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배터리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글로벌'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446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첫 미국 행사 대호황...스포츠, 비즈니스, 문화, 정치 유력 인사 대거 참석

카세야 센터 매진 사례 속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 찬조 연설도 주요 연사: 제프 베조스(Jeff Bezos), 리오넬 메시(Lionel Messi),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President Javier Milei), 토니 로빈스(Tony Robbins), 세레나 윌리엄스(Serena Williams),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켄 그리핀(Ken Griffin),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María Corina Machado), 스테파노 도메니칼리(Stefano Domenicali), 지아니 인판티노(Gianni Infantino), 리마 반다르 알 사우드 HRH 대사(HRH Ambassador Reema Bandar Al-Saud), 에릭 슈미트(Eric Schmidt),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패트릭 베-데이비드(Patrick Bet-David), 아담 뉴먼(Adam Neumann), 파사드 알사이프(Fahad Alsaif) 마이애미, 2025년 11월 11일 /PRNewswire/ --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마이애미(America Business Forum: Miami)가 11월 5~6일 전 세계 스포츠, 정치, 비즈니스, 문화 분야 유력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카세야 센터에서 열렸다. 이 날 행사는 전석 매진되었으며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다. 연사들은 "미국에서 만나는 세계"라는 주제로 산업과 국경을 초월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비즈니스와 문화, 지정학의 미래를 함께 설계했다. 프란시스 수아레즈(Francis Suárez)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회장은 "제1회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마이애미가 글로벌 리더와 전 세계인을 연결하는 특별한 행사"였다며 "저명한 연사 여러분과 스폰서, 그리고 함께 역사를 만드는 데 동참해 주신 참석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그나시오 곤잘레스(Ignacio Gonzalez)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설립자는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마이애미는 스포츠와 비즈니스, 정치, 문화의 발전에 필요한 의제를 설정했다"며 "카세야 센터의 에너지는 강렬했다. 전 세계를 이끄는 인사들이 미래를 보는 혜안을 공유하고,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조언을 나눴기 때문이다. 세계 최고 리더들을 마이애미에서 한 무대에 모시게 되어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 진행은 폭스 뉴스(Foxt News)의 브렛 베이어가 맡았으며 PIF가 스폰서로 참여했다. 연사 하이라이트 도널드 J. 트럼프 제45대, 47대 미국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제프 베조스 아마존 및 블루 오리진 설립자 리오넬 메시 세계적 축구 스타 라파엘 나달 세계적 테니스 스타 겸 기업가 토니 로빈스 미국 최고 인생 비즈니스 전략가 세레나 윌리엄스 프로 운동선수 겸 기업가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회장 겸 CEO 켄 그리핀 시타델 설립자 겸 CEO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2025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스테파노 도메니칼리 F1 사장 겸 CEO 지아니 인판티노 FIFA 회장 리마 반다르 알 사우드 주한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에릭 슈미트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회장 겸 CEO, 전 Google 회장 겸 CEO 스티브 위트코프 위트코프 그룹 설립자 겸 CEO, 미국 중동 특사 패트릭 베트-데이비드 밸류테인먼트 팟캐스트 호스트 아담 노이만 위워크, 플로우 공동창업자 파하드 알사이프, PIF 투자 전략 및 경제 인사이트 책임자 SNS 서비스:Instagram: @AmericaBusinessLinkedIn: 아메리카 비즈니스www.americabusiness.com 사진은 편집용으로만 사용 가능2025년 11월 5일 2025년 11월 6일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 소개: 아메리카 비즈니스 포럼은 정부, 비즈니스, 문화를 통틀어 세계에서 손꼽히게 영향력 있는 인사들이 모여 인사이트를 나누는 정상급 글로벌 행사다. 대화와 영감, 실천을 통해 개인과 조직이 혁신을 통해 미래를 창조해 나아갈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2025.11.11 05:10글로벌뉴스

사우디아라비아, 11월 22일 제11차 최빈국 장관급 회의 개최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11월 11일 /PRNewswire/ -- 사우디아라비아는 11월 22일 '포용적 산업화 추진: 최빈국에서의 투자•혁신•파트너십(Advancing Inclusive Industrialization: Investment, Innovation, and Partnerships in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을 주제로 열리는 제11차 최빈국 장관급 회의(11th Least Developed Countries•LDCMC11)를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유엔공업개발기구(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UNIDO)가 산업광물자원부(Ministry of Industry and Mineral Resources)와 협력해 주최하는 이번 회의는 리야드에서 개최되는 UNIDO 제21차 총회에 앞서 열릴 예정이다. Infographic about LDCMC11 이번 회의는 세계 최빈국들의 산업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주요 글로벌 플랫폼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카리브해 지역의 44개국을 지원하는 국제사회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자리다. 회의는 ▲최빈국들의 자금 조달 접근성을 확대하고 ▲지식과 기술 교류를 촉진하고 ▲무역 활성화를 통해 이들이 지역 및 글로벌 가치사슬에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의는 투자와 금융, 혁신, 전략적 파트너십이라는 세 가지 주요 축을 중심으로 포용적 산업화를 가속화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최빈국 내 지속가능한 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자본을 동원하는 혁신적인 금융 메커니즘을 모색하는 한편, 개발 금융 기관과 다자간 은행의 역할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최빈국 지위에서 벗어나기 위한 '변혁적 산업 정책'에 관한 대화도 의제에 포함되어 있다. 최빈국에서 산업 다각화, 부가가치 창출, 기술 업그레이드를 촉진하는 미래 지향적 산업 정책의 설계와 실행 방안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도 펼쳐질 예정이다. 회의는 '혁신을 통한 진보를 위한 연대(Uniting for Progress by Innovation)'라는 제목의 고위급 세션으로 시작해 지속가능한 투자를 유치하고 혁신 생태계를 육성하며 포용적 산업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 지원 환경 조성 방안에 관한 고위급 장관급 대화로 이어진다. 고위급 장관급 대화에서는 남남협력, 지역통합, 공공과 민간 동맹의 역할을 강조하며 국가적 우선순위와 글로벌 기회의 시너지 효과를 탐구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에서는 민간 부문, 각국 정부, 개발 파트너가 함께하는 상호 토론 세션이 진행되며, 전문가와 정책 입안자들의 참여도 이뤄진다. 이러한 논의들은 효과적인 파트너십 구축, 기술 이전 지원, 그리고 가장 취약한 국가들의 지속가능한 산업 투자 촉진을 목표로 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25년 11월 23일부터 27일까지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21차 UNIDO 총회를 주최함으로써 본연의 역할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총회에는 173개 회원국 대표와 정부, 민간 부문, 국제기구의 저명한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 발전 진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로서 사우디아라비아의 핵심적 역할을 공고히 할 것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7998/Future_Minerals_Forum.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817999/Ministry_of_Industry_and_Mineral_Resources_Logo.jpg?p=medium600

2025.11.11 02:10글로벌뉴스

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 리들리 아일랜드 에너지 수출 시설 시공 허가 완료

캘거리, 앨버타주, 2025년 11월 11일 /PRNewswire/ -- 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Gas Liquids Engineering Ltd., GLE)이 리들리 아일랜드 에너지 수출 시설(Ridley Island Energy Export Facility, REEF) 프로젝트의 시공 허가(IFC)를 받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GLE는 배관 설계, 공정 설계, 기계 설계, 전기 설계, 계측 제어 설계, 토목 설계, 구조 설계 등 다양한 공학 분야의 상세 설계와 설계 통합 작업을 수주했다. AltaGas REEF Early Construction (CNW Group/GAS LIQUIDS ENGINEERING LTD.) REEF 프로젝트는 알타가스(AltaGas Ltd.)와 로얄 보팍(Royal Vopak)이 절반씩 투자해 만든 합작법인(Joint Venture) 소유로, 이 프로젝트의 1단계 사업은 2024년 5월에 최종 투자가 결정됐다. 태평양으로 바로 이어지는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한 REEF가 완공되면 캐나다 에너지 제품의 아시아 주요 시장 수출 물량이 증가하고, 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동시에 세계 에너지 무역에서 캐나다의 입지를 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의 프로젝트의 라이언 아놀드(Ryan Arnold) 담당 부사장은 "이 프로젝트는 GLE가 진행한 에너지 수출 및 터미널 사업에 의미심장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이 중대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알타가스를 지원하고, 업계 최고의 제작 및 서비스 전문 기업들과 협력하게 되어 뿌듯하다"라고 말했다. 알타가스의 브렛 스토코위(Brett Stowkowy) 프로젝트 및 엔지니어링 담당 부사장은 합작법인을 대표해 다음과 같은 소감을 전했다. "GLE가 REEF 프로젝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게 되어 진심으로 만족스럽다. REEF는 알타가스와 보팍의 핵심 사업이다. GLE가 맡은 작업을 적시에 마무리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나머지 부분을 원활히 진행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REEF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프린스루퍼트 인근의 리들리 섬에 건립되며, 초기 처리 용량이 프로판과 부탄을 합쳐 하루 약 5만 5000배럴(bbl/d)에 달하는 개방형 LPG 및 액체 벌크 수출 터미널로 설계되었다.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이 시설에 첨단 선적 설비와 충분한 저장 용량을 갖추고, 기존의 철도 및 해상 운송망과 연계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 소개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은 캘거리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 석유, 가스 및 에너지 기반 시설 프로젝트를 전문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이다. GLE는 1987년 창립 이후 천연가스 처리, 액체 취급 및 수출 시설에 이상적인 종합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www.gasliquids.com 미디어 문의: 케이틀린 플린(Caitlin Flynn), 가스 리퀴드 엔지니어링 사업 개발부, 전화: +1 (403) 250-2950, 이메일: info@gasliquids.com AltaGas REEF (Ridley Energy Export Facility) (CNW Group/GAS LIQUIDS ENGINEERING LTD.) www.gasliquids.com (CNW Group/GAS LIQUIDS ENGINEERING LTD.)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6554/GAS_LIQUIDS_ENGINEERING_LTD__Gas_Liquids_Engineering_Completes_I.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6555/GAS_LIQUIDS_ENGINEERING_LTD__Gas_Liquids_Engineering_Completes_I.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6553/GAS_LIQUIDS_ENGINEERING_LTD__Gas_Liquids_Engineering_Completes_I.jpg?p=medium600

