. 휴메인은 현재 엔비디아 등 미국 반도체 기업들로부터 AI 칩을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타렉 아민 최고경영자(CEO)는 "이미 현지 규제 당국으로부터 엔비디아 최신 AI 칩 1만8천 개 구매 승인을 받았다"며 "향후 미국 정부의 거버넌스 및 승인 절차가 필요하지만 형식적인 과정일 뿐 곧 착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행보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 이후 반도체 수입 절차가 탄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휴메인은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소유한 회사로, 지난 5월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시점에 맞춰 출범했다. 회사 목표는 사우디를 중동 지역의 AI 허브로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휴메인은 2030년까지 총 1.9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건설하고 AI 인프라 및 클라우드 역량을 확충할 계획이다. AMD와 100억 달러(약 13조 원)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과정에서 사우디 내 특수목적펀드(SPF)에 AMD가 지분을 보유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퀄컴·시스코 등 글로벌 IT 기업들과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와의 데이터센터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도 초기 논의를 진행 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우디가 AI 데이터센터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삼으면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기업 간 협력이 확대될 것"이라며 "향후 중동 지역 AI 경쟁에서 사우디의 입지가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2025.08.26 14:35한정호

정밀영양 시대 여는 봄봄, 350만 달러 투자 확보

프리-시리즈A 라운드에서 350만 달러 투자 유치AI•영양유전체학 연구 및 생산 자동화 강화한국 펫시장 및 아시아 확장 가속화 싱가포르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정밀 맞춤형 펫 뉴트리션 기업 봄봄(BOM BOM)이 프리-시리즈A 라운드에서 350만 싱가포르 달러(약 35억 원)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시드 단계 소비자 중심의 싱가포르 벤처캐피털(VC)인 블루프린트 벤처스(Blueprint Ventures)가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은 ▲생산 자동화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 연구 역량 강화 ▲AI 기반 정밀 영양 플랫폼 고도화에 사용될 예정이다. 봄봄의 플랫폼은 수천 건의 반려동물 건강 프로파일과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견종, 나이, 체중, 활동량, 건강 상태, 알레르기 등의 요소를 종합 반영해 미국국립연구위원회(NRC) 기준에 부합하는 맞춤형 식단을 제공한다. 봄봄의 식단은 반려동물의 성장 단계와 건강상태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는 기존 펫푸드 업체들이 제공하지 못한 차별화된 맞춤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싱가포르와 한국에서 동시 추진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아시아 시장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될 전망이다." BOM BOM의 1:1 맞춤형 자연식 제이슨 왕(Jason Wang) BOM BOM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펫 뉴트리션의 미래를 새롭게 정의하는 봄봄의 기술은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을 위해 더 나은 식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라고 말했다. 왕 CEO는 "우리는 단순히 초신선•표준화된 식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알고리즘과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통해 대규모로도 1:1 맞춤형 식단을 구현할 수 있다"라며 "데이터, 엔지니어링, 식품과학을 기반으로 한 이런 정밀영양 수준은 기존 펫푸드에는 존재하지 않는 혁신이다"라고 부연했다. 후이팅 코(Huiting Koh) 블루프린트 벤처스 창립자이자 매니징 파트너는 "봄봄은 맞춤형 펫 뉴트리션으로 이동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완벽히 선점할 위치에 있다"라며 "반려동물의 견종, 생애 단계, 건강상태, 알레르기에 맞는 적정 단백질과 영양소를 공급함으로써, 많은 반려동물들이 흔히 겪는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동물 병원 진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수명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해왔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봄봄의 주주로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코리아 대표 ▲엘 캐터튼(L Catterton) 코리아 대표 ▲오리온 브릿지 캐피탈(Orion's Bridge Capital) 등 글로벌 산업 리더들이 참여하고 있어 전략적 지원 기반 또한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회사 소개 봄봄(BOM BOM) 2017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봄봄은 펫 뉴트리션 테크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DTC(Direct-to-Consumer, 소비자 직판) 모델을 기반으로 싱가포르와 한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계된 주문형 맞춤 식단은 NRC 기준을 충족하며 최고 수준의 영양을 제공한다. 봄봄의 맞춤형 식단은 별도의 보충제를 필요로 하지 않은 완전식으로, 수천 마리 반려동물의 만성 건강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해왔다. 자세한 내용은 kr.bombom.com또는 인스타그램 @bombom.korea에서 확인할 수 있다. 블루프린트벤처스(Blueprint Ventures) 블루프린트벤처스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벤처캐피털로, 동남아시아 전역의 초기 단계 소비자 브랜드 및 소비자 기술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건강지향 식음료, 뷰티•스킨케어, 웰니스, 개인 역량 강화'(personal empowerment)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비전 있는 창업가들과 협력해 성장을 가속화하고 차세대 시장 선도 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www.blueprint.vc참고

