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베네수엘라 갈등 고조에…카리브해 관광수입 감소 우려
카리브해 인접 국가들이 미국과 베네수엘라 간 군사적 긴장 고조로 관광 산업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지역 경제에서 관광 의존도가 높은 만큼, 성수기를 앞두고 불안감이 더 커지는 상황이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아루바와 세인트루시아, 안티가바부다 등 카리브해 인접 국가들은 이에 관련된 관광 수입 감소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국가들에서는 관광업이 전체 고용의 75% 이상을 차지한다. 자메이카의 앤드루 홀니스 총리는 G20 회의에서 카리브는 평화의 지역이어야 하며, 평화를 흔드는 모든 행동은 관광에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은 최근 수개월간 마약 밀매 단속 강화를 이유로 카리브 지역에 군사력을 확대해왔다. 9월 이후 카리브해와 동태평양에서 20건 이상의 마약 선박을 격침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긴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베네수엘라의 갱단 태양의 카르텔을 외국 테러조직으로 지정하며 더욱 심화됐다. 베네수엘라 외교장관 이반 길은 이에 대해 미국의 불법 개입을 정당화하기 위한 날조라고 반발했다. 미 합참의장 댄 케인 장군이 푸에르토리코 주둔 미군을 방문할 예정이라는 소식도 군사 행동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키웠다. 안티가바부다의 개스턴 브라운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무력 충돌이 일어날 기미가 보일 경우 호텔 예약과 항공기 운항, 해외 투자 등이 위축돼 수십만 가구의 생계가 즉시 타격을 받는다고 우려를 전했다. 자메이카는 최근 허리케인 멜리사로 15만 채 이상의 주택이 파손되고 약 88억 달러(약 12조9천932억원)가량의 피해를 입은 상황이라 관광 수입 감소에 특히 민감하다. 홀니스 총리는 이번 태풍을 원자폭탄에 비유하며 몬테고베이 등 자메이카의 주요 관광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트리니다드토바고는 베네수엘라와 인접해 있어 관광보다는 천연가스 산업이 핵심이지만, 미국 재무부로부터 베네수엘라산 가스를 수입할 수 있는 면허를 확보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