2025.11.11 01:10글로벌뉴스

DXC, 런던광역경찰청의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 주도 업체로 선정

애쉬번, 버지니아주, 2025년 11월 10일 /PRNewswire/ -- 글로벌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 NYSE: DXC)가 10일 영국 최대 경찰 조직인 런던광역경찰청(Metropolitan Police Service, 영어 약칭 'Met')에 BPO 서비스와 ERP 및 RM 교체 시스템을 제공할 마스터 벤더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7+1+1년 계약으로, 경쟁 입찰 과정을 거쳐 DXC가 최종 수주했다. BPO와 ERP 및 RM은 각각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을 의미한다. DXC는 교체용 ERP 및 RM 시스템을 제공해 런던광역경찰청의 자원 배치 방식을 현대화하고, 특정 인사, 상업, 재무 서비스의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런던광역경찰청은 이제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별 요구와 우선순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내부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고 상당한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혁신은 또한 부서 간 협업을 강화하고, 투명성을 제고하고, 기술 투자가 현장 경찰 업무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도록 할 것이다. 마리 헤라클레우스(Marie Heracleous) 런던광역경찰청 최고비즈니스서비스책임자는 이렇게 말했다. "DXC는 우리가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계획해 관리하고, 기술을 현대화하고, 비용을 줄이고, 경찰관들이 현장 경찰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지원함으로써 '런던을 위한 새로운 런던광역경찰청(New Met for London)' 전략을 실현할 변화의 여정을 이어갈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DXC가 가장 우수한 입찰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향후 몇 년간 DXC와 협력하여 런던광역경찰청을 현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계약은 DXC와 런던 시장실 경찰범죄청(London's Mayor's Office for Policing and Crime•MOPAC) 간에 체결됐다.  이번 협력은 경찰관을 돕고, 공공 신뢰를 향상시키는 더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MOPAC의 의지를 잘 보여준다. 디렉터 데릭 앨리슨(Derek Allison) DXC UKI 매니징 디렉터는 이렇게 말했다. "DXC는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이러한 변화를 위해 런던광역경찰청과 협력해 '런던을 위한 새로운 런던광역경찰청' 전략을 실현하고 긍정적 영향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현대화된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다. 우리는 전문적인 실행 파트너들과 함께 (오라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소프트웨어 서비스 플랫폼(SaaS)인) 오라클 퓨전 SaaS(Oracle Fusion SaaS) 및 AI 역량과 '운영 경찰 업무를 위한 전략적 인력 관리 솔루션(Strategic Workforce Management for Operational Policing)을 결합하고 있다. 우리는 런던광역경찰청뿐만 아니라 그들이 보호하고 봉사하는 런던 전역의 시민과 지역사회를 위해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영국을 포함 전 세계 공공 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온 DXC의 풍부한 경험이 이 프로그램의 초석이 되었다. DXC는 런던광역경찰청의 기술 환경 일부를 간소화하여 현장 운영 전반의 성능 향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분야에서 DXC가 확보한 위상은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 마켓스케이프(IDC MarketScape)로부터 인정받았다. IDC 마켓스케이프는 혁신성, 공공 부문 전문성, 책임감 있는 소버린 AI 솔루션에 대한 헌신에 주목하며, DXC를 '전 세계 국가 민간 정부 부문 AI 서비스 분야 리더(Leader in Worldwide AI Services for National Civilian Government)'로 선정했다. DXC 테크놀로지 소개DXC 테크놀로지(NYSE: DXC)는 정보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여러 기업의 신뢰받는 운영 파트너로서, 산업과 기업의 발전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DXC의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술 전문가들은 고객의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단순화•최적화•현대화하고, 핵심 업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AI 기반 인텔리전스를 비즈니스 운영에 통합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보안과 신뢰를 비즈니스의 중심 가치로 두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dx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문의: 안젤레나 아바테(Angelena Abate), 미디어 관계 담당, DXC 테크놀로지, +1-646-234-8060, angelena.abate@dxc.com

2025.11.10 20:10글로벌뉴스

하이브 "적자는 단기 비용 탓...글로벌 경쟁력 견조"

하이브가 올해 3분기 단기적 비용 증가로 적자 전환했지만, 멀티 레이블·멀티 장르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했다.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구조적 개선을 일관되게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10일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결과(적자)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투자와 해외 사업 재편에 따른 단기적 비용 증가의 영향”이라며 “본질적 경쟁력은 견조하다"고 말했다. 이날 하이브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보다 37.8% 늘어난 7천27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 422억원을 기록하면서 적자전환됐다. 이번 컨퍼런스콜에서 하이브는 음반, 공연, 플랫폼, 게임, 북미·라틴아메리카 사업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인 글로벌 확장 전략과 주요 성과를 구체적으로 공개했다. 먼저 세븐틴, 세라핌, 보이넥스트도어 등 핵심 아티스트들의 활동은 여전히 글로벌 시장에서 두드러졌다. 세븐틴의 스페셜 유닛 '에스쿱스X민규'는 미니 1집 HYPE VIBES로 발매 첫 주 약 89만장을 판매하며 K팝 유닛 앨범 최다 판매량 신기록을 세웠다. 이 대표는 “멤버 군 입대로 완전체 활동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유닛 활동이 팬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고 설명했다. 르세라핌은 싱글 '스파게티'로 빌보드 핫100 차트 50위에 오르며 자체 최고 기록을 세웠고, 영국 오피셜 차트와 스포티파이 글로벌 차트에서도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 보이넥스트도어 역시 미니 5집 '더 액션'으로 초동 104만 장을 판매하며 3연속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신인 코르티스의 성과도 두드러졌다. 데뷔 앨범 초동 44만 장으로 올해 데뷔 신인 중 판매 1위, 역대 K팝 데뷔 앨범 기준 4위를 기록했다. 이 대표는 “코르티스는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영 크리에이터 크루”라며 “빌보드 200 차트 15위 데뷔, 스포티파이 누적 1억 스트리밍 돌파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공연 부문에서도 글로벌 티켓 파워가 확인됐다. 방탄소년단 진은 6월부터 11월까지 10개 도시 20회 팬 콘서트로 33만 명을 동원했으며, 유럽 투어에서는 한국 솔로 아티스트 최대 수익을 기록했다. 세븐틴은 아시아, 북미, 일본 등으로 투어를 확장 중이며,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는 '액트 투모로' 투어를 통해 서울·미국·일본 등에서 글로벌 팬덤과의 접점을 넓혔다. 엔하이픈은 18개 도시 32회 공연으로 67만6천 명을 동원했고, 르세라핌은 북미 투어 전석 매진에 이어 일본 도쿄돔 무대에 선다. 이재상 대표는 “하이브의 멀티홈·멀티장르 전략은 아티스트 IP의 제작과 소비가 국경을 넘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 기반 엔팀은 한국 데뷔 앨범 '백 투 라이프' 발매 첫날 114만 장을 판매, 한일 양국 차트를 동시에 석권하며 일본 아티스트 최초 양국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다. 또 다른 글로벌 사례로 캣츠아이의 성과가 주목받았다. 캣츠아이는 데뷔 2년 만에 그래미 어워즈 본상인 베스트 뉴 아티스트와 베스트 팝 듀오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오르며 'K팝 제작 방식의 서구 시장 성공적 이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캣츠아이는 빌보드 핫100 차트 37위, 누적 11주 진입을 기록했으며, 13개 도시 규모의 첫 북미 투어는 전석 매진됐다. 이 대표는 “이는 하이브의 글로벌화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졌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라며 “서구 시장에서도 제작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자신했다. 플랫폼 부문에서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가 올해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이 대표는 “디지털 멤버십과 광고 등 정기 매출 구조의 확장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와 주요 아티스트 성장으로 내년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아티스트의 위버스 활용도도 늘고 있다. 카와이 랩과 요아소비 등이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QQ뮤직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티몰에 브랜드샵을 열어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도 했다. 이경준 하이브 최고재무책임자는 "새로운 시장과 장르에 대한 도전 속에서도 주주 여러분의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더 단단한 사업 구조를 만들어 가기 위한 변화들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는 방탄소년단의 완전체 활동을 비롯한 주요 아이돌의 컴백, 성장 초기 단계인 신인 IP들의 본격적인 수익화, 그리고 구조 개선을 마친 북미 사업의 안정적인 레이블, 수입 기반 등이 점차 실적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이브는 변동성을 줄이고 예측 가능한 실적 구조를 갖춘 글로벌 음악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사업 운영과 균형 잡힌 자원 배분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11.10 18:22안희정