2025.08.26 12:10글로벌뉴스

아라산 MIPI DSI-2 Rx Controller, ISO 26262 ASIL-B 인증 획득

자동차 SoC용 반도체 IP의 선두 공급업체인 아라산 칩 시스템즈 - 오늘 자사의 MIPI DSI-2 Rx IP, ISO26262 ASIL-B 자동차 인증 획득 발표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모바일 및 자동차용 SoC(System on Chip)를 위한 반도체 IP의 선도적 공급업체 아라산 칩 시스템즈(Arasan Chip Systems)가 8월 26일 MIPI DSI-2 Rx Controller의 ISO 26262 ASIL-B 자동차 안전 인증 획득을 발표했다. 이번 인증은 아라산의 최신 세대 MIPI DSI IP에 적용된다. Arasan MIPI DSI-2 Rx IP ISO26262 ASIL-B Certification ISO26262 ASIL-B 인증은 아라산의 DSI-2 Rx Controller가 자동차용 SoC의 엄격한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번 인증을 통해 해당 기술은 방위산업, 항공기, 그 외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인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아라산의 토탈 디스플레이 IP 솔루션은 VESA DSC 인코더 IP, VESA 디코더 IP, 아라산 DSI 송수신(Tx & Rx) IP를 포함한다. 이는 피트니스 밴드, 센서,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및 IoT 기기에 사용되는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부터, DSI-2 송수신(Tx & Rx) IP를 통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까지 아우른다. 두 가지 버전의 MIPI 디스플레이 IP는 아라산의 MIPI D-PHY IP 또는 C/D-PHY 콤보 IP와 매끄럽게 통합된다. 아라산은 특히 웨어러블 시장을 겨냥해 자사의 DSI IP와 함께 사용되는 초저전력 1.5기가비트 D-PHY IP를 제공한다. 또한 아라산은 자동차 IP 제품의 일부로 ASIL-C 인증을 받은 CAN 2.0 IP, CAN FD IP, CAN XP IP를 비롯해 LIN IP 및 이더넷 Controller IP 코어도 제공한다. MIPI 컴플라이언스 테스터(Compliance Tester)에서 C/D-PHY Combo ASIC와 원활하게 통합된 아라산의 MIPI DSI-2 IP에 대한 데모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youtu.be/lmC50LjFwXQ?si=pDxISVdMZL1blya9 아라산 DSI-2 Rx Controller I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arasan.com/products/mipi/dsi/dsi-2-rx/ 제품 사용 여부 아라산 MIPI DSI-2 Rx Controller IP는 ASIC 및 FPGA 애플리케이션에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bonnie.noufer@arasan.com으로 문의할 수 있다. 연락처: 보니 누퍼 (Bonnie Noufer)bonnie.noufer@arasan.com 아라산 소개:아라산 칩 시스템즈(Arasan Chip Systems)는 모바일 스토리지 및 모바일 연결 인터페이스용 IP 분야의 선도적인 공급업체다. 아라산의 IP가 적용된 반도체 칩 출하량은 10억 개를 넘어섰다. 아라산은 실리콘 검증이 완료된 고품질의 토탈 IP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디지털 IP, 아날로그 혼합 신호 PHY IP, 검증 IP, HDK,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된다. 아라산은 모바일 SoC에 중점을 두고 1990년대 중반부터 모바일 진화의 최전선에 서서 스마트폰, 자동차, 드론,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표준 기반 IP로 지원해왔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6429/DSI2RX_ASIL_Certification_001.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ewswire.com/media/2724571/5473449/Arasan_Chip_Systems_Inc_Logo.jpg

2025.08.26 11:10글로벌뉴스

중기부, 소상공인-스타트업 협업 통한 제품 혁신 돕는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소상공인과 스타트업이 협업해 제품과 서비스를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섰다. 중기부는 25일부터 28일까지 '강한 소상공인 파이널 오디션'을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개최한다고 이날 밝혔다. '강한 소상공인' 사업은 소상공인이 창작자·스타트업 등과 협업 또는 융합을 통해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를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앞서 중기부는 해당 사업을 통해 지난 5월 기준 7천147개 기업 중 160개 기업을 선정해 기업당 최대 6000만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이번 사업에서는 지난 1차에서 선정된 160개 기업 중에서 혁신성, 성장성이 높은 미래 혁신 기업 60곳을 엄선할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은 최대 4천만원의 사업화 자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다. 중기부는 혁신기업들이 글로벌 무대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국내외 판로 개척, 투·융자 등도 연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투자·유통·경영관리 상담회, 수출·마케팅·홍보 콘텐츠 등에 대한 일대일 밀착 컨설팅 등 부대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노용석 중기부 장관은 "최근 K-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기는 한국의 식품, 화장품, 패션 등 소상공인이 만드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는 창의적이고 기업가정신을 가진 강한 소상공인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8.26 10:06김기찬

틱톡 어워즈 2025, 10월 25일 개최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오는 10월 2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틱톡 어워즈 2025(TikTok Awards Korea 2025)'를 개최한다. 틱톡 어워즈는 한 해 동안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주목받은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들의 성과를 기념하고, 틱톡이 일궈낸 문화적 영향력을 되돌아보는 자리다. 지난해 처음 개최된 '틱톡 어워즈'는 숏폼과 크리에이터를 중심에 둔 첫 시상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연기와 디저트 먹방으로 10대부터 50대까지 폭 넓은 팬층을 자랑하는 젼언니(@jeon_unni)가 올해의 크리에이터상을, 감각적인 연출과 높은 완성도로 사랑받는 영찍남(@ycn_videographer)이 올해의 비디오상을 수상하는 등 총 17개 부문에서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의 성과가 조명됐다. 또한, 2024년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된 글로벌 아이돌 에스파(@aespa_official), 올해의 트렌드상을 수상한 위아더나잇(@bandwearethenight)을 비롯한 다양한 K-팝 아티스트들의 무대가 시상식의 열기를 더했으며, 총 250여 명의 크리에이터와 1천500여 명의 관객이 함께해 '틱톡 어워즈'의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틱톡 어워즈 2025'는 규모와 의미 모두 한층 확대됐다. ▲올해의 크리에이터상 ▲올해의 비디오상 등 숏폼 트렌드를 이끈 크리에이터와 콘텐츠를 돌아보는 부문부터 ▲올해의 라이징 크리에이터상 ▲올해의 소셜 임팩트 크리에이터상 등 신예와 사회적 가치를 조명하는 상까지 폭넓게 마련됐다. 또한, 엔터테인먼트·스포츠·라이브 뮤직·올해의 송라이터 부문이 신설돼,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깊이를 더해가는 크리에이터들의 전문성과 글로벌로 확장하는 틱톡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티스트 부문에서는 ▲올해의 아티스트상 ▲올해의 노래상 등을 통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K-팝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활약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수상자는 틱톡 앱 내 사전 투표로 결정되며, 구체적인 일정과 참여 방법은 추후 틱톡 커뮤니티를 통해 공개된다. 행사 당일에는 레드 카펫과 시상 세리머니, 축하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틱톡 크리에이터뿐만 아니라 K-팝 아티스트들도 무대에 올라 숏폼 콘텐츠와 라이브 퍼포먼스를 결합한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시상식은 MBC PLU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MBC every1과 MBC M에서 생중계되며, 틱톡코리아 공식 계정(@tiktok_kr) 및 틱톡라이브 공식 계정(@tiktoklive_kr)에서도 실시간 시청할 수 있다. 틱톡코리아 정재훈 운영 총괄은 “틱톡 어워즈는 한 해 동안 틱톡 커뮤니티에 영감을 준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들이 주인공인 축제로 틱톡에게는 가장 뜻깊은 시상식”이라며, “올해는 더욱 확장된 규모로 2025년 트렌드를 주도한 크리에이터와 한국 엔터테인먼트를 세계에 알린 K-팝 아티스트들의 성과를 함께 기념하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자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2025.08.26 09:14안희정