하이브, 3Q 매출 역대 최대...투자·일회성 비용 탓에 적자

하이브가 월드투어 흥행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거뒀다. 그러나 글로벌 아티스트 IP 확대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 등 공격적 투자가 겹치며 적자를 기록했다.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천272억원으로, 전년 동기비 37.8% 늘어났다고 10일 밝혔다. 지금까지 분기 최고 매출로 기록됐던 2024년 4분기 실적(7천264억원)을 초과했다.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투자와 일회성 비용 지출로 422억원 손실을 봤다. 3분기 직접 참여형 매출은 4천77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66%를 차지했다. 방탄소년단 진의 글로벌 솔로 투어를 비롯해,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엔하이픈의 월드투어 등 대규모 공연이 전세계 팬들에게 사랑받으며 공연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성장한 2천450억원을 기록했다. 아티스트의 컴백이 비교적 적었던 영향으로 음반원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1천898억원이었다.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매출 등 간접 참여형 매출은 2천4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나타낸 MD 및 라이선싱 부문 매출은 1천683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MD 매출 호조는 아티스트 투어 활동에 따른 투어 MD와 응원봉, 지식재산권(IP) 기반 캐릭터 상품의 판매가 견인했다. 하이브의 핵심 성장 전략인 멀티 홈·멀티 장르는 글로벌 시장에서 구체적 성과로 입증되고 있다. 글로벌 걸그룹 캣츠아이의 '가브리엘라'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7위까지 오르며 자체 최고 순위를 경신했고, '날리' 또한 해당 차트에 재진입하며 누적 11주 차트인을 달성했다. 캣츠아이는 제68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Best New Artist'와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두 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새로운 역사를 써가고 있다.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3천300만 명을 돌파해, 현재 기준 K-팝 방식을 기반으로 한 아티스트 중 최고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성장세를 바탕으로 캣츠아이는 북미 13개 도시, 16회 규모의 첫 글로벌 투어를 시작할 예정이며, 현재 전 회차가 매진됐다. 캣츠아이와 동일한 레이블 소속의 4인조 자매 그룹이 현재 글로벌 오디션을 통해 최종 멤버 구성을 진행 중이며, 내년 봄 일본 OTT 플랫폼을 통해 이 과정을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도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하며 선전했다. 디지털 멤버십, 광고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 도입에 따른 성과다. 위버스는 18일 중국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에 프라이빗 채팅 서비스 '위버스 DM' 을 오픈하며 이용자 접점을 늘려갈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 위버스는 ▲방탄소년단의 활동 재개 ▲주요 아티스트들의 성장에 따른 이커머스 부문 매출 확대 ▲위버스 자체 디지털 사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티스트 IP 확대를 위한 신규 투자로는 우선 한국에서 보이그룹 코르티스가 성공적으로 데뷔하며 차세대 글로벌 스타의 등장을 예고했다. 남미에서는 동명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5인조 보이그룹 산토스 브라보스가 선발됐으며, 라틴 밴드 오디션 '파세 아 라 파마'를 거쳐 하이브 라틴 아메리카 산하 레이블 시엔토 레코즈 소속 밴드 무사가 데뷔했다. 최종 결승 진출 팀인 데스티노와 프로그램 방영 당시 높은 인기를 얻었던 로우 클리카도 데뷔를 준비 중이다.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들에 따른 마케팅 및 콘텐츠 제작비 등 초기 투자 집행으로 이번 분기 영업이익률이 약 6%p 하락했다. 이경준 하이브 최고재무책임자는 “다수의 팀이 데뷔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수익성이 저하됐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팬덤 확장과 수익 기반 안정화를 통해 하이브의 성장 구조가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도 영업이익률에 약 6%p 수준의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이브는 북미 시장 내 사업의 수익성과 운영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매니지먼트 중심에서 레이블 중심의 IP 통합 비즈니스 체계로 전환 중이다. 내년부터는 구조 개편 효과와 함께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로 인한 북미 사업 손익 구조가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핵심인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건하다”면서 “수익성 부담 요인들이 올해 4분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수익 구조 개선이 본격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내년부터는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 및 K-팝 아티스트 성장 가속화와 멀티 홈·멀티 장르 전략의 성과 확대, 위버스의 안정적 흑자 유지 등을 핵심 축으로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2025.11.10 16:44안희정

웹케시-싸이버로지텍, 베트남 시장 디지털 전환 '맞손'

웹케시글로벌이 베트남 기업의 재무·물류·운영 업무 디지털 전환에 앞장선다. 웹케시글로벌은 싸이버로지텍 베트남 법인과 현지 시장 내 B2B 핀테크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웹케시글로벌의 기업 금융 솔루션과 싸이버로지텍베트남의 해운·물류·항만·제조 전사적자원관리(ERP) 전문 솔루션을 연계해 통합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금흐름·재고·운송·세금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핵심 업무를 실시간으로 연동하고 현지 기업들이 단일 플랫폼에서 재무와 물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웹케시글로벌은 ▲중견·대기업 대상 자금관리 플랫폼 '위CMS' ▲전자세금계산서 및 세무신고 솔루션 '위택스' ▲QR 기반 청구·수납 자동화 서비스 '위빌365'를 중심으로 솔루션 연계를 추진해 기업 금융 업무 효율성과 자동화 수준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싸이버로지텍베트남은 해운·터미널·포워딩·창고 등 공급망 전반에 특화된 솔루션 '오푸스'와 '알레그로' 시리즈를 비롯해 제조 ERP와 글로벌개발센터(GDC) 서비스 제공 역량을 기반으로 기업 운영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한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사는 수작업 중심이었던 현지 기업의 회계·세무 업무를 디지털화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기업 금융 및 운영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문영 싸이버로지텍베트남 법인장은 "웹케시글로벌의 핀테크 솔루션과 우리의 물류 및 ERP 기술이 결합되면 고객사들이 기업 재무와 운영을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준의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베트남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 혁신을 위해 적극적인 협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실권 웹케시글로벌 대표는 "물류·ERP 분야 선도 기업인 싸이버로지텍베트남과의 협력을 통해 베트남 기업들이 자금관리와 세무·물류를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을 마련하게 됐다"며 "이번 협약은 단순한 시스템 연동을 넘어 베트남 B2B 핀테크 시장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5.11.10 16:13한정호

'NRF 2026 APAC', 싱가포르 재개최 확정...소매 혁신의 '다음 단계' 공개

싱가포르 2025년 11월 10일 /PRNewswire/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리테일 리더, 혁신가, 솔루션 제공업체를 위한 대표 행사로 자리 잡은 NRF 2026: 리테일 빅 쇼 아시아태평양 (NRF 2026: Retail's Big Show Asia Pacific, 이하 'NRF 2026 APAC') 행사가 두 차례의 성공적인 개최에 이어 2026년 6월 2일부터 4일까지 싱가포르에서 다시 열린다. 이번 행사는 80개국에서 1만 1천 명 이상의 리테일 전문가들이 모이는 자리로, 3일간 혁신적 학습, 탐구, 네트워킹을 통해 업계 변화를 조망한다. 2026년 행사의 주제인 '더 넥스트 나우(The Next Now)'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거대한 변화의 기로에 서 있음을 반영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향후 10년 내 35억 명의 소비자에 이르며, 중산층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인구 구조 변화는 소비자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리테일 업계의 기술 및 혁신 투자 가속화를 이끌고 있다. NRF 2026 APAC에서 리테일 기업들은 이러한 산업 모멘텀을 수용하고 성공을 위한 기회를 포착할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리프 퀘일(Ryf Quail) 코멕스포지엄(Comexposium) 아시아태평양(APAC) 매니징 디렉터는 "아시아태평양 리테일 산업은 업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전 세계가 이 지역의 다음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며 "이번 NRF 2026 APAC은 '더 넥스트 나우(The Next Now)'라는 주제로, 데이터, 디자인, 디지털 혁신이 어떻게 미래 상거래의 청사진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리테일 혁신의 '다음 단계' 마리나베이샌즈 컨벤션센터(Marina Bay Sands Convention Centre) 2개 층, 총 2만 3천㎡ 규모로 열리는 이번 3일간의 콘퍼런스는 글로벌 최고경영진 11명의 기조연설, 18개 분과 세션, 12개의 초청형 원탁토론으로 구성되며, 리테일 업계를 변화시키는 15개 핵심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에이전틱 AI와 상거래 – AI의 최신 진화 단계 이해 AI가 소매업에 미치는 영향 – 산업 간 경계를 넘는 변화와 조직 혁신 초경험주의(Hyperexperientialism) – 감성 몰입형 브랜딩의 귀환 국경 간 상거래 – 복잡성의 집약체 올해 새롭게 선보이거나 확대된 전시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푸드 서비스 혁신 존(Foodservice Innovation Zone - 신규!) – 음식과 리테일 경험의 융합 탐구 혁신가 쇼케이스 (NRF APAC Innovators Showcase) – 작년 대비 40% 확대, 2026년 완전히 새롭게 선보이는 세계 42개 주요 리테일 혁신 사례 전시 NRF APAC 파트너 라운지(NRF APAC Partnership Lounge - 신규!) – 리테일 기업과 산업 파트너, 액셀러레이터, 시장 진출 전문가를 연결하는 전용 구역. 국가관 - 베트남, 호주, 한국, 프랑스, 중국, 싱가포르 등 6개국 참여 이번 행사는 선별된 미팅, 전용 네트워킹 라운지, 의미 있는 대화를 지속적인 비즈니스 연결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데일리 해피아워(daily happy hour) 등 다양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NRF APAC CEO 클럽'이 다시 열린다. 이 프로그램은 100명의 소매업계 최고경영자만 초청되는 특별 포럼으로, 업계 리더들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전략을 논의하며, 지역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밀도 높은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지역 강국을 위한 글로벌 무대 김상현(Samuel Kim) 롯데 리테일(Lotte Retail) 부회장 겸 그룹 CEO는 "아시아태평양 리테일 산업은 전 세계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NRF 2026 APAC은 이러한 역동성을 기념하는 자리로, 아이디어가 행동으로, 비전이 현실로 바뀌는 곳이자 리테일 혁신의 다음 단계가 시작되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번 NRF 2026 APAC는 민트라(Myntra)의 난디타 시나(Nandita Sinha), 로에베(Loewe)의 에바 바케다노(Eva Baquedano), 쿠팡(Coupang)의 조너선 버크스(Jonathan Burks), 산토리(Suntory)의 리오 포파이 이나바(Rio Popeye Inaba) 등 세계적 리테일 리더들이 참여하는 강력한 자문위원단(Advisory Board)의 지원을 받고 있다. 2025년 12월 10일부터 구매 가능한 '올 액세스 패스(All-Access Pass)'를 통해 APAC의 모든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전 세계 리테일 혁신가들의 강연을 통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고, 3일간의 혁신적 콘텐츠와 교류를 통해 리테일의 미래를 직접 체험해 보자. 선착순 100명 등록자에게는 이벤트 패스에서 참가권 할인(미화 749달러)과 최대 200달러 상당의 여행 보조금이 추가로 제공된다. NRF 2026: 리테일 빅쇼 아시아 태평양(NRF 2026: Retail's Big Show Asia Pacific) 소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소매 행사인 NRF 2026 APAC은 2026년 6월 2일부터 4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다. 이번 아시아태평양 행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들이 모인 범(汎)아시아 무대로, 리테일 업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협력하고 영감을 주고받는 장이 될 것이다. 3일간의 콘퍼런스와 최신 리테일 솔루션이 총망라된 대규모 전시, 그리고 시장에서 선보이는 혁신 기술과 첨단 트렌드 체험 기회를 통해 참가자들은 리테일 산업의 미래를 직접 만나볼 수 있다.

2025.11.10 12:10글로벌뉴스

프레인글로벌, 글로벌 PR 얼라이언스 'PGA플러스' 출범

국내 대표 PR 컨설팅 그룹인 프레인글로벌은 전 세계 33개국 PR 회사들과 함께 글로벌 PR 에이전시 연합인 'PGA플러스'를 공식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PGA플러스는 국내 PR 기업이 주도한 첫 글로벌 PR 얼라이언스로 아시아·유럽·미주를 대표하는 현지 PR회사들이 하나의 팀처럼 유기적으로 협업해 본격적인 해외 PR·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레인글로벌은 국내외 기업들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부터 3년 이상 해외 파트너십(MOU)을 체결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이번 출범으로 아시아·유럽·북미·중동·남미 등 세계 주요 지역 PR 전문가들이 하나로 연결됐다. 이번 얼라이언스에는 유럽·미주 지역의 ▲독일 서비스플랜 PR & 컨텐츠 ▲프랑스 진 ▲영국 더블유 커뮤니케이션즈 ▲미국 보스파 ▲남미 라탐 인터섹트 PR 등이 참여했다. 아시아·중동 지역에서는 ▲일본 써니사이드업 ▲대만 엘리트PR ▲인도네시아 인케마리스 ▲아랍에미리트 나인야즈 커뮤니케이션즈 등 각국을 대표하는 전문 PR회사가 합류했다. PGA플러스는 각 사의 현지 미디어 네트워크, 마케팅 인프라, PR 전문성을 결합해 국내외 기업 및 스타트업에 현지 맞춤형 글로벌 PR·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원 네트워크, 원팀' 전략 아래 30여 개국의 에이전시가 실시간으로 협력함으로써, 고객사는 해외 진출 시 현지화에 최적으로 고도화된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프레인글로벌은 올해 안에 PGA플러스 참여국을 50개국 이상으로 확대하고, 미국과 싱가포르에 해외 지사 설립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평기 프레인글로벌 대표는 "향후 글로벌 네트워크와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PR뿐 아니라 스포츠·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활동 무대를 세계로 넓혀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프레인글로벌은 그간 해외 제휴사들과 협업해 유럽, 미국, 아시아 등에서 다수의 PR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성과들을 인정받아 CJ 제일제당 비비고 해외 PR 프로젝트로2024 한국PR대상을 수상하는 등 글로벌 PR 역량을 입증해왔다.

2025.11.10 11:49신영빈

Arm 이어 실리콘밸리 VC까지...리벨리온 투자유치 누적 6500억원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이 '킨드레드벤처스', '탑티어 캐피탈 파트너스' 등 미국의 주요 벤처캐피탈을 신규 투자자로 추가 유치하며 시리즈C 라운드를 최종 마무리했다고 10일 밝혔다. 리벨리온은 시리즈C에서만 약 3천500억원을 투자 받았다. 누적 투자금은 6천500억원이다. 지난해 1월 마무리한 시리즈B 라운드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한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다. 킨드레드벤처스는 퍼플렉시티, 우버 등 혁신 기업에 초기 투자한 실리콘밸리 기반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털로, 한국 스타트업에는 최초로 리벨리온에 투자를 단행했다. 탑티어 캐피탈 파트너스 역시 20년 이상 전세계 펀드와 스타트업에 직·간접 투자를 해온 유명 투자사다. 리벨리온은 지난 9월 발표한 시리즈C 라운드에 해외 핵심 투자자를 전략적으로 추가 유치하여 최종 마무리했다. 이는 대한민국 AI반도체 스타트업이 퍼플렉시티 등 AI 기업 투자를 이어온 킨드레드벤처스와 같은 실리콘밸리 투자자를 확보할 만큼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라운드에서는 Arm의 한국 스타트업 최초 투자와 삼성·페가트론 등 글로벌 전략 투자자 유치에 더해 북미 벤처캐피탈 투자까지 동시에 확보하며 리벨리온이 기술력과 시장성 모두에서 신뢰받는 기업임을 보여줬다. 이러한 평가는 미국 시장 데이터에서도 확인됐다.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츠의 모자이크 스코어에 따르면 리벨리온은 AI추론 부문에서 글로벌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2025년 10월 기준). 이는 리벨리온이 기술 경쟁력과 사업 실행력을 미국 분석기관으로부터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리벨리온은 이번 미국 투자를 계기로 북미 시장 내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고, 미국 내 고객사 및 데이터센터 생태계와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현지의 우수 인재 확보와 글로벌 팀 역량 강화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신성규 리벨리온 CFO는 “이번 시리즈에서는 Arm과 같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킨드레드벤처스, 탑티어 캐피탈 파트너스 등 실리콘밸리 혁신 VC가 한국 스타트업에 첫 투자를 단행한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딥테크 스타트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시리즈C를 통해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 7개국 투자자와 협력 기반을 구축하며 해외 확장의 발판을 마련한 만큼, 이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10 10:38전화평