모로우 창립자, 8조달러 규모 장수 혁명 가속화 속 1억5600만달러 투자...싱가포르에 첫 플래그십 센터 오픈

싱가포르,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기업가 앨런 로우(Allen Law)가 인간 건강수명 연장이라는 글로벌 미션의 일환으로 개인이 전문가와 코치의 도움으로 맞춤형 로드맵을 통해 건강한 생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3500제곱미터 규모의 모로우(MORROW) 센터를 오픈한다. 향후 5년간 1억5600만달러를 투자해 다수의 모로우 지점을 오픈할 계획이며, 이 중 1560만달러는 싱가포르에 위치한 첫 번째 플래그십 센터의 초기 설비 및 기술 개발에 투입된다. 이 플래그십 센터는 콜먼 스트리트 10번지에 위치한 7400제곱미터 규모의 롱제비티 월드(Longevity World) 내에 들어설 예정이다. Entrepreneur Allen Law is building an international ecosystem of companies and brands as part of his global mission to increase the human healthspan 모로우의 출범은 전 세계가 인간 삶의 모든 양상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닌 8조달러 규모의 장수 혁명[1]을 시작하는 시점에 기념비적인 순간을 상징한다. 2025년 3월 UBS는 '장수'가 AI와 함께 향후 10년간 주식 시장을 주도할 가장 중요한 혁신 기회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모로우는 초고소득층을 겨냥한 기존 모델에서 벗어나 훨씬 더 넓은 고객층에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로우는 기술과 독점 AI를 활용해 고도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중앙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모로우의 AI 플랫폼은 다양한 생활 방식을 지속적으로 학습해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하고 전 세계 주요 대학들과 협력해 익명화된 생활 습관 데이터를 생산하는 연구 엔진을 뒷받침하게 된다. 모로우는 전문가팀[2]을 기반으로 한 신뢰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모로우의 경영진과 전문가팀에는 국제생활습관의학회 자격증을 보유한 헬싱키 대학교 심혈관 대사질환 및 생활 방식 개입 부문 의사과학자인 미나 외만(Miina Öhman) 박사, 통합 의료 플랫폼 구축 분야의 선구자인 루이스 아일랜드(Louis Island) 최고운영책임자(COO), 보건학 석사, 생활습관의학 자격증, 국제생활습관의학회 자격증, 국가 인증 헬스 웰니스 코칭 자격증, 국제코칭연맹에서 발급하는 전문 인증 코치 자격증을 보유한 건강 행동 변화 및 긍정심리학 분야의 글로벌 전문가인 사이먼 매튜스(Simon Matthews) 건강 코칭 부문 책임자 등이 포함된다. 또한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야론 터파즈(Yaron Turpaz) 박사는 제약, 바이오테크, 유전체학, 정밀의료 솔루션 분야에서 머신러닝과 AI를 활용한 디지털 웰니스 및 분석 플랫폼 개발을 이끌고 있고, 클라우디아 코레아(Claudia Correia) 영양•영양사 부문 책임자는 지난 16년 이상 1만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양 변화를 지원해 왔다. 모로우의 고객 여정은 현재 건강 상태와 최적 건강 상태 간의 격차를 측정하는 세부 진단 평가에서 시작된다. 이 평가 결과는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계획의 기반이 되며, 이러한 계획은 전문가 코칭과 AI, 웨어러블 기기, 지속 모니터링, 통합 피드백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도출된다. 이러한 플랫폼들을 통해 모로우는 개인의 생활 방식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할 계획이다. 개인은 공유 그룹 상담, 커뮤니티 참여, 기타 기술을 통해 자신의 건강 관리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된다. 모로우의 조기 예약은 2025년 9월에 홈페이지(www.morrow.health)를 통해 시작되며, 첫 번째 플래그십 센터는 2025년 4분기에 싱가포르에서 오픈할 예정이다. 기업가인 앨런 로우는 피트니스, 홀리스틱 웰니스(holistic wellness), 증거 기반 개입에 초점을 맞춘 글로벌 기업 및 브랜드 생태계를 구축하고 확장함으로써 건강수명을 연장한다는 그의 글로벌 미션을 실천하고 있다. 앨런 로우는 초기 및 성장 단계의 벤처 기업을 지원하는 세베노 캐피털(Seveno Capital)의 대표다. 또한 5개국에 50개 이상의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부티크 피트니스 시설 네트워크인 무브[리피트](MOVE [REPEAT])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무브[리피트]는 2026년까지 규모를 두 배로 확장할 계획이다. 그는 REVL 트레이닝(REVL Training)의 의장 겸 투자자이며, REVL 트레이닝은 2028년까지 사업 규모를 두 배로 확대하고 매출을 6배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앨런 로우는 홍콩의 단일 호텔에서 역내 고급 호텔 그룹으로 성장한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파크 호텔 그룹(Park Hotel Group)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앨런 로우 모로우 CEO: "세계보건기구는 2032년까지 6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3] 이는 평생 건강과 활력을 최적화하는 데 새로운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모로우는 과학, 사람 간 연결, 혁신을 통해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고 회복하는 '평생 건강' 모델을 촉진할 것이다. 모로우는 배경이나 출발점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삶을 살아가고 나이를 먹고 회복하며 번창하는 방식을 혁신할 계획이다." 헬싱키 대학교 미나 외만 박사: "이제는 예방에 중점을 둔 지속 가능한 의료 모델로 전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선 초고소득층만이 아닌 모든 사람을 위한 생활 방식 개입과 건강 행동 변화 지원을 의료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실천해야 한다." 모로우 홈페이지: https://morrow.health 1. UBS, '변혁적 혁신 기회(TRIO): 장수' 2025년 3월 26일.2. 언급된 인물들은 현재 1997년 싱가포르 의료등록법 1997(Medical Registration Act 1997)에 따른 유효한 의료 면허를 소지하고 있지 않다.3. 세계보건기구, '노화와 건강', 세계보건기구 웹사이트, 2024년 10월 1일,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ageing-and-health.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46387/Allen_Law.jpg?p=medium600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46386/MORROW_Singapore.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746385/MORROW_Logo.jpg?p=medium600 CGI render of the hydrotherapy space within MORROW Singapore, by Elliot James