ICP DAS-BMP, 의료용 TPU 소재의 새로운 이정표 위한 MOU 체결식에 참석

신주 2025년 11월 10일 /PRNewswire/ -- ICP DAS-BMP가 지난 10월 28일 투워드 부다((Toward Buddha Co., Ltd.)가 주최한 전략적 양해각서(MOU) 체결식에 참석해 의료용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의 연구개발 성과와 다양한 응용 분야를 선보였다. 향후 ICP DAS-BMP는 업계 전문가 및 싱크탱크 팀과 협력해 혁신을 촉진하고, TPU 소재의 개발과 글로벌 시장 확산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Image by ICP DAS-BMP 이번 행사에는 ICP DAS CO., LTD. / ICP DAS-BMP, 인타입 엔터프라이즈(Intype Enterprise Co., Ltd.), 에이-맥스 테크놀로지(A-MAX Technology Co., Ltd.), 메드서브 바이오텍(MedServ Biotech Co., Ltd.), 레온 바이오텍(LEON Biotech Co., Ltd.), 볼러 바이오텍 컨설팅(VOLER Biotech Consulting Co., Ltd.), 치펑(Chi Feng Co., Ltd.), 투워즈버다(Toward Buddha Co., Ltd.) 등 업계 주요 파트너들이 참석했다. 이들 기업은 의료용 TPU 소재 제조, 스마트 제조 및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응용, 정밀 압출 기계 및 가공 기술, 제습 및 건조 장비, 사출성형 및 부품 생산, 카테터 제조 및 주문형 사출 서비스(OEM), 의료기기 설계 및 규제 컨설팅 등 폭넓은 분야에서 전문성을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기기 공급망에서 ICP DAS-BMP는 카테터, 가이드와이어 코팅, 루어락(Luer-Lock) 커넥터, 교정용 부품 등 다양한 의료 응용 분야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의료용 등급 TPU 소재 전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 Arothane™, Alithane™, Durathane™(ARP/ALP/ALC 시리즈) 등 기본 TPU 소재는 대부분의 인체 접촉형 의료기기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이 중 Arothane™ ARP-B20과 Durathane™ ALC-B40은 ISO 10993-6 13주 이식 시험을 통과해 최대 90일 이식용으로 적합하다. 우수한 분산성 및 생체적합성을 지닌 이들 소재는 침습형 카테터 제조에 특히 선호되는 선택지로 평가된다. ICP DAS-BMP는 앞으로 기존 고객 및 MOU 파트너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며, 안전성과 고품질을 겸비한 의료용 TPU 소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 글로벌 의료 공급망 내 경쟁력을 높이고, 파트너들이 더욱 포괄적이고 신뢰성 높은 의료기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ICP DAS-BMP 소개 ICP DAS-BMP는 대만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TPU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로 ISO 13485 인증을 받았으며 품질 관리에 중점을 둔 전문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모기업 ICP DAS의 30년 이상 산업 자동화 경험을 바탕으로 ICP DAS-BMP는 스마트 팩토리 방식을 채택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하고 납기를 단축한다. 또한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삼아 신속한 애프터서비스 지원과 유연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소량 주문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https://bmp.icpda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11.10 10:10글로벌뉴스

"애플, 아이폰용 5가지 위성통신 기능 개발 중"

애플이 아이폰·애플워치에 제공되는 위성 통신 기능을 대거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9일(현지시간) 파워온 뉴스레터를 통해 보도했다. 애플은 2022년 아이폰14 출시와 함께 위성을 통해 긴급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긴급 SOS 기능'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긴급상황 뿐 만 아니라 전력망이 끊긴 상황에서도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기능을 추가하며 활용 범위를 넓혔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이 개발 중인 차세대 위성 통신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포함된다. ▲서드파티 앱용 위성 프레임워크 제공 ▲통신 및 와이파이 연결이 없이 작동하는 애플 지도 ▲위성 연결을 통한 메시지 앱 내 사진 전송 기능 ▲하늘을 향하지 않아도 실내에서도 손쉽게 위성 연결 가능 ▲5G NTN(비지상망) 기반 위성 통신 지원 등이다. 다만, 현재로서는 위성을 통한 음성통화나 화상통화, 웹 브라우징 기능까지 확장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애플의 위성 연결 기능은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더욱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위성 통신사에 직접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애플은 스페이스X와 같은 회사와 협력해 확장된 연결성을 제공하는 유료 옵션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마크 거먼은 애플 내부에서 자체 위성 서비스 제공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애플이 통신사처럼 행동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기능 확장에는 애플이 약 11억 달러를 투자한 위성통신업체 '글로벌스타'의 인프라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다. 거먼은 스페이스X가 글로벌스타를 인수할 경우 이러한 개선 작업이 더욱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5.11.10 08:24이정현

CGTN: 중국의 고수준 개방을 통한 고품질 발전 촉진

베이징 2025년 11월 9일 /PRNewswire/ -- 시진핑 주석의 하이난 및 광둥 시찰 후 CGTN이 고품질 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적 우선과제인 고수준 개방에 관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선도자, 개척자 및 시범지역으로서의 광둥과 글로벌 기회의 허브로서의 하이난 자유무역항 사례를 통해 이 국가적 비전이 어떻게 추진되는지 설명한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를 아우르는 중국의 제14차 5개년 계획이 막바지에 이르고 중국이 제15차 5개년 계획의 청사진을 공개할 준비를 하는 가운데 한 가지 분명한 메시지는 개방이 여전히 중국 현대화의 핵심 동력이라는 점이다. 개혁•개방의 두 전초기지인 하이난과 광둥을 최근 시찰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고품질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길로 고수준 개방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하이난: 새로운 시대의 관문 12월 18일 하이난 자유무역항이 전 지역 특별관세 운영을 공식적으로 개시한다. 시 주석은 이를 "중국이 고수준 개방을 흔들림 없이 확대하고 개방된 세계 경제에 기여하는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싼야시에서 열린 하이난 자유무역항 건설 관련 업무 보고를 청취한 시 주석은 자유무역항이 하이난의 고품질 성장과 중국의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 구축을 동시에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도적 개방, 더 개방적인 인재 시스템, 행정 개혁을 통해 시장 지향적이고 법치적이며 국제화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했다. 2018년 이후 하이난은 7만명 이상의 고위 전문인력을 확보했다. 또한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위해 80여 개의 지방 법규를 제정했다. 하이난의 4대 핵심 산업인 관광, 현대적 서비스, 첨단기술, 열대 농업이 현재 하이난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한다. 하이난의 개방은 글로벌 무역에도 기여한다. 신설된 양푸-찬카이 해운 항로 덕분에 하이난산 틸라피아는 남미에 더 빨리 도달하고, 페루산 아보카도는 중국에 더 신선하고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됐다. 다기능 자유무역계좌(EF 계좌)는 국경 간 결제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쾅시앤민(Kuang Xianming) 중국개혁발전연구원(China Institute for Reform and Development) 부원장은 곧 시행될 세관 운영이 중국-아세안 협력의 전략적 허브로서 하이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광둥: 개혁•개방의 개척자이자 선도자 시진핑 주석은 중국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원회의 이후 첫 국내 시찰지로 광둥성을 선택하며, 개혁•개방의 선도자, 개척자, 시범지역으로서 광둥이 맡은 역할을 강조하고 국가 경제사회발전 제15차 5개년계획 수립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이 중국 남부의 성이 고품질 발전을 위해 개혁•개방을 전면적으로 심화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시 주석은 광둥이 새로운 질적 생산력을 발전시키고, 기술과 산업혁신의 통합을 강화하며,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현대적 산업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촉구했다. 광둥의 경제 활력은 이러한 비전을 뒷받침한다. 2024년 광둥성 대외무역 규모는 9조1100억위안(약 1조 3000억달러)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으며, 이는 중국 전체 무역 증가분의 약 39%를 차지한다. 1월부터 9월까지 신규 외자기업 2만4천개가 설립되어 전년 동기 대비 33.7% 증가했으며, 총 외자기업 수는 36만개를 넘어섰고, 외자이용액도 6천억달러를 돌파했다. 2024년 웨강아오 대만구 글로벌 투자진흥회의(Global Investment Promotion Conference for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에서는 바스프(BASF), 엑손모빌(ExxonMobil), 화이자(Pfizer), 파나소닉(Panasonic), 테슬라(Tesla),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총 2조 2600억 위안 규모의 1933개 프로젝트에 서명하며 웨강아오 대만구의 글로벌 투자자 유치 매력을 입증한 바 있다. 제15차 5개년 계획이 다가오는 가운데 중국은 개혁•개방이 과거의 정책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 https://news.cgtn.com/news/2025-11-08/How-China-s-high-standard-opening-up-fuels-high-quality-development-1I8yR1qlKG4/p.html

2025.11.09 23:10글로벌뉴스

아이치이 인터내셔널, '아이조이 2026 태국' 개최...SBS 스튜디오프리즘과 제작한 '런닝맨 태국' 처음으로 선보여

싱가포르 2025년 11월 9일 /PRNewswire/ -- 방콕에서 열린 '아이조이 2026 태국(iJOY 2026 Thailand)' 행사에서 아시아를 선도하는 스트리밍 플랫폼 아이치이(iQIYI)가 태국 시장에서 거둔 연간 성과를 돌아보면서 향후 콘텐츠 전략, 중국 신작 드라마, 태국 오리지널 작품 및 예능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새로운 아이치이 국제 글로벌 앰버서더로 선정된 에스더 유(Esther Yu)가 동료 배우 허유(He Yu), 태국 배우 마이크 우(Mike Wu)와 함께 깜짝 등장해 '아이치이 하트비트 씨어터(Heartbeat Theater)' 시리즈의 신작 드라마 '쌍궤(Speed and Love)'를 소개했다. 아이치이와 한국 SBS가 공동 제작한 '런닝맨 태국(Running Man Thailand)'의 출연진과 제작진도 행사에 참석해 큰 관심을 모았다. 아이치이의 양샹화(Yang Xianghua) 영화해외사업부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2025년 현재 아이치이 태국 서비스는 가입자수와 매출 모두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태국은 해외 시장 중 최고 매출을 올리는 시장이 됐다"고 밝혔다. 올해 아이치이 태국에서는 40편 이상의 태국 드라마가 공개되었으며, 그중 다수는 아이치이 오리지널 작품이다. 2026년 아이치이는 태국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며, 태국 오리지널 드라마 제작량을 두 배로 늘리는 동시에 '아이치이 스타십 프로그램'을 추진해 중국과 태국 아티스트를 다른 국제 시장에 진출시키고, 현지 주요 스튜디오와 프리미엄 콘텐츠를 공동 제작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 아이치이 인터내셔널은 2026년 주요 중국 드라마 라인업을 공개했다. '운수행(The Legend of Rosy Clouds)', '성하체통(How Dare You!?)', '가우천성(Fate Chooses You)', '남부당안(Southern Anecdote)', '저일초과화(Overdo)', '영야성하(Chasing Jade)' 등 시대물 판타지부터 로맨스, 서스펜스, 어드벤처까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른다. 그중 궈후(Guo Hu) 감독이 연출하고 런자룬(Ren Jialun), 왕허룬(Wang Herun)이 주연을 맡은 '가우천성'은 저주받은 전쟁의 정령이 환생해 수련자와 힘을 합쳐 속죄를 추구하는 판타지 러브 스토리를 그린다. 왕추란(Wang Churan)과 청레이(Cheng Lei)가 주연한 '성하체통'은 치잉쥔(Qi Yingjun)의 인기 소설을 각색한 작품으로, 시간 여행과 현대 직장인 테마를 코믹하게 융합한 점이 특징이다. 아이치이 하트비트 씨어터 시리즈의 신작 드라마 '쌍궤'의 출연진인 에스더 유, 허유, 마이크 우는 이번 행사에서 무대에 올라 드라마와 아이치이 인터내셔널의 더블 11 멤버십 캠페인을 홍보했다. '쌍궤'는 레이싱과 성장을 중심으로 신뢰, 야망, 자기 발견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리카이첸(Li Kaichen) 아이치이 부사장 겸 아시아•태평양/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총괄은 바이루(Bai Lu), 천저위안(Chen Zheyuan)에 이어 에스더 유를 새로운 아이치이 인터내셔널 글로벌 앰버서더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에스더 유는 '아이치이 스타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중국과 태국을 오가며 중국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예정이다. 태국 오리지널 콘텐츠 부문에서 아이치이는 GMMTV, 만디 워크(Mandee Work), 아이돌 팩토리(Idol Factory), 카피 에이 방콕(Copy A Bangkok) 등 현지 주요 스튜디오와 협력해 제작한 2026년 태국 콘텐츠 라인업을 발표했다. 이 라인업에는 '번아웃 신드롬(Burnout Syndrome)', '두앙위드유(Duang with You)', '피치 러버(Peach Lover)', '4원소(4 Elements)' 시리즈 등이 포함된다. '인터미너블(Interminable)'은 11월 7일 첫 공개됐다. '언노운 러버스(Unknown Lovers)', '러스트(Lust)', '젤보이즈 2(GELBOYS 2)', '아이덴티티 제로(Identity Zero)', '188 시리즈(188 Series)'의 출연진 및 제작진도 무대에 올라 드라마를 소개하고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유했다. 또 다른 하이라이트는 아이치이와 한국 SBS 스튜디오프리즘이 공동 제작한 '런닝맨 태국'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다우(Daou), 누뉴(Nunew), 푸악(Phuak), 오트 프라모트(Oat Pramote), 잉크 와룬톤(Ink Waruntorn), 제프 사투르(Jeff Satur), 타이 타완(Tay Tawan) 등 태국 인기 연예인 7명이 출연하며, 2025년 말 촬영을 시작해 2026년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는 주요 출연진과 제작진이 행사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며 아이치이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협력 확대를 보여줬다. 아이조이 2026 태국 행사를 통해 아이치이는 혁신과 국경을 초월한 창의성에 대한 오랜 의지를 재확인하며, 아시아 엔터테인먼트 생태계 형성의 주도적 역할과 중국어 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강화했다.

2025.11.09 23:10글로벌뉴스

지캐시, 가상 미국 계정 출시...필리핀인 달러 결제와 송금 수월해져

마닐라, 필리핀 2025년 11월 9일 /PRNewswire/ -- 필리핀의 대표적 금융 슈퍼 앱 지캐시(GCash)가 2025년 11월 5일 GCash Virtual US Account를 출시했다. 필리핀인들이 미국 은행 계좌나 추가 비용 없이도 지캐시 전자지갑 계좌를 통해 미국 달러로 결제하고 송금할 수 있는 획기적인 상품이다. GCash Virtual US Account revolutionizes how Filipinos receive USD payments and remittances 이 혁신적인 서비스는 송금 수수료가 부담스러운 필리핀 프리랜서들에게 수입 증가와 함께 자금 인출 지연이라는 불편함까지 해소한다. GCash Virtual US Account는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메리디안(Meridian)1을 기반으로 하며 플랫폼 수수료와 외환 수수료가 적어 비정규직 근로자의 순수취액을 늘려 주는 효과가 있다. 즉, 필리핀인 누구나 송금액이 증가한다는 뜻이다. 또한 GCash Virtual US Account는 인출 수수료도 적고 숨어 있는 비용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폴 알바노(Paul Albano) 국제업무 담당 부장은 "GCash Virtual US Account 이용자는 미국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만 필리핀 페소로 바꿀 수 있다. 그러면 적은 수수료로 유리한 시점에 환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용자는 미국에서 전자지갑으로 이체를 받은 돈을 즉시 달러로 바꿀 수 있고, 달러를 즉시 필리핀 화폐로 바꿀 수도 있다. 모두 지캐시 앱에서 가능하다. 100% 검증을 마친 지캐시 이용자는 계정을 개설할 수 있다. 이 기능으로 필리핀의 주요 송금처인 미국에서 필리핀으로 달러 유입이 증가할 전망이다. 필리핀 중앙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현금 송금의 약 40%가 미국에서 발생했다. 지캐시는 목표한 대로 GCash Virtual US Account를 통해 일용직 근로자가 더 빠르고 저렴한 국가간 송금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 GCash Virtual US Account는 미국 메리디안 페이먼트(Meridian Payments US)에서 "3자 수익자" 계약에 따라 개서하고 관리한다. 은행 계좌와는 다르며 예금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예금 보험 제도는 적용받지 못한다.

2025.11.09 02:10글로벌뉴스

AION UT 마카오 공식 출시…GAC, '마카오 액션' 적극적 추진으로 생태계 글로벌화 가속

마카오 2025년 11월 8일 /PRNewswire/ -- 제15회 중국(마카오) 국제자동차박람회(China (Macau) International Automobile Expo, 이하 '마카오 오토쇼')가 11월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더 베네시안 마카오 코타이 엑스포(The Venetian Macau Cotai Expo)에서 성대하게 개최됐다. 광둥-홍콩-마카오 경제권인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의 현지 자동차 기업인 GAC는 이번 박람회에서 자사의 세 가지 브랜드인 GAC, AION, HYPTEC이 생산한 신에너지 차량 모델 6종을 선보였다. GAC는 이를 통해 신에너지 및 지능화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량을 여실히 보여주며, '기술 중심의 GAC, 풀체인 생태계로 글로벌 진출 가속화(Tech-Driven GAC, Advancing Global Reach with a Full-Chain Ecosystem)' 이미지를 강화했다. GAC는 '마카오 액션(Macao ACTION)' 현지화 실행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 마카오 오토쇼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프리미엄 소형차 AION UT의 마카오 공식 출시를 발표했다. GAC는 '원 GAC 2.0(ONE GAC 2.0)' 국제화 전략을 바탕으로 이번 마카오 오토 엑스포를 계기로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줬다. GAC는 '마카오에서, 마카오를 위해, 마카오에 통합되어, 마카오에 봉사하며, 마카오에 기여한다(In Macao, For Macao, Integrated into Macao, Serving Macao, and Contributing to Macao)'는 개념을 고수하면서, '마카오 액션'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마카오 시장 개척에 집중하고 있다. GAC는 제품, 채널, 서비스, 에너지 시스템, 이동 생태계에 걸친 종합적 레이아웃을 통해 장기 전략과 상생 협력 방침을 견지하며, 산업 생태계 전반에 글로벌화된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마카오 소비자의 요구에 집중하며 마카오의 친환경 이동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고, 마카오의 고품질 모빌리티에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예정이다. AION UT는 '패션과 지능의 신시대 슈퍼 아이콘(New-era super ICON of fashion and intelligence)'이란 이미지를 내세우며 마카오 시장에 정식 출시됐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탄생한 이 지능형 라이프카는 세련된 디자인, 넉넉한 공간, 뛰어난 지능화, 초강력 안전성을 자랑하며, 마카오 소비자에게 탁월한 가치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 현장에서 많은 관람객들은 발걸음을 멈추고 AION UT를 체험할 기회를 얻었다. 방문객들은 밀라노 스타일의 세련된 대형 해치백 디자인과 고급 세단에 버금가는 편안한 승차 공간에 호평했다. 또 지능형 음성 상호작용 기능과 L2급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 풍부한 기술 사양이 기대 이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마카오 전문 자동차 매체는 AION UT가 디자인, 공간 성능, 지능화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마카오의 도로 환경과 현지 소비자들의 고품질 순수 전기 소형차 수요에 부합해 좋은 시장 반응을 얻을 것으로 전망했다.