2025.08.26 09:10글로벌뉴스

NOL 인터파크투어, '2025 두바이 피트니스 챌린지 원정대' 참가자 모집

놀유니버스(대표 배보찬)가 운영하는 NOL(놀) 인터파크투어가 두바이관광청, 러닝 플랫폼 '러너블'과 함께 글로벌 런트립 프로젝트 '2025 두바이 피트니스 챌린지 원정대(이하 두바이 원정대)'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두바이 원정대는 8주간의 국내 러닝 프로그램과 오는 11월 21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지는 4박 6일간의 두바이 런트립이 결합된 패키지다. 국가대표 출신 권은주 감독과 운동 인플루언서 심으뜸이 이끄는 원정대는 국내 사전 러닝, 번개런, 2025 JTBC 서울 마라톤 참여를 통해 러닝 기본기를 쌓는다. 이후 두바이 피트니스 챌린지에 참가해 글로벌 무대에서 나만의 레이스를 완성한다. 두바이 피트니스 챌린지는 '하루 30분, 30일 운동'을 테마로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위해 마련된 글로벌 캠페인이다. 캠페인의 대표 프로그램인 '두바이 런'은 두바이 랜드마크를 배경으로 중심 도로인 셰이크 제이드 로드를 달릴 수 있는 대규모 러닝 페스티벌이다. NOL 인터파크투어는 다음 달 14일까지 공식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두바이 원정대 참가자를 모집한다. 20명의 최종 선발자는 9월 16일 개별 발표하며, 선정된 참가자에게는 126만 원 상당의 여행지원금과 국내 러닝 프로그램 참가비 전액을 지원한다. 한정협 놀유니버스 SIT(Special Interest Travel) 팀장은 “국내 러너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도전과 교류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번 원정대를 준비했다”면서, “앞으로도 차별화된 테마 여행을 통해 스포츠 분야에서 여행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류영미 두바이관광청 대표는 “한국 러너들이 두바이의 다채로운 스포츠와 피트니스 문화를 직접 경험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러닝 페스티벌에 도전하길 바란다”며 “이번 원정대가 두바이의 역동적인 매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러너블 관계자는 “국내 러너들이 세계 무대에서 달리며 두바이의 스포츠·웰니스 문화를 온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이번 원정대가 글로벌 스포츠·관광 교류의 교두보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8.26 08:46안희정

포춘 글로벌 포럼 2025,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10월 26일부터 27일까지 개최

-- '위대한 융합' 주제로 포춘 500대 기업 CEO,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주요 정책 입안자들이 한자리에 모일 예정 -- 씨티그룹, 델타 항공, 허니웰, 휴메인, NYSE, 퀄컴 등 주요 기업 CEO들의 참석 확정 뉴욕, 2025년 8월 26일 /PRNewswire/ -- 포춘(Fortune)은 25일 자사의 권위 있는 포춘 글로벌 포럼(Fortune Global Forum)이 2025년 10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30년 역사를 자랑하는 글로벌 포럼은 지금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개최되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는 건 올해가 처음이다. 리야드가 개최 도시로 선정됐다는 사실은 사우디아라비아가 글로벌 비즈니스, 무역, 혁신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음이 재확인됐다. 2025 포춘 글로벌 포럼은 포춘 500대 기업 및 다국적 기업과 급성장 중인 스타트업은 물론 금융, 에너지, 모빌리티, 기술 분야를 대표하는 영향력 있는 조직의 CEO 및 고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열린다. 본 행사는 초대받은 인사만 참석이 가능하다. 상호 협업, 동료 간 네트워크 구축, 혁신적인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본 포럼은 2025년 글로벌 경제와 비즈니스 환경이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는 시기에 개최된다는 데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인공지능(AI)의 획기적 발전, 지정학적 불안감의 고조, 인구 구조 변화를 배경으로 열리는 올해 포럼의 주제는 '위대한 융합(The Great Convergence)'으로, 포럼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서로 맞물리며 기업, 사회, 리더십을 재편하고 있는지 탐구할 것임을 보여준다. 포춘의 연례 콘퍼런스인 이번 포럼에는 다음과 같은 리더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타레크 아민(Tareq Amin) 휴메인(HUMAIN) CEO 크리스티아노 아몬(Cristiano Amon) 퀄컴(Qualcomm Incorporated) 사장 겸 CEO 에드 바스티안(Ed Bastian) 델타항공(Delta Air Lines) CEO 보니 찬(Bonnie Chan)홍콩증권거래소(Hong Kong Exchanges and Clearing Limited) CEO 제인 프레이저(Jane Fraser) 씨티(Citi) CEO 토니 한(Tony Han)위라이드(WeRide) 창립자 겸 CEO 제니퍼 존슨(Jennifer Johnson)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사장 겸 CEO 비말 카푸르(Vimal Kapur)허니웰(Honeywell) 회장 겸 CEO 린 마틴(Lynn Martin)NYSE 그룹(NYSE Group) 사장 랄프 무티파(Ralph Mupita)MTN 그룹(MTN Group Limited) 사장 겸 CEO 조나단 로스(Jonathan Ross) 그록(Groq) CEO 겸 창립자 탄수샨(Tan Shu Shan)DBS 그룹(DBS Group) 이사 겸 CEO 리처드 텅(Richard Teng)바이낸스(Binance) CEO 이들 경영자들 외에 이반 두케 마르케스(Iván Duque Márquez) 전 콜롬비아 대통령, 마테로 렌치(Matteo Renzi) 현 이탈리아 상원의원 겸 전 총리, 레이 달리오(Ray Dalio)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 창립자 등 글로벌 정책 및 경제 분야 리더들과 함께 참석해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아나스타샤 니르코프스카야(Anastasia Nyrkovskaya) 포춘 미디어 CEO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역사적인 글로벌 비즈니스 변혁의 중심에 서 있다"라며 "신속한 경제 다각화, 전략적 투자, 미래에 대한 비전에 힘입어 사우디아라비아는 무역, 혁신, 투자 분야의 중요한 교차로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기반 기업과 글로벌 기업 모두에게 중동 지역과의 협력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라 장기적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면서 "리야드에서 처음 개최되는 포춘 글로벌 포럼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글로벌 경제의 미래를 형성해 나갈 수 있게 기여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강조했다. 파흐드 알-라시드(Fahd Al-Rasheed) 사우디 전시컨벤션청(Saudi Conventions & Exhibitions General Authority) 의장은 "오늘날 리야드는 비즈니스 리더들이 미래를 구상하는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했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포춘 글로벌 포럼 주최로 성장, 혁신, 협력을 주제로 한 글로벌 대화의 중심에 서 있음을 재확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앨리슨 숀텔(Alyson Shontell) 포춘 편집장 겸 최고 콘텐츠 책임자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기술 가속화, 예측 불가능한 지정학적 변화, 세대별 인구 구조 변화로 정의되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포춘 글로벌 포럼이 민간과 공공 부문 CEO와 리더, 혁신가 및 비전가를 리야드에 모을 수 있어 자랑스럽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2025년 역동적인 문화적·경제적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우리는 글로벌 비즈니스의 다음 장을 써 내려갈 중요한 대화와 거래를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 글로벌 포럼 프로그램은 수상 경력이 있는 포춘 기자들이 진행하며, 포춘 500(Fortune 500)과 포춘 글로벌 500(Fortune Global 500) 리스트에 대한 연중 보도를 바탕으로 기획된다. 포럼의 공동 의장은 다이앤 브래디(Diane Brady) 포춘 라이브 미디어(Fortune Live Media) 총괄 편집 이사, 클레이 챈들러(Clay Chandler) 포춘 아시아 총괄 편집장, 맷 하이머(Matt Heimer) 포춘 특집 기사 총괄 편집장, 앨리슨 숀텔 포춘 편집장 겸 최고 콘텐츠 책임자가 맡는다. 이들에 크리스틴 스톨러(Kristin Stoller) 및 엘리 오스틴(Ellie Austin) 포춘 라이브 미디어 편집 이사, 제레미 칸(Jeremy Kahn) 포춘 AI 편집장, 피터 반햄(Peter Vanham) 포춘 리더십 편집 이사가 합류하며, 특별 게스트 호스트로 저널리스트이자 국제 뉴스 특파원인 할라 고라니(Hala Gorani)와 누르 누갈리(Noor Nugali) '아랍 뉴스(Arab News)' 부편집장이 함께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과 전체 일정은 이곳 행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포춘 글로벌 포럼 소개: 포춘 글로벌 포럼은 1995년부터 포춘의 편집자들이 글로벌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최전선에 있는 주요 도시들에서 개최해왔다. 이 포럼에는 전 세계 최대 규모 다국적 기업들의 회장, 사장, CEO 등 전 세계 산업에서 두루 활동하는 기업 리더들이 모인다. 포춘 글로벌 포럼의 참가는 오로지 초대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포춘 글로벌 포럼은 1995년부터 지금까지 뉴욕시, 아부다비, 파리, 토론토, 광저우, 로마, 샌프란시스코, 청두, 케이프타운, 뉴델리, 베이징, 워싱턴 D.C., 홍콩, 상하이, 부다페스트, 방콕, 바르셀로나, 싱가포르 등에서 열렸다. 포춘 소개포춘은 비즈니스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수상 경력에 빛나는 신뢰도 높은 보도와 정보를 기반으로 성장한 글로벌 멀티 플랫폼 미디어 회사이다. 포춘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전 세계 최대 규모의 기업과 리더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비즈니스를 발전시키는 새로운 세대의 혁신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포춘은 디지털과 인쇄 매체를 통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전 세계 여러 지역의 기업에서 책임을 묻는다. 포춘 500대 기업(Fortune 500),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Fortune Global 500),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Most Powerful Women],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World's Most Admired Companies) 등 상징적인 순위를 선정하고 있다. 포춘은 포춘 글로벌 포럼(Fortune Global Forum)과 브레인스톰 테크(Brainstorm Tech) 등 독점적인 서밋과 콘퍼런스를 위해 업계 사고 리더들을 모아 세계적 수준의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fortune.com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문의 패트릭 레일리(Patrick Reilly) (글로벌)patrick.reilly@fortune.com 첼시 허드슨(Chelsea Hudson) (미국)chelsea.hudson@fortune.com APCO (사우디아라비아)FortuneMedia@apcoworldwide.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167808/Fortune_Media_Logo.jpg?p=medium600