2025.11.09 00:10글로벌뉴스

스마트 시티 엑스포, 도시가 글로벌 변화를 이끌 것 촉구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성료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11월 8일 /PRNewswire/ -- 도시 및 스마트 도시 솔루션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서밋인 '스마트 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 SCEWC)'가 다양한 기록을 세우며 2025년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143개국에서 2만 7000명 이상이 참석했으며,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도시가 어떻게 혁신적 변화를 주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열렸다. Attendees walk through the halls of Smart City Expo 2025 '도시의 시대(The Time for Cities)'를 주제로 열린 이번 SCEWC 2025에서는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도시 개발을 추진하는 전 세계적 노력에서 기술이 가진 혁신적 잠재력을 선보였다. 특히 새롭게 선보인 AI 기반 도시 전시 구역에서 참가자들은 AI 기술이 전 세계 대도시의 솔루션 마련을 어떻게 가속하면서 변화의 촉매제로 자리 잡고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우고 발렌티(Ugo Valenti) SCEWC 담당 이사는 "도시는 미래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는 복잡하지만, 정면으로 맞서며 실행하며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공지능은 효율성뿐만 아니라 대도시가 시급히 필요로 하는 변화를 가속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했다"면서 "도시는 이제 목적과 책임감을 가지고 이번 변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점에서 올해 행사를 통해 우리가 올바른 길에 있다는 사실이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졌다"고 덧붙였다. SCEWC는 EIT 어번 모빌리티(EIT Urban Mobility)와 공동 주최한 투모로우.모빌리티 월드 콩그레스(Tomorrow.Mobility World Congress)와 투모로우.빌딩(Tomorrow.Building) 및 투모로우.블루 이코노미(Tomorrow.Blue Economy)와 함께 개최됐다. 행사에는 액시스 커뮤니케이션즈(Axis Communications), 벤틀리(Bentley), 다화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 다쏘 시스템즈(Dassault Systèmes), 델(Dell), 딜로이트(Deloitte), 구글(Google), iot 스퀘어드(iot squared),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엔비디아(Nvidia), SPIE, 우르바세르(Urbaser), 비올리아(Veolia) 등 1190개 업체가 참여했다. 또한 니키 그린버그(Nikki Greenberg), 케이트 오닐(Kate O'Neill), 카를로 라티(Carlo Ratti) 등 600여 명의 국제 전문가들이 참석해 도시 생활, 거버넌스, 모빌리티의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SCEWC 2025는 투자자와 연구 센터 및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 약 350개 신생 기업을 연결하는 혁신 플레이그라운드(Innovation Playground)를 통해 미래 도시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스타트업의 역할도 조명했다. 월드 스마트 시티 어워즈 월드 스마트 시티 어워즈(World Smart City Awards)가 매년 도시 변화 산업에서 가장 뛰어난 이니셔티브와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2025년 스마트 시티(Smart City of 2025)'상은 이탈리아 로마가 수상했다. 또한 글로벌 차원에서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유엔해비타트(UN-Habitat) 사무총장을 지낸 마이무나 모하마드 샤리프(Maimunah Mohd Sharif)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시장도 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스마트 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는 2026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피라 데 바르셀로나의 그란비아(Gran Via) 전시장에서 제15회 행사를 열 예정이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816850/Smart_City_Expo_2025.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659718/Fira_Barcelona_Logo.jpg?p=medium600

2025.11.08 22:10글로벌뉴스

ICANN, 웹 서밋에서 디지털 신원의 미래와 분열 위협 논의

믿음직한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스템 관리 기관이 10년 만에 찾아온 새로운 최상위 도메인 도입 기회와 전 세계 다양한 주체가 함께 인터넷의 정책을 결정하는 방식을 시급히 보호해야 하는 이유를 중심으로 한 토론을 주최한다. 로스앤젤레스, 2025년 11월 8일 /PRNewswire/ --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확장을 앞두고 인터넷 운영 방식을 둘러싼 지정학적 논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비영리 기관인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가 올해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리는 웹 서밋(Web Summit)에서 디지털 신원의 미래에 대한 중대 논의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웹 서밋 참가자는 ICANN이 주관하는 다음과 같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다. 인터넷을 위협하는 지정학적 압력: 화합인가 분열인가?(The Geopolitics of the Internet: Unity or Division?)(11월 11일 오후 3시 20분~15시 45분(서유럽 시각 기준), 세계 정부 정상회의(Government Summit))의 13번 무대(Stage 13): ICANN 사장 겸 CEO 쿠르티스 린드크비스트(Kurtis Lindqvist), 인터넷 협회(Internet Society) 회장 겸 CEO 샐리 웬트워스(Sally Wentworth), 그리고 내셔널 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 편집장 스티브 클레몬스(Steve Clemons)가 국경을 초월한 범세계적 협력으로 지정학적 압력으로부터 인터넷을 보호하는 방안과 인터넷이 지금처럼 공동의 자원으로 남거나 아니면, 경쟁 시스템으로 분열하는 데 그와 같은 인터넷 보호 대책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논의한다. 새로운 도메인으로 획기적인 온라인 존재감 실현(Revolutionize Your Online Presence with a New Domain)(11월 11일 오전 11시 30분~12시 15분, 마스터클래스 5(Masterclass 5)): ICANN 글로벌 도메인 및 전략 담당 수석 부사장 테레사 스위너하트(Theresa Swinehart), 스카이 그룹(Sky Group) 도메인 관리 총책 니샤 파카쉬(Nisha Parkash), CSC 프랑스 지사 본부장 패트릭 하우스(Patrick Hauss)가 맞춤형 도메인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 보안, 고객 만족도를 개선하는 비결을 전수한다. 이 토론은 2026년 4월에 차기 gTLD를 신청할 계획인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 브랜드 관리자, 최고 기술 책임자(CTO)를 위해 기획되었다. 지금은 디지털 세계에 매우 중요한 순간이다. 혁신과 기회가 넘쳐나는 가운데, 인터넷 그 자체와 인터넷 운영 및 관리 방식의 미래가 위기에 처했다. ICANN은 이번 토론에서 인터넷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분열 위협을 방지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기업이나 단체는 인터넷이라는 만국 공동의 영토에서 고유한 정체성을 확보하고 보호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ICANN은 '신규 gTLD 프로그램: 2026 라운드(New gTLD Program: 2026 Round)'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6년 4월에 시작되는 신청 기간에 기업, 커뮤니티, 그리고 단체는 고유한 gTLD를 확보할 수 있다. .brand 또는 .city 같은 맞춤형 gTLD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 신뢰를 구축하며,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시장에서 혁신을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 역할을 한다. 다가오는 2026년 라운드를 계기로 국제화 도메인 네임(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IDN) 사용이 확대되면 라틴 문자 이외의 언어 사용자들도 인터넷을 더욱 쉽고 폭넓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ICANN 사장 겸 CEO 쿠르티스 린드크비스트는 "이번에 진행될 새로운 gTLD 도입 절차는 인터넷 환경이 한 단계 발전하는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전망한 데 이어, "ICANN은 기업이 고유한 디지털 정체성을 확보하도록 지원하여, 시장 경쟁을 활성화하고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ICANN은 이러한 혁신의 근간을 이루는 인터넷 운영 방식, 즉 전 세계 다양한 주체가 함께 인터넷의 정책을 결정하는 방식을 보호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번 웹 서밋에서 개방적이고 서로 호환되며 일원화된 인터넷을 미래 세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모두 함께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위협과 미래의 기회에 대해 전 세계 지도자들과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신규 gTLD 프로그램: 2026 라운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newgtldprogram.icann.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소개ICANN의 사명은 전 세계 인터넷이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고, 하나의 통일된 네트워크로 기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에게 연락하려면 컴퓨터나 다른 기기에 주소(이름이나 숫자)를 입력해야 한다. 이때 이 주소는 중복되지 않아야 컴퓨터가 서로의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다. ICANN은 이러한 전 세계의 고유 식별자를 관리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ICANN은 1998년에 전 세계 인터넷 커뮤니티의 참여로 만들어진 비영리 공익 법인이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810953/ICANN_Logo.jpg?p=medium600