2025.08.26 01:10글로벌뉴스

홀리랜드, 글로벌 크리에이터 중국으로 초청…기술•창의성 문화 교류 투어 개최

선전, 중국 2025년 8월 25일 /PRNewswire/ -- 무선 제품•솔루션 분야 선도기업 홀리랜드(Hollyland)가 '위커넥트 2025(WeConnect 2025)' 브랜드 데이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전 세계 30명 이상의 크리에이터를 중국으로 초청해 5일 동안 기술과 창의성을 통해 문화를 교류하는 투어를 진행한다. 홀리랜드는 지난 7년간 500만 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스토리텔러에서 인정받는 인플루언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왔다. 올해 기념행사는 '연결(CONNECTION)'을 주제로, 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을 연결하고 국경과 언어를 초월한 협업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Hollyland Brings Global Creators to China for Cross-Cultural Tech and Creativity Tour 문화 교류와 기술적 영감의 여정 8월 27일부터 31일까지 5일간 홀리랜드의 선전 본사에서 오픈 데이(Open Day)로 막을 올리는 이번 중국 투어는 행사 참가자에게 선전의 혁신적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실습형 라이브 스트리밍 워크숍과 동료 크리에이터들과의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홀리랜드의 역사와 연구개발(R&D) 분야 강점을 알아보는 시간도 갖게 된다. 8월 28일 문화의 날(Culture Day)에는 유명한 '8D 마법 도시' 충칭으로 이동해 현지 전통을 체험하고 정통 훠궈 요리를 맛보며 활기찬 '촬영 자원 확보 경쟁'에 참여한다. 29일 판다 데이(Panda Day)에는 자이언트 판다와의 만남, 문화 공연이 곁들여진 찻집 전통 체험, 래플스 시티 충칭의 탐험 데크(Exploration Deck)에서 즐기는 도시의 스카이라인 전망을 통해 충칭의 독특한 매력을 만끽할 수 있다. 30일 크리에이티브 데이(Creative Day)에는 충칭의 유명한 '8D' 거리를 활기차게 탐방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탐방은 조명이 켜진 도심 위에서 펼쳐지는 화려한 드론 쇼로 마무리된다. 또한 전통 마사지와 스파 체험을 통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순간도 준비되어 있다. 여정은 31일 '기념의 날(Celebration Day)'로 마무리된다. 참가자들은 이날 공유 추억 앨범을 제작하고, 보물찾기 모험을 떠나고, 별이 비치는 밤 크루즈를 타고 강 위를 항해하고, 도시의 반짝이는 야경을 배경으로 작별 만찬을 즐기게 된다. 차론 리우(Charon Liu) 홀리랜드 브랜드 매니저는 이렇게 말했다. "지난 10년간 홀리랜드는 단순히 창의적 도구를 제공하는 업체 이상으로 성장했다. 우리는 수백만 명의 크리에이터들에게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로 부상했다. 우리는 전 세계 영화 제작자 및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그들이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도전이 카메라 기술이나 촬영 기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깨달음을 바탕으로 위커넥트 이니셔티브는 우리와 함께 성장해온 사용자 커뮤니티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영감을 자극하고, 모든 독특한 목소리가 경계를 넘어 전 세계에서 전파될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소리, 이야기, 협업을 통해 전 세계의 창의적 움직임 축하 7월 15일부터 시작된 홀리랜드 위커넥트 2025 행사는 중국 투어 외의 더 넓은 범위로 확장 중이다. 7월 28일부터 9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사운드 뮤지엄(Sound Museum) 프로젝트는 언어와 지리적 경계를 벗어나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의 음성 기반 작품을 수집해왔다. 그 결과 사용자의 사연을 음악으로 변환하는 주제가 연구소(Theme Song Lab)와 함께 이미 3000개 이상의 클립이 전시 중이다. 세 명의 음악가가 이 실제 사연을 바탕으로 트랙을 작곡한 가운데 대중의 투표를 통해 행사 공식 테마곡이 선정될 예정이다. 헬로 월드 영상 공모전(Hello World video contest)은 전통과 기술을 결합해 문화를 초월하여 사람들을 연결하는 순간을 담아내는 크리에이터를 초대한다. 참가자들은 개인적인 시선을 통해 자신이 속한 고향, 문화, 공동체에 대한 시각을 진솔하게 보여주며, 전 세계의 이야기를 담으며 점점 더 커지는 모자이크를 완성한다. 홀리랜드 아카데미 스페셜 버전(Hollyland Academy Special Version)은 지역을 테마로 한 창작 경험을 선보임으로써 회사의 국제 교육•교류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참가자들은 문화 워크숍에 참여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협업하고, 독점적인 보상을 놓고 경쟁할 수 있어 개방적이면서 연결된 글로벌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한다. 신뢰도 높은 기술과 혁신 전략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인정받는 홀리랜드는 도구, 아이디어, 경험을 통해 글로벌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위커넥트 2025는 다시 한번 기술과 문화를 결합해 크리에이터들이 공유하고 배우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목소리를 확대하고, 의미 있는 연결을 촉진해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협업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 링크 참조: https://www.hollyland.com/event/we-connect-2025.

2025.08.26 00:10글로벌뉴스

람다, 슈퍼마이크로의 엔비디아 블랙웰 GPU 서버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AI 팩토리 구축해 대규모 차세대 AI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

슈퍼마이크로의 GPU 최적화 서버로 AI 인프라를 확장해 더 빠른 결과 도출 훈련 및 추론을 위한 대규모 AI 팩토리를 사상 최단기간 내 구축 슈퍼마이크로의 첨단 액체 냉각 기술은 전력 및 냉각 비용을 절감해 에너지 효율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 새너제이, 캘리포니아, 2025년 8월 25일 /PRNewswire/ -- AI/ML, HPC, 클라우드, 스토리지, 5G/엣지 분야의 토털 IT 솔루션 제공업체 슈퍼마이크로 컴퓨터(Super Micro Computer, Inc., 이하 SMCI)가 8월 25일 '슈퍼인텔리전스 클라우드' 람다의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시스템을 포함한 슈퍼마이크로 GPU 최적화 서버 포트폴리오 도입으로 AI 인프라를 확장하고 고객에게 고성능 시스템을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6월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의 콜로직스(Cologix) COL4 ScalelogixSM 데이터센터에서 협력을 시작하면서 중서부 지역에 기업용 AI 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Lambda Builds AI Factories with Supermicro and NVIDIA Blackwell GPUs 슈퍼마이크로의 빅 말랼라(Vik Malyala) 기술•AI 부문 수석 부사장은 "AI 인프라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람다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폭넓은 GPU 최적화 서버는 람다와 같은 선도 기업들이 복잡한 AI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하고 유연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supermicro.com/en/success-story/lambda에서 확인할 수 있다. 람다는 고객의 고성능 서버 수요 증가에 발맞춰 슈퍼마이크로의 다양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NVIDIA HGX B200 기반의 SYS-A21GE-NBRT, NVIDIA HGX H200 기반의 SYS-821GE, SYS-221HE-TNR 등이 포함된다. 주요 특징으로는 방대한 AI 훈련•추론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슈퍼마이크로 AI 슈퍼클러스터와 NVIDIA GB200 및 GB300 NVL72 랙의 통합을 들 수 있다. 람다의 켄 패쳇(Ken Patchett) 데이터센터 인프라 부문 부사장은 "람다는 세계 유수의 AI 연구소, 기업, 하이퍼스케일러를 위해 기가와트 규모의 훈련 및 추론용 AI 팩토리를 구축하며 초지능으로 가는 길을 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고객을 위한 무한 확장형 컴퓨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슈퍼마이크로의 폭넓은 서버 포트폴리오는 현재와 미래의 수요를 충족하는 중요한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람다는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대규모 AI 팩토리와 첨단 냉각 기술을 갖춘 에너지 효율적인 신형 서버를 선보였으며, 차세대 AI 가속기를 사상 최단기간에 대량으로 배포할 수 있는 독창적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크리스 하인리치(Chris Heinrich) 콜로직스 최고수익책임자(CRO)는 "콜럼버스는 제조,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혁신이 빠르게 이뤄지는 허브이며, 콜로직스는 이 지역을 선도하는 코로케이션 및 상호연결 제공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다양한 고용량 광섬유 링으로 연결된 다수의 데이터센터와 지속적인 확장 계획을 통해 AI와 초지능을 뒷받침하는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을 구축하고 있다"며 "슈퍼마이크로의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람다의 성장하는 고객 기반, 콜로직스의 물리적•가상 인프라의 고밀도 상호연결을 통해 콜럼버스와 중서부 전역의 기업들이 경쟁에서 앞서 나가는 데 필요한 초저지연 네트워크, 확장성,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슈퍼마이크로, 람다, 콜로직스는 함께 중서부 지역과 의료, 금융, 제조, 소매, 물류 등 주요 산업 전반에서 빠른 AI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즉시 활용할 수 있는 AI를 가장 신속하게 도입하고, 하이퍼스케일러 환경과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슈퍼마이크로 컴퓨터 소개 슈퍼마이크로(NASDAQ: SMCI)는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토탈 IT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설립되어 운영 중이며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AI, 5G 통신사/엣지 IT 인프라를 대상으로 누구보다도 먼저 혁신 솔루션을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버, AI, 스토리지, IoT, 스위치 시스템, 소프트웨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탈 IT 솔루션 제조사로서 마더보드와 전원, 섀시 설계 전문성을 무기로 개발과 생산을 강화, 클라우드에서 엣지까지 고객에게 차세대 혁신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미국, 아시아, 네덜란드에서 제품을 직접 설계하고 글로벌 영업망을 통해 규모와 효율을 제고하는 한편 최적화를 통해 TCO를 개선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있다(그린 컴퓨팅).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서버 빌딩 블록 솔루션즈®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은 폼 팩터, 프로세서, 메모리, GPU, 스토리지, 네트워크, 전력 및 냉각 솔루션(공조 냉각, 자연 공기 냉각 또는 액체 냉각)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구축된 광범위한 시스템 제품군에서 자신의 특정 워크로드와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제품을 선택해 최적화할 수 있다.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서버 빌딩 블록 솔루션즈(Server Building Block Solutions), We Keep IT Green은 슈퍼마이크로의 상표 또는 등록상표다. 기타 브랜드, 명칭 및 상표는 해당 소유자의 자산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4024/Supermicro_Lambda.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443241/Supermicro_Logo.jpg?p=medium600

2025.08.25 23:10글로벌뉴스

롯데홈쇼핑, 압구정서 해외 패션 '아프트' 팝업 스토어 열어

롯데홈쇼핑(대표 김재겸)은 내달 4일까지 압구정에서 해외 패션 온라인 편집숍 '아프트(APTE)' 팝업 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아프트'는 지난 4월 오픈한 큐레이션 형태의 글로벌 패션 온라인 편집숍이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부터 해외 패션 브랜드의 판권을 인수해 국내에 유통하는 수입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프랑스 아웃도어 브랜드 'AIGLE(에이글)'을 비롯해 8개의 해외 브랜드를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아프트'는 롯데홈쇼핑이 유통 중인 해외 브랜드를 한데 모은 큐레이션형 온라인 편집숍으로, 단순한 판매 채널이 아닌 글로벌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소비자와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오픈 이후(25.4~8) 주문액은 월평균 3배 이상 성장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서울 압구정 갤러리아명품관 웨스트에서 진행되는 이번 팝업은 온라인에서만 경험할 수 있었던 '아프트'를 오프라인 현장으로 확장해, 고객들이 직접 상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프랑스 레인웨어 브랜드 '플로트' ▲프랑스 시계 브랜드 '랩스' ▲비건 패션 브랜드 '아파리' ▲핸드메이드 슈즈 브랜드 '보사보' ▲패브릭 브랜드 '무아몽' 등 5개 브랜드의 의류, 잡화 120여 종을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구매금액별로 '플로트' 토트백(10만원 이상), '무아몽' 미니백(30만원 이상), '랩스' 시계(50만원 이상) 등 사은품도 증정한다.