2025.11.08 08:10글로벌뉴스

ECW, 파키스탄 홍수 피해 아동 위해 미화 200만 달러 긴급 지원 발표

1차 긴급 대응 보조금, 농촌지원프로그램네트워크가 이끄는 지역 컨소시엄을 통해 학생 34,483명 지원 예정 뉴욕, 2025년 11월 8일 /PRNewswire/ -- 유엔 산하 글로벌 기금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not Wait, 이하 'ECW')'가 오늘 파키스탄의 기록적 몬순 홍수로 피해를 입은 아동들의 긴급 교육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미화 200만 달러 규모의 '1차 긴급 대응(First Emergency Response)'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Education assessments reveal that over 367,000 school-aged children currently lack access to education in flood-affected districts, with damage reported in over 1,800 schools. 12개월 동안 진행될 이 보조금 지원은 농촌지원프로그램네트워크(Rural Support Programmes Network, RSPN)가 주도하고, 국가농촌지원프로그램(National Rural Support Programme, NRSP), 사르하드농촌지원프로그램(Sarhad Rural Support Programme, SRSP), 이다라-에-탈림-오-아가히(Idara-e-Taleem-o-Aagahi, ITA), PAGE 재단(PAGE Foundation) 등 현지 및 국내 단체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집행될 예정이다. 바시르 안줌(Bashir Anjum) RSPN 최고운영책임자(COO)는 "RSPN이 ECW와 파키스탄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이어가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지원을 통해 시알코트, 나로왈, 장, 스와트 지역의 홍수 피해 아동들 가운데 특히 여학생, 국내 실향민(IDP), 장애 아동들이 안전하고 포용적이며 양질의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협력을 통해 해당 지역사회가 회복력 있는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고, 희망을 되살리며, 아이들이 안전하고 배려받는 환경 속에서 학습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함께 가장 취약한 아이들의 꿈을 기회로 바꾸고, 교육을 지속 가능한 희망으로 전환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현지 주도 대응으로 파키스탄 홍수 피해 지역의 소녀와 소년 약 3만 4천 명에게 생명을 지키는 교육 지원이 제공될 예정이다. 교육 관련 조사에 따르면, 홍수 피해를 입은 여러 지역에서 약 36만 7천 명의 학령기 아동이 현재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1800개 이상의 학교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고됐다. ECW의 이번 지원은 피해 학교의 복구, 임시 학습 공간 설치, 포용적이고 성인지적인 학습 자료 제공, 상하수도 및 위생 시설 복원, 보호 조치 시행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지원 조치는 파키스탄 인도적 대응 계획(Pakistan Humanitarian Response Plan)과 연계돼 있으며, 홍수 발생 이전부터 교육 자재를 사전 배치한 ECW의 '선제적 대응 시범 사업'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편집자 참고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 소개: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not Wait, ECW)는 유엔(UN) 산하의 긴급 상황 및 장기 위기 대응을 위한 교육 글로벌 기금으로, 난민, 국내 실향민, 그리고 위기 상황에 처한 아동과 청소년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고 단 한 명도 소외되지 않도록 지원한다. ECW는 다자간 시스템을 기반으로 위기 상황에서의 대응 속도를 높이고, 다년간 공동 프로그램을 통해 긴급 구호와 중장기 지원을 연계한다. 또한 각국 정부, 공공 및 민간 기부자, 유엔 기관, 시민사회단체, 인도주의 및 개발 원조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효율성을 높이고, 단절된 대응 방식을 통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ECW는 전 세계 더 많은 취약 아동과 청소년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후원을 긴급히 호소하고 있다. 엑스/트위터에서 팔로우: @EduCannotWait @KentPage 추가 정보 확인: www.educationcannotwait.org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6226/Education_Cannot_Wait.jpg?p=medium600

2025.11.08 06:10글로벌뉴스

래스본즈, 영국 성장 촉진을 위한 긴급 지역 투자 촉구

영국 전역에 사무소와 고객을 보유한 영국의 대표적 자산운용사 중 한 곳인 래스본즈, 영국이 '선진국 중 지리적 불평등이 가장 심한 경제'임을 경고하는 새로운 분석 보고서 발표 래스본즈, 예산안에서 모든 지역의 성장과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촉구하며, 높은 에너지 비용과 열악한 교통망이 기업 투자를 저해하고 기회를 제한한다고 지적 런던, 2025년 11월 7일 /PRNewswire/ -- 영국 남동부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 대한 심각한 투자 부족이 영국 경제 성장 전망에 중대한 부담을 주고 있어 이에 대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Rathbones says its plan supports investment-led growth. 영국의 대표적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래스본즈(Rathbones)는 가을 예산안(Autumn Budget) 발표를 앞두고 재무장관에게 제시한 주요 권고안에서 "영국 정부가 수년간 지역 자금 지원을 등한시했던 관행을 되돌려 영국 경제 전체가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촉구하며 "여러 지표를 기준으로 봤을 때 영국이 선진국 중 지리적 불평등이 가장 심각한 경제"라고 경고했다. 래스본즈는 이러한 권고안이 담긴 '번영 구축: 영국의 성장과 투자를 위한 5가지 제언(Building Prosperity: Five Recommendations for Growth and Investment in the UK)'이라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에서 인프라와 에너지 비용 등에 따라 생기는 지역 간 불평등이 영국 경제 잠재력을 어떻게 저해하는지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런던은 1인당 교통분야 지출이 그다음으로 높은 스코틀랜드보다 80%나 더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런던을 제외한 9대 주요 도시 각각에서 대중교통으로 도심까지 3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인구 비율이 유사한 유럽 도시들의 67%보다 낮은 40%에 불과한 문제가 생긴 게 이처럼 런던 중심으로 과도하게 편중된 교통분야 지출 때문이란 주장이다. 번영 구축 보고서는 래스본즈 경제학자 및 투자 연구팀이 실시한 광범위한 분석과 전국 고객들로부터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 보고서는 정책적 조치가 필요한 5대 핵심 분야로 ▲연금 ▲기업 과세 ▲지역 및 공공 투자 ▲부유세 과세 ▲부동산과 주택 시장 개혁을 제시한다. 보고서는 이어 영국 경제가 수년간 지속되어 온 저성장과 세금 부담 증가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 불균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비용과 경쟁력: 영국의 산업용 전기 요금은 선진국 평균(중앙값 기준)보다 50% 가까이 높으며, 미국보다는 4배, 유럽 평균보다는 1.5배 더 비싸다. 이는 런던 외곽에 자리한 제조업과 데이터 센터 같은 디지털 경제에 필수적인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 특히 치명적이라는 것이다. 인프라 지연과 성장 기회: 고속철도 2단계(HS2) 북부 노선 취소와 북부 철도망 확충 사업인 노던 파워하우스 철도(Northern Powerhouse Rail)의 지연은 영국 북부 지역 성장을 저해할 위험이 크다는 판단이다. 래스본즈는 정부가 런던 외곽 주요 교통 프로젝트에 대해 재투자를 약속하고, 도시와 지역으로 의사결정 권한을 추가로 이양할 것을 촉구했다. 도시 계획 시스템 병목 현상: 보고서는 영국의 도시계획 시스템이 어떻게 지연과 비용을 초래하는지 주목하면서, 주요 계획 결정의 4분의 1 미만이 법정 13주 기한 내에 이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래스본즈는 영국 정부가 의회가 발의한 '계획 및 인프라 법안(Planning and Infrastructure Bill)'을 수정 내지 완화하지 않고 통과시켜 주요 프로젝트의 승인과 실행 속도를 높이고, 도시계획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자금 지원을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카밀라 스토웰(Camilla Stowell) 래스본즈 자산운용 부문 CEO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고객들은 영국 경제를 이끄는 실질적 활동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 에너지, 공공 서비스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너무 많은 지역이 뒤처지고 있다. 정부가 정말로 성장을 추진하고자 한다면 지역 투자와 인프라 개혁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목표를 명확히 정하고 하는 투자는 기회를 열어주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전국 기업을 지원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증거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분석 보고서의 주저자인 올리버 존스(Oliver Jones) 래스본즈 자산배분 부문 총괄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지역 투자는 단순히 공정성의 문제가 아니라 영국의 경제적 잠재력을 발휘하게 해주는 핵심이다. 우리 연구에 따르면 통합적인 인프라 지출과 에너지 개혁이 성장을 견인하고, 일자리를 만들며, 전국의 기업을 지원할 수 있다. 정부는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하며, 모든 지역이 국가 번영에 기여하고 그로 인한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래스본즈는 번영 구축 보고서에서 영국 정부에 다음과 같이 촉구했다. 연금 제도를 통한 투자 확대 기업 과세 제도 개혁 부유세 추가 과세 반대 주택 시장 활성화 편집자 주 보고서 전문은 여기서 볼 수 있다. 문의 사항: press@rathbones.com 래스본즈 소개: rathbones.com 래스본즈 그룹(Rathbones Group Plc)은 개인 고객(개인 및 가족), 자선 단체, 신탁 관리자, 전문 파트너를 대상으로 투자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의 대표적 기업 중 하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금을 현명하게 투자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걸 사명으로 삼고 있다. 1742년 설립됐으며, 여러 세대에 걸친 긴 역사 동안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고 보존하고, 성장시켜온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주요 서비스로는 재량 투자 관리, 펀드 운용, 세무 계획, 신탁 및 기업 관리, 금융 자문 및 은행 서비스가 포함된다. 래스본즈는 또한 금융 자문사가 고객에게 긍정적인 투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래스본즈는 자산 운용 부문인 래스본즈 자산 운용(Rathbones Asset Management Limited)을 통해 163억 파운드를 포함해 총 1130억 파운드* 규모의 고객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FTSE 250에 상장되어 있는 래스본즈는 영국과 채널 제도(Channel Islands) 전역의 20개 이상 사무소에서 약 750명의 투자 전문가를 포함해 총 3350여 명의 전문가와 함께 고객에게 고품질의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5년 9월 30일 기준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6015/Rathbones.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815851/Rathbones_Logo.jpg?p=medium600

2025.11.08 02:10글로벌뉴스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2인자 물러나고 '이재용의 삼성' 개막…후속 인사에 쏠린 눈

구글의 韓 고정밀지도 해외반출 '운명의 날' D-1

삼성·SK 메모리팹 가동률 상승...소재·부품 업계도 증산 본격화

[종합] 韓 클라우드, AI 인프라 힘입어 나란히 성장…GPU 확보·효율화 경쟁 '점화'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