2025.08.25 18:35안희정

누리하우스, 뉴욕 'K뷰티 부스트' 프라이빗 행사 성료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커머스 원스톱 플랫폼 기업 누리하우스(대표 백아람)가 개최한 'K뷰티 부스트 인 뉴욕2025'의 B2B, 미디어 행사에 글로벌 유통사를 포함해 400여명의 크리에이터 및 관계자들이 참여해 성황리에 치러졌다고 25일 밝혔다. 미국 동부 현지 시각으로 지난 21일 시작한 이번 행사는 'It's Time for K-Culture 2025: Seoul Beauty Metro' 미디어 & 크리에이터 데이를 시작으로, K뷰티 브랜드와 미국 현지 바이어와 유통사들이 참여하는 B2B 행사가 이어졌다. 일반 관객들을 대상으로 한 퍼블릭 행사를 앞두고 열린 프라이빗행사임에도 400여명이 참석하며 기대감을 더했다. B2B 행사에는 세포라, 메이시스, 월마트 등 미국 주요 유통사뿐 아니라 북미 전역의 홀세일 디스트리뷰터, 독립 편집숍운영자 등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해 K-뷰티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특히, 글로벌 B2B 이커머스 플랫폼 'SEOUL4PM'을 운영하는 메이코더스(대표 최새미)가 공동 초청 파트너로 참여하여 북미 중소 리테일 바이어들을 연결했다. 빌리프, 클리오, 센텔리안24, 한스킨, 닥터슈라클, 라카, 아포테, 프롬더스킨, 랩스, 퓨어에이엠, 리솔츠, 오리엔 등 총 12개 브랜드 전시 공간과 함께, 4층에 마련된 별도의 비즈니스 미팅룸에서는 수출 상담과 미팅이 활발히 진행됐으며, 사전 신청을 통해 수십 건의 브랜드별 1:1 미팅이 성사됐다. 10년 이상 북미에서 활동하며 20여 개 브랜드를 유통해 온 한 유통사 관계자는 “이처럼 수준 높은 K-뷰티 브랜드 전시와 정제된 비즈니스 상담이 동시에 이뤄지는 사례는 드물다”며, “브랜드들의 준비도와 전시 완성도, 바이어 참여도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메이코더스 최새미 대표는 “북미 고객들의 K-뷰티에 대한 열기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며 “향후 이 협업 레퍼런스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누리하우스 백아람 대표는 “앞으로의 K-뷰티는 마케팅, 수출, 커머스가 따로 움직이는 시대는 지났다. 이 세 가지가 통합적으로 연결되는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누리하우스는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K-뷰티 브랜드의 성장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안착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25 18:15안희정

한국글로벌보건포럼, 게이츠재단 회장과 간담회

한국글로벌보건포럼 원희목 이사장은 지난 21일 오후 트레버 문델 게이츠재단 글로벌 보건부문 회장과 간담회를 갖고 상호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국글로벌보건포럼은 한국의 글로벌 보건분야 기여 증대와 사업적 기회 확대 환경 조성 등을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와 유바이오로직스, 신풍제약 등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원사를 비롯한 국내 의약품·의료기기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원희목 이사장은 간담회에서 “빌 게이츠 이사장과 함께 방한해 2박 3일간의 빠듯하고 바쁜 일정에도 간담회를 마련한 트레버 문델 회장에게 감사드린다”며 “한국글로벌보건포럼은 한국 정부와 국회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등 다자기구에 적극 협력하고 국내 기업들의 국제 공공조달(ODA) 참여 기회를 넓혀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레벌 문델 회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한국 정부와 산업계가 글로벌 보건 분야에서 한국의 기여를 강화하고자 하는 의지와 역량을 갖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유망 기업들의 추가적인 ODA 참여와 한국 정부의 다자기구 기여 확대라는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포럼에서 더 큰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2025.08.25 17:09조민규

투비소프트, 베트남 FPT와 로우코드 플랫폼 글로벌 확산 '맞손'

투비소프트가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한 탄탄한 교두보를 구축했다. 투비소프트는 베트남 최대 IT 서비스 기업 FPT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11일 서울에서 열린 한·베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2030년까지 교역 1천500억 달러(약 207조원) 달성을 목표로 협력 심화를 확인한 직후 이뤄졌다. 또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첨단 IT 산업 협력 강화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북미 현지 법인을 보유한 투비소프트와 FPT는 이번 정상회담이 글로벌 사업 확대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FPT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88개 이상의 지사와 약 5만4천 명의 임직원을 보유 중이다. 130여 개 포춘 글로벌 500 기업과 협력하고 있으며 기술·통신·교육을 3대 핵심 사업 영역으로 두고 있다. 한국에서는 서울·마곡·판교·대구에 지사를 운영하며 자동차·제조·물류·이커머스·헬스케어 등 주요 산업군에서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또 전 세계적으로 5천 명 이상의 로우코드 개발자를 보유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유지보수 전 과정에서 전문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투비소프트는 FPT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로우코드 전문성을 활용해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시장 진출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FPT는 투비소프트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시장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델을 고객에게 선도적으로 제시한다는 목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투비소프트 플래그십 제품 '넥사크로'의 해외 판매 본격화 ▲국내외 시스템 통합(SI) 프로젝트 공동 수행 ▲개발 중인 AI 기반 로우코드 플랫폼의 북미·동남아·유럽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한다. 양사는 제품 유통, 프로젝트 수행, 현지 고객 지원을 긴밀히 연계하며 로우코드 플랫폼의 초기 확산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이다운 투비소프트 사장은 "FPT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우리의 로우코드 기술력을 결합해 해외 영업과 유통을 동시에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양사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고객에게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와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풍 비엣 하 FPT소프트웨어 로우코드 부문장은 "투비소프트의 넥사크로와 AI 로우코드 플랫폼은 글로벌 디지털 전환 수요에 적합한 솔루션"이라며 "우리의 글로벌 거점, 로우코드 전문성, 베스트-쇼어 딜리버리 모델과 결합해 고객 가치 실현 속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2025.08.25 16:33한정호

  Prev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2인자 물러나고 '이재용의 삼성' 개막…후속 인사에 쏠린 눈

"AI 악용 공격은 '뉴노멀'…국가 배후 사이버 위협도 지능화"

[체험기] 로봇이 알려준 걷기의 힘…'윔 S' 입어보니

법원, '위메프' 파산 선고…"청산 가치 더